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감각운동기 : 출생~2세
2. 전조작기 : 2~7세
3. 구체적 조작기 : 7~11세
4. 형식적 조작기 : 12세 이후
II.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제1수준 : 인습 이전 수준
1) 1단계 : 처벌과 복종 지향
2) 2단계 : 쾌락주의
2. 제2수준 : 인습 수준
1) 3단계 : 착한 소년 착한 소녀 지향
2) 4단계 : 법과 질서 유지 지향
3. 제3수준 : 인습 이후 수준
1) 5단계 : 사회적 계약 지향
2) 6단계 : 보편적 윤리 지향
* 참고문헌
1. 감각운동기 : 출생~2세
2. 전조작기 : 2~7세
3. 구체적 조작기 : 7~11세
4. 형식적 조작기 : 12세 이후
II.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제1수준 : 인습 이전 수준
1) 1단계 : 처벌과 복종 지향
2) 2단계 : 쾌락주의
2. 제2수준 : 인습 수준
1) 3단계 : 착한 소년 착한 소녀 지향
2) 4단계 : 법과 질서 유지 지향
3. 제3수준 : 인습 이후 수준
1) 5단계 : 사회적 계약 지향
2) 6단계 : 보편적 윤리 지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nalization)이다. 내면화란 외적 기준에 의해 통제되는 행동이 내적 기준에 의해 통제되는 행동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도덕적 사고는 연령 증가와 더불어 점차 내면화되어진다.
1. 제1수준 : 인습 이전 수준
도덕 판단이 사회적 관습이나 규칙, 법에 근거하지 않고, 권위에 대한 복종과 외부에서 주어지는 보상 및 처별에 의해 결정된다. 즉, 외부로부터 부여된 규칙을 따르는 이유는 벌을 피하기 위해서이거나 보상을 받기 위해서이다.4-10세 아동이 이 수준에 해당된다.
1) 1단계 : 처벌과 복종 지향
도덕적 사고가 처벌과 연관되어 있다. 행위의 옳고 그름이 결과에 달려 있기 때문에 만약 어떤 잘못된 행위가 들키지 않아서 벌을 받지 않았다면 그 행위를 나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벌이 무거울수록 더 나쁜 행위라고 생각한다.
2) 2단계 : 쾌락주의
개인적인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규칙을 따른다. 타인에 대한 배려를 나타내지만 미래에 자신에게도 이익이 돌아올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그러한 행위를 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사람들 간에 동등한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옳은 행위라고 여긴다.
2. 제2수준 : 인습 수준
도덕 판단이 사회적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진 내면화된 기준, 즉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형식적인 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승인을 얻거나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규칙과 사회적 규범을 따르려고 노력한다. 10세 이후에 도달하게 되지만, 많은 경우 성인기에도 이 수준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1) 3단계 : 착한 소년 작한 소녀 지향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서 타인에 대한 신뢰, 친절, 성실에 가치를 둔다. 아동은 흔히 부모의 도덕 기준을 채택하여 부모가 자신을 착한 아이로 여길 수 있도록 노력한다. 다른 사람을 즐겁게 하고 돕는 행위, 그리고 다른 사람이 승인하는 행위를 도덕적 행위라고 생각한다. 행위자의 의도를 고려하여 옳고 그름을 평가할 수 있다.
2) 4단계 : 법과 질서 유지 지향
도덕 판단이 사회적 질서, 법, 정의, 의무에 대한 이해에 기초한다. 법이 사회질서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지켜야 한다고 믿는다.
3. 제3수준 : 인습 이후 수준
관습적인 도덕 판단을 넘어 정의의 원리가 내면화되어 있는 도덕적 규범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최소한 청소년기, 대개는 성인기가 되기까지는 이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다.
1) 5단계 : 사회적 계약 지향
법을 초월하는 가치와 원리를 추구한다. 법의 목적은 다수의 뜻과 인간의 가치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공평하게 적용되는 법을 따라야 할 의무가 있다고 보는 것이 사회적 계약이다. 그러나 인간의 권리나 존엄성을 위태롭게 하는 강제된 법은 부당하고 변경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6단계 : 보편적 윤리 지향
법이나 사회적 계약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정의와 인간의 권리에 기초한 도덕기준을 발달시킨다. 옳고 그름을 양심에 비추어 판단한다. 실재한다기보다는 이론상으로 존재하는 단계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1. 제1수준 : 인습 이전 수준
도덕 판단이 사회적 관습이나 규칙, 법에 근거하지 않고, 권위에 대한 복종과 외부에서 주어지는 보상 및 처별에 의해 결정된다. 즉, 외부로부터 부여된 규칙을 따르는 이유는 벌을 피하기 위해서이거나 보상을 받기 위해서이다.4-10세 아동이 이 수준에 해당된다.
1) 1단계 : 처벌과 복종 지향
도덕적 사고가 처벌과 연관되어 있다. 행위의 옳고 그름이 결과에 달려 있기 때문에 만약 어떤 잘못된 행위가 들키지 않아서 벌을 받지 않았다면 그 행위를 나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벌이 무거울수록 더 나쁜 행위라고 생각한다.
2) 2단계 : 쾌락주의
개인적인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규칙을 따른다. 타인에 대한 배려를 나타내지만 미래에 자신에게도 이익이 돌아올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그러한 행위를 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사람들 간에 동등한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옳은 행위라고 여긴다.
2. 제2수준 : 인습 수준
도덕 판단이 사회적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진 내면화된 기준, 즉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형식적인 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승인을 얻거나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규칙과 사회적 규범을 따르려고 노력한다. 10세 이후에 도달하게 되지만, 많은 경우 성인기에도 이 수준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1) 3단계 : 착한 소년 작한 소녀 지향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서 타인에 대한 신뢰, 친절, 성실에 가치를 둔다. 아동은 흔히 부모의 도덕 기준을 채택하여 부모가 자신을 착한 아이로 여길 수 있도록 노력한다. 다른 사람을 즐겁게 하고 돕는 행위, 그리고 다른 사람이 승인하는 행위를 도덕적 행위라고 생각한다. 행위자의 의도를 고려하여 옳고 그름을 평가할 수 있다.
2) 4단계 : 법과 질서 유지 지향
도덕 판단이 사회적 질서, 법, 정의, 의무에 대한 이해에 기초한다. 법이 사회질서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지켜야 한다고 믿는다.
3. 제3수준 : 인습 이후 수준
관습적인 도덕 판단을 넘어 정의의 원리가 내면화되어 있는 도덕적 규범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최소한 청소년기, 대개는 성인기가 되기까지는 이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다.
1) 5단계 : 사회적 계약 지향
법을 초월하는 가치와 원리를 추구한다. 법의 목적은 다수의 뜻과 인간의 가치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공평하게 적용되는 법을 따라야 할 의무가 있다고 보는 것이 사회적 계약이다. 그러나 인간의 권리나 존엄성을 위태롭게 하는 강제된 법은 부당하고 변경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6단계 : 보편적 윤리 지향
법이나 사회적 계약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정의와 인간의 권리에 기초한 도덕기준을 발달시킨다. 옳고 그름을 양심에 비추어 판단한다. 실재한다기보다는 이론상으로 존재하는 단계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도덕성 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사회학습이론,인지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A+, 도덕성발달이론) 도덕성발달을 설명하는 피아제와 콜버그 인지발달이론의 공통점과 차이...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지발달이론과 도덕성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
[2016 교육심리학]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계속...
1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교육적시사점 2 계속적강화 간헐적강화 유용성, 네가지 강화계...
1.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도 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2. 계속적강화 간헐적...
인간과교육 1.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인간...
교육심리학 2020] 1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콜버그도덕성발달단계이론 교육적시사점-방...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