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논술의 여섯 가지 쟁점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 논술의 여섯 가지 쟁점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논술은 장르 개념인가, 능력 개념인가?
2. 생각․의견은 사고 개념인가, 언어 개념인가?
3. 주장․근거는 절대 개념인가, 상대 개념인가?
4. 논술은 대립교육인가, 상생교육인가?
5. 논술은 특정 교과교육인가, 통합교과교육인가?
6. 논술은 지식교육인가, 사고교육인가?

본문내용

이 아니라 필 요로 하는 자신의 내적 안목을 높여주는 지식이다.
(예) 빛의 직진(빛은 곧게 직진한다)
- 상생 지식은 한 사람만 배워도 많은 사람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내용으로서 누구나 배워 야 하는 내용이다. 상생 지식은 특정인만 혜택을 주는 지식이 아니고 특정인을 통해서만 실 현되는 지식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 지식이며 다른 사람을 통해서도 실현될 수 있는 지식이다.
(예) 퓨즈 교환(퓨즈 갈아끼우기)
- 논술(토론)은 독점 지식보다 상생 지식을 더 강조하는 교육활동이다.
[문18] 논술에서 요구하는 합리적 사고,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는 각각 어떤 의미인가?
- 합리적 사고는 A라는 이유에 알맞은 B라는 주장을 내세우고, 역으로 B라는 주장에 알맞은 A라는 이유를 제시하는 사고를 말한다.
- 비판적 사고는 A라는 이유를 바탕으로 내세운 B라는 주장이 과연 적절하고, 역으로 B라는 주장을 뒷받침해 주는 A라는 이유가 적절한지를 따져보는 사고를 말한다.
- 창의적 사고는 A라는 이유를 제시하고 그에 알맞은 B라는 주장을 내세운 것을 보고, B 주 장 대신 새로운 C 주장 또는 D 주장을 제시할 수 있는 사고이다. 역으로 A 주장에 알맞은 B라는 이유를 보고, B라는 이유보다는 E라는 이유 또는 F라는 이유를 새롭게 제시할 수 있는 사고이다.
- 논술에서 요구하는 논리적 사고,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사고는 ‘논리적 사고’이다.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도 논리적인 사고가 바탕이 되어야만 공감을 얻어낼 수 있다.
참고 문헌
김세곤(1994). 자유자재 논설문. 도서출판 화인.
(2000). 토론이 재밌니? 논술도 재밌어!. 도서출판 화인.
(2003). “토론학습의 적용 사례”. 교수-학습개선 연수자료. 서울특별시강동교육청.
(2004). “논설문 쓰기”. 맛있는 글 쓰기. 한국문화사.
(2005).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 쓰기 지도 방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인회(1999). “21세기 한국교육과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정신문화연구 제22권 1호. 한 국정문화연구원.
이도흠(2001). 화쟁 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출판부.
(2002). “생태 이론과 화쟁사상의 통합”. 생명에 대한 아홉가지 에세이. 민음사.
이성범(2001). 추론의 화용론. 한국문화사.
이어령(1998). “정보화 시대와 仁의 문화: 유교 사상의 21세기적 패러다임”. 21세기의 도 전, 동양 윤리의 응답.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조동일(1997). 인문학문의 사명. 서울대학교 출판부.
차갑부(1999). “지식기반사회의 평생학습 방향”.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한국교육의 방향과 정책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워크샵 자료집.
차오름(2004). 글쓰기 선생님을 위한 사고력 훈련수업. (주)미래M&B.
최현섭(2005). “언어교육의 새 Paradig을 위하여-상생화용론 서설”. 청람어문교육 제30 권. 청람어문교육학회.
하병학(2000). 토론과 설득을 위한 우리들의 논리. 철학과 현실사.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