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급현황
가. 학급 인원
나. 학급 특성
다. 학습 능력별 학생 현황
2. 단원 개관
가. 단원 개요
나. 단원 설정 이유
다. 단원의 이해
라. 단원의 목표
라. 단원 지도 계획 및 내용
마. 평가의 관점
3. 본시 학습 지도 계획
가. 본시 지도 계획
나. 교육활동 배치도
다. 본시 수업진행 방법
라. 보조교사의 역할
마. 본시 지도상의 유의점
바. 본시 지도 내용 및 활동
사. 학습내용별 활동 자료
아. 학생별 본시 학습 평가
가. 학급 인원
나. 학급 특성
다. 학습 능력별 학생 현황
2. 단원 개관
가. 단원 개요
나. 단원 설정 이유
다. 단원의 이해
라. 단원의 목표
라. 단원 지도 계획 및 내용
마. 평가의 관점
3. 본시 학습 지도 계획
가. 본시 지도 계획
나. 교육활동 배치도
다. 본시 수업진행 방법
라. 보조교사의 역할
마. 본시 지도상의 유의점
바. 본시 지도 내용 및 활동
사. 학습내용별 활동 자료
아. 학생별 본시 학습 평가
본문내용
들과 재미있는 공놀이를 해 볼 거예요.’
-‘두 명씩 짝을 지어서 같이하는 놀이예요’
-‘A , C ’
-‘A 와 C 가 한 조예요.‘
(두 학생이 손을 마주 잡도록 한다)
-‘B , D ’
-‘B , D 가 한 조예요.’
(두 학생이 손을 마주 잡도록 한다)
A
-놀이의 과정을 교사가 설명하며 시범을 보인다..
-놀이 과정 설명-
-공굴리기 시소 양 끝에 각 학생을 앉도록 지시한다.
- A 는 도움 없이 공을 넣고 공이 한쪽으로 구르도록 공을 힘껏 밀기를 연습시킨다.
-A가 직접 공을 밀면서 큰소리로 숫자를 세도록 한다.
-공이 한쪽 끝까지 굴러가면 반대편 C가 공을 만지고 바라보도록
공으로 소리를 내준다.
4.공을 상대방이 받을 수 있도록 끝까지 보낸 후 서로 박수를 치도록 한다.
C
B
-공굴리기 시소 양 끝에 각 학생을 앉힌다.
-학생이 도움을 받아 공을 넣으면 공이 한쪽으로 구르도록 시소를 움직여 준다.
-공이 한쪽으로 굴러가면서 나는 소리를 들으며 공의 움직임에도 집중하도록 계속 주의를 환기 시켜준다.
D
개별 교수 활동
-‘이제 끝나는 종소리가 들리네요.’
-‘이번 시간에는 공을 가지고 여러 가지 놀이를 해보았어요.’
-‘열심히 참 잘했어요. 모두 박수치면서 이 시간을 마치겠어요.’
-‘다같이 박수!’
친구야! 공놀이 하자***
공통 학생 활동
-교사의 말과 행동을 집중해 듣고 본다.
-교사가 이름을 부르면 교사를 바라보고 말로 대답하거나 몸으로 표현하며 반응한다.
-둘씩 손을 잡아 같이 놀이를 하게 됨을 안다.
A
-놀이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교사와 함께 반복 시연해보고 익힌다.
- C 는 보조교사의 도움을 받아 공을 만져보고 밀어본다.
- A 는 C를 먼저 불러서 바라보게 한 후 스스로 힘을 조절해 민다.
- A는 C에게 밀면서 숫자를 센다.
-C는 A 옆에서 A가 끝까지 밀어주면 박수를 쳐준다.
C
B
-공굴리기 시소에 관심을 갖고 만져본다.
-공을 바꿔가며 시소통 속에 넣고 굴러가는 모습과, 굴러갈 때 나는 소리를 집중해 듣고 쳐다본다.
D
개별 학생 활동
-종소리가 나면 집중해 듣는다.
-교사의 말과 행동을 집중해 듣고 본다.
-교사의 말을 듣고 박수를 친다.
네 번째 퍼포먼스에서는 친구들과 협력하는 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두 명씩 서로를 쳐다보고 상대를 인식하고 도와주도록 유도한다.
학생들이 활동할 때 분위기를 띄워주기 위해 학생들에게 친근하면서 빠르고 경쾌한 배경음악을 조그맣게 틀어놓는다.
(풍선, 아기돼지,
단풍잎 등)
A , C 는
공이 끝까지 굴러오면 같이 박수를 치며 격려하여 자신감을 갖도록 해준다.
B, D 의
공굴리기 시소는 교사가 임의로 조작하여 공의 굴림을 조절한다.
학생들이 고개를 들고 바라보도록 이름을 자주 불러준다.
사. 학습내용별 활동자료
단계
내용
시간
자료
공 통
개 인
도입
수업열기
약5분
*학생들의 공부 모습이 담긴 영상자료
-‘공부 시작합시다’
*여러 가지 크기의 공들
(탁구공, 탱탱볼, 비치볼, 고무공, 농구공 등)
*투명주머니 달린 앞치마
*‘공’또는‘궁’,‘곰’자 등이 쓰여진
여러 개의 공
*소리 나는 공
-( B , D)
전개
퍼포먼스1
‘공으로
꾸며요‘
약5분
*허수아비인형 (2개)
*촉감과 색이 다른 여러 개의 공을 붙여 장식한 허수아비 옷 (2벌)
*허수아비 노래 동영상자료
*끈이 달린 공 3~4개
-(B , D)
* 방울소리 나는 공
-(C)
퍼포먼스2
‘공이 이만큼 커요’
약
10분
*지름 90㎝의 큰 공
*‘공놀이’ 노래자료
*작은 비치공
*20개의 공이 담긴 바구니 2~3개
*바람 뺀 공을 담을 작은 상자
퍼포먼스3
‘쉿! 소리를
들어요‘
약
10분
*여러 가지 공, 인형, 상자, 학용품 등이 들어있는 주머니 (2~3개)
*벽에 부착할 검은색 과녁
*크기와 모양이 다른 3개의 공이 담긴 그림자료
-(A)
*소리 나는 공
-(D)
정리
퍼포먼스4
‘친구야! 공놀이
하자’
약
10분
*여러 가지 크기와 질감의 공들
*공을 담을 작은 바구니
* 투명볼이 매달린 헬륨 풍선 10개
-(A 와 C)
*1~9까지 적힌 공놀이텐트
-(A 와 C)
*방울이 달려있는 공굴리기 시소통
-(B 와 D)
*핸드벨과 차임벨
-(B 와 D)
학생
평 가 내 용
결과
A
교사와 바르게 인사하고 수업 중에 바른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다.
공의 다양한 움직임을 집중해보고 공을 꺼내어 만질 수 있다.
여러 질감과 크기의 공을 찾아 같은 것끼리 모을 수 있다.
교사의 지시어를 듣고 공을 붙이고, 굴리는 등의 행동을 스스로 할 수 있다.
교사가 하는 말을 집중해서 들고 이해할 수 있다.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여러 사물 중에서 공을 찾아보고 공을 던질 때 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공부의 시작과 끝을 알고 지킬 수 있다.
C
교사와 바르게 인사하고 수업 중에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공의 다양한 움직임에 집중해보고 공을 꺼내어 만질 수 있다.
교사의 지시어를 듣고 공을 붙이고, 굴리는 등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
여러 사물 중에서 공을 찾아보고 공을 던질 때 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공놀이를 할 때 친구를 도와 공을 전해줄 수 있다.
B
교사와 고개 들고 시선을 맞추며 인사하기를 할 수 있다.
공의 다양한 움직임에 집중해보고 공을 꺼내어 만질 수 있다.
교사의 지시어를 듣고 공을 붙이고, 굴리는 등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
여러 사물 중에서 공을 찾아보고 공을 던질 때 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공놀이를 할 때 친구와 협력하여 공굴리기 놀이를 할 수 있다.
D
교사와 고개 들고 시선을 맞출 수 있다.
공의 다양한 움직임에 집중해보고 공을 꺼내어 만질 수 있다.
교사의 지시어를 듣고 공을 붙이고, 굴리는 등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
여러 사물 중에서 공을 찾아보고 공을 던질 때 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공놀이를 할 때 친구와 협력하여 공굴리기 놀이를 할 수 있다.
평가기준
1. 전혀 수행할 수 없다.
2. 전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3. 약간의 도움으로 수행 가능하다.
4. 혼자서 수행이 가능하다.
아. 학생별 본시학습 평가
-‘두 명씩 짝을 지어서 같이하는 놀이예요’
-‘A , C ’
-‘A 와 C 가 한 조예요.‘
(두 학생이 손을 마주 잡도록 한다)
-‘B , D ’
-‘B , D 가 한 조예요.’
(두 학생이 손을 마주 잡도록 한다)
A
-놀이의 과정을 교사가 설명하며 시범을 보인다..
-놀이 과정 설명-
-공굴리기 시소 양 끝에 각 학생을 앉도록 지시한다.
- A 는 도움 없이 공을 넣고 공이 한쪽으로 구르도록 공을 힘껏 밀기를 연습시킨다.
-A가 직접 공을 밀면서 큰소리로 숫자를 세도록 한다.
-공이 한쪽 끝까지 굴러가면 반대편 C가 공을 만지고 바라보도록
공으로 소리를 내준다.
4.공을 상대방이 받을 수 있도록 끝까지 보낸 후 서로 박수를 치도록 한다.
C
B
-공굴리기 시소 양 끝에 각 학생을 앉힌다.
-학생이 도움을 받아 공을 넣으면 공이 한쪽으로 구르도록 시소를 움직여 준다.
-공이 한쪽으로 굴러가면서 나는 소리를 들으며 공의 움직임에도 집중하도록 계속 주의를 환기 시켜준다.
D
개별 교수 활동
-‘이제 끝나는 종소리가 들리네요.’
-‘이번 시간에는 공을 가지고 여러 가지 놀이를 해보았어요.’
-‘열심히 참 잘했어요. 모두 박수치면서 이 시간을 마치겠어요.’
-‘다같이 박수!’
친구야! 공놀이 하자***
공통 학생 활동
-교사의 말과 행동을 집중해 듣고 본다.
-교사가 이름을 부르면 교사를 바라보고 말로 대답하거나 몸으로 표현하며 반응한다.
-둘씩 손을 잡아 같이 놀이를 하게 됨을 안다.
A
-놀이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교사와 함께 반복 시연해보고 익힌다.
- C 는 보조교사의 도움을 받아 공을 만져보고 밀어본다.
- A 는 C를 먼저 불러서 바라보게 한 후 스스로 힘을 조절해 민다.
- A는 C에게 밀면서 숫자를 센다.
-C는 A 옆에서 A가 끝까지 밀어주면 박수를 쳐준다.
C
B
-공굴리기 시소에 관심을 갖고 만져본다.
-공을 바꿔가며 시소통 속에 넣고 굴러가는 모습과, 굴러갈 때 나는 소리를 집중해 듣고 쳐다본다.
D
개별 학생 활동
-종소리가 나면 집중해 듣는다.
-교사의 말과 행동을 집중해 듣고 본다.
-교사의 말을 듣고 박수를 친다.
네 번째 퍼포먼스에서는 친구들과 협력하는 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두 명씩 서로를 쳐다보고 상대를 인식하고 도와주도록 유도한다.
학생들이 활동할 때 분위기를 띄워주기 위해 학생들에게 친근하면서 빠르고 경쾌한 배경음악을 조그맣게 틀어놓는다.
(풍선, 아기돼지,
단풍잎 등)
A , C 는
공이 끝까지 굴러오면 같이 박수를 치며 격려하여 자신감을 갖도록 해준다.
B, D 의
공굴리기 시소는 교사가 임의로 조작하여 공의 굴림을 조절한다.
학생들이 고개를 들고 바라보도록 이름을 자주 불러준다.
사. 학습내용별 활동자료
단계
내용
시간
자료
공 통
개 인
도입
수업열기
약5분
*학생들의 공부 모습이 담긴 영상자료
-‘공부 시작합시다’
*여러 가지 크기의 공들
(탁구공, 탱탱볼, 비치볼, 고무공, 농구공 등)
*투명주머니 달린 앞치마
*‘공’또는‘궁’,‘곰’자 등이 쓰여진
여러 개의 공
*소리 나는 공
-( B , D)
전개
퍼포먼스1
‘공으로
꾸며요‘
약5분
*허수아비인형 (2개)
*촉감과 색이 다른 여러 개의 공을 붙여 장식한 허수아비 옷 (2벌)
*허수아비 노래 동영상자료
*끈이 달린 공 3~4개
-(B , D)
* 방울소리 나는 공
-(C)
퍼포먼스2
‘공이 이만큼 커요’
약
10분
*지름 90㎝의 큰 공
*‘공놀이’ 노래자료
*작은 비치공
*20개의 공이 담긴 바구니 2~3개
*바람 뺀 공을 담을 작은 상자
퍼포먼스3
‘쉿! 소리를
들어요‘
약
10분
*여러 가지 공, 인형, 상자, 학용품 등이 들어있는 주머니 (2~3개)
*벽에 부착할 검은색 과녁
*크기와 모양이 다른 3개의 공이 담긴 그림자료
-(A)
*소리 나는 공
-(D)
정리
퍼포먼스4
‘친구야! 공놀이
하자’
약
10분
*여러 가지 크기와 질감의 공들
*공을 담을 작은 바구니
* 투명볼이 매달린 헬륨 풍선 10개
-(A 와 C)
*1~9까지 적힌 공놀이텐트
-(A 와 C)
*방울이 달려있는 공굴리기 시소통
-(B 와 D)
*핸드벨과 차임벨
-(B 와 D)
학생
평 가 내 용
결과
A
교사와 바르게 인사하고 수업 중에 바른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다.
공의 다양한 움직임을 집중해보고 공을 꺼내어 만질 수 있다.
여러 질감과 크기의 공을 찾아 같은 것끼리 모을 수 있다.
교사의 지시어를 듣고 공을 붙이고, 굴리는 등의 행동을 스스로 할 수 있다.
교사가 하는 말을 집중해서 들고 이해할 수 있다.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여러 사물 중에서 공을 찾아보고 공을 던질 때 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공부의 시작과 끝을 알고 지킬 수 있다.
C
교사와 바르게 인사하고 수업 중에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공의 다양한 움직임에 집중해보고 공을 꺼내어 만질 수 있다.
교사의 지시어를 듣고 공을 붙이고, 굴리는 등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
여러 사물 중에서 공을 찾아보고 공을 던질 때 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공놀이를 할 때 친구를 도와 공을 전해줄 수 있다.
B
교사와 고개 들고 시선을 맞추며 인사하기를 할 수 있다.
공의 다양한 움직임에 집중해보고 공을 꺼내어 만질 수 있다.
교사의 지시어를 듣고 공을 붙이고, 굴리는 등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
여러 사물 중에서 공을 찾아보고 공을 던질 때 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공놀이를 할 때 친구와 협력하여 공굴리기 놀이를 할 수 있다.
D
교사와 고개 들고 시선을 맞출 수 있다.
공의 다양한 움직임에 집중해보고 공을 꺼내어 만질 수 있다.
교사의 지시어를 듣고 공을 붙이고, 굴리는 등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
여러 사물 중에서 공을 찾아보고 공을 던질 때 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다.
공놀이를 할 때 친구와 협력하여 공굴리기 놀이를 할 수 있다.
평가기준
1. 전혀 수행할 수 없다.
2. 전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3. 약간의 도움으로 수행 가능하다.
4. 혼자서 수행이 가능하다.
아. 학생별 본시학습 평가
추천자료
체육과 이해 중심 게임 수업 모형 지도안 - 3학년 체육 게임영역 3. 공놀이 지도안
정서장애아동과 정신지체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 프로그램, 시각장애아동과 청각장...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 어휘력과 독해력신장활동,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
장애아동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필요성,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 ...
장애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의의와 유형, 정신지체아동, 지체장애아동(지체부자...
[놀이치료][놀이][치료][시각장애아동]놀이치료의 종류, 놀이치료의 실제, 놀이치료와 시각장...
[아동 놀이활동][특수교육아동][정신지체아동][자폐아동]특수교육아동 놀이활동, 정신지체아...
아동문학 교육과 관련한 주요이론을 반응중심 문학활동과 통합적 문학활동의 개념을 중심으로...
아동 문학 교육과 관련한 주요 이론을 반응중심 문학활동과 통합적 문학활동의 개념을 중심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