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상행동의 평가와 진단
I. 면접법
II. 행동관찰법
III. 심리검사법
1. 지능검사
2. 객관성 성격검사
3. 투사적 성격검사
4. 신경심리검사
* 참고문헌
I. 면접법
II. 행동관찰법
III. 심리검사법
1. 지능검사
2. 객관성 성격검사
3. 투사적 성격검사
4. 신경심리검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MMPI는 피검자의 검사태도를 평가하는 4개의 타당도 척도와 여러 가지 성격적 또는 정신병리적 특성을 평가하는 10개의 임상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3. 투사적 성격검사
성격이 지닌 무의식적이고 심층적인 특성은 자기 자은에게 잘 의식되지 않기 때문에 자기 보고에 의존하는 객관적 성격검사로 평가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객관적 성격검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투사적 성격검사다. 투사적 성격검사는 피검자에게 애매모호한 자극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자유로운 반응을 유도한 후에 검사반응을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피검자의 무의식적인 성격 특성을 평가한다. 투사적 성격검사는 피검자가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으며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풍부
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반면, 검사 해석자의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는 여지
가 많아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가장 대표적 투사적
성격검사는 로샤검사(Rorschach test)와 주제통각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가 있다.
4. 신경심리검사
신경심리검사(neuropsychological testing)는 다양한 심리적 기능을 측정함으로써 뇌손상 유무, 손상의 정도와 부위를 평가하는 검사다. 뇌의 특정부위가 손상되면 그에 해당하는 심리적 기능에 이상이 나타나게 된다. 신경심리검사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지적 능력, 언어기능, 주의집중력, 기억력, 지각기능,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성격, 감정상태 등을 측정함으로써 뇌의 손상상태를 평가하는 도구다. 다양한 심리적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대표적인 신경심리검사로는 할스테드-라이탄(Halstead-Reitan) 신경심리검사와 루리아-네브라스카(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가 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심리학 - 김보기/김인기 저, 양서원, 2017
전생애 발달심리학 - 장휘숙 저, 박영사, 2013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Shepard 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발달심리학 -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 옮김, 교육과학사, 2016
의사소통의 실제 - 임숙빈/김덕희 외 3명 저, 현문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강봉규 저, 태영출판사, 2015
3. 투사적 성격검사
성격이 지닌 무의식적이고 심층적인 특성은 자기 자은에게 잘 의식되지 않기 때문에 자기 보고에 의존하는 객관적 성격검사로 평가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객관적 성격검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투사적 성격검사다. 투사적 성격검사는 피검자에게 애매모호한 자극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자유로운 반응을 유도한 후에 검사반응을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피검자의 무의식적인 성격 특성을 평가한다. 투사적 성격검사는 피검자가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으며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풍부
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반면, 검사 해석자의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는 여지
가 많아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가장 대표적 투사적
성격검사는 로샤검사(Rorschach test)와 주제통각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가 있다.
4. 신경심리검사
신경심리검사(neuropsychological testing)는 다양한 심리적 기능을 측정함으로써 뇌손상 유무, 손상의 정도와 부위를 평가하는 검사다. 뇌의 특정부위가 손상되면 그에 해당하는 심리적 기능에 이상이 나타나게 된다. 신경심리검사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지적 능력, 언어기능, 주의집중력, 기억력, 지각기능,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성격, 감정상태 등을 측정함으로써 뇌의 손상상태를 평가하는 도구다. 다양한 심리적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대표적인 신경심리검사로는 할스테드-라이탄(Halstead-Reitan) 신경심리검사와 루리아-네브라스카(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가 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심리학 - 김보기/김인기 저, 양서원, 2017
전생애 발달심리학 - 장휘숙 저, 박영사, 2013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Shepard 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발달심리학 -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 옮김, 교육과학사, 2016
의사소통의 실제 - 임숙빈/김덕희 외 3명 저, 현문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강봉규 저, 태영출판사, 2015
추천자료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유형, 평가 진단 (2007년 ★★★★★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교육심리학 전체요약 정리
교육평가 요약정리
교육심리학
상담심리,심리,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
이상행동의 평가와 진단
[인간행동과사회환경] DSM-Ⅳ 정신장애진단범주 - 이상행동의 분류 및 평가, 임상적 면접, 심...
이상행동 [소아기 및 청소년기 장애 & 이상행동의 평가와 진단]
이상행동(이상행동모델, 이상행동개념, 이상행동진단, 이상행동평가)
[성격진단검사] 성격검사의 종류(객관적 검사, 투사적 검사)와 성격검사(성격진단)의 실제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