본문내용
서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경쟁사회라고 해서 무비판적으로 경쟁을 수용하는 우리의 태도는 문제가 있다. 우리의 이러한 무비판적인 자세 때문에 경쟁의 주도자인 자본과 정치권력은 손쉽게 자신들의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사회는 우리를 경쟁에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과거의 박정희 때의 새마을 운동에서부터 IMF사건을 지나면서 그리고 최근의 미국에서부터 시작된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전 세계 경제 악화 등을 통해서 경쟁하지 않으면 도태되고 살아남지 못하게 된다는 논리에 우리는 쉽게 넘어가기 쉽다. 우리의 이러한 무비판적인 태도는 아마 일제 강점기에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또한 군부 독제시절을 통하면서 내면화 되었을 것이다. 우리는 경쟁을 내면화 하게 만드는 그 근본에 있는 기저들을 살펴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 그래서 우리 모두를 파괴하고 그로 인해서 산출되는 이윤만을 취하는 자본의 꼼수에서 우리는 벗어나야한다. 이제 자본주의의 끝이 보이고 있다. 미국 발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세계 경제는 곤두박질쳤다. 지금 한국에서 이를 타개하고자 박근해 대통령은 창조경제를 들고 나왔다. 이는 또 다른 경쟁의 시작을 의미한다. 경쟁은 경쟁으로 이겨낼 수 없다. 경쟁의 프로세스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는 이 시점에 창조적인 경쟁을 통하여 경쟁을 극복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이제 우리는 탈경쟁에서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안적인 시대 예수가 삶으로 보여준 약자들과의 연대와 기득권자들이 가지고 있는 99% 이윤을 99%가 함께 나누는 상식을 통용하는 시대로 만들어나가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사회문제B형)고교평준화 정책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앞으로 평준화 정책을 어떻게 하는 ...
10년 후 한국 교회 독서보고서(독후감)
[한국사회문제A형] 2016 한국교육에서 드러나고 있는 과도한 경쟁과 격차의 문제의 원인, 사...
[한국사회문제] 한국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여러 차별과 불평등 가운데 사회문제로서 해결해...
[한국사회문제] 한국 교육에서 드러나고 있는 과도한 경쟁과 격차의 문제의 원인은 무엇이며,...
[독서보고서] ‘우리의 교육 몸으로 가르치자’ (장별로 교육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소감 중심...
[독서보고서] 우리의 교육 몸으로 가르치자를 읽고 (각 장별 요약과 느낀 점을 중심으로)
[사회문제론 A형] 한국 교육의 현재 문제점은 무엇이며 왜 사회문제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