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아방가르드 키치⌟ (1939)
Ⅲ. ⌜더 새로운 라오콘을 위하여⌟ (1940)
Ⅳ. ⌜모더니즘 회화론⌟ (1960)
Ⅴ. 결론
Ⅱ. ⌜아방가르드 키치⌟ (1939)
Ⅲ. ⌜더 새로운 라오콘을 위하여⌟ (1940)
Ⅳ. ⌜모더니즘 회화론⌟ (1960)
Ⅴ. 결론
본문내용
또한 전통의 계속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모더니즘 미술은 미술의 연속성이라는 견지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Ⅴ. 결론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회화에 대한 논의는 회화가 자신의 매체의 특수한 효과들에 집중함으로써 그에 내재되어 있는 회화적 관습들이 미적으로 타당한가 즉 진정으로 본질적인 것인가를 끊임없이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순수함’이라는 본질에 접근해가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모더니즘 회화에서 자신이 추구한 순수함을 위해 그린버그는 예술이라는 영역을 제반 사회와 분리시켜 정당화함으로써, 예술이나 예술가에게 사회, 정치적 상황에 대한 무관심을 조장하여 사회적 기능이나 필연성을 잃게 했다는 비판을 초래하였고, 아방가르드와 키치로 대변되는 이분법에 의한 단순하고 형식주의적인 미학으로 명성은 얻었지만 그것은 냉전시대에나 걸맞는 것이었다는 비난을 받게 되었다. 그린버그는 회화로 보일 수 있는 회화를 추구했지만, 현대의 각종 전시회나 비엔날레 등의 미술행사에서는 회화의 행방은 묘연하다. 즉 회화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떠올려야하고 자연히 회화의 가치란 무엇에 있는 것인가라는 질문이 수반될 것이다. 예술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이나 예술의 효과를 주로 다루었던 예전의 미학적 입장과 달리, 그린버그는 칸트와 헤겔로부터 예술의 본성에 대한 질문을 이어받아 실천적인 측면과 접목시켜서 탐구하였다는 점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고명석, [예술과 테크놀로지], 새빛북스, 2014
Harris, 정성철 조선령 역 [미국에서의 모더니즘과 문화] 1930-1960,
Daval, 홍승혜 역 [추상미술의 역사], 서울:미진사, 1994
강태희, [현대미술의 문맥읽기], 서울: 미진사, 1995
이 일, [현대미술에서의 환원과 확산], 열화당, 1991
조주연, [미학] “형식주의와 모더니즘”, 책세상, 김진영-이선규 엮음, 2007
이영철 편역, [현대미술과 모더니즘론], 서울:시각과 언어, 1997
클레멘트 그린버그, [예술과 문화], 조주연 옮김,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4
강손근,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미술비평』, 대동철학회지 제32집, (2005.12)
김영나,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미술이론과 비평』,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8, (1996.12)
김성이, 『그린버그(C. Greenberg)의 모더니즘 繪畵論』, 학위논문(석사) --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美術敎育專攻, (1998. 2)
Ⅴ. 결론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회화에 대한 논의는 회화가 자신의 매체의 특수한 효과들에 집중함으로써 그에 내재되어 있는 회화적 관습들이 미적으로 타당한가 즉 진정으로 본질적인 것인가를 끊임없이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순수함’이라는 본질에 접근해가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모더니즘 회화에서 자신이 추구한 순수함을 위해 그린버그는 예술이라는 영역을 제반 사회와 분리시켜 정당화함으로써, 예술이나 예술가에게 사회, 정치적 상황에 대한 무관심을 조장하여 사회적 기능이나 필연성을 잃게 했다는 비판을 초래하였고, 아방가르드와 키치로 대변되는 이분법에 의한 단순하고 형식주의적인 미학으로 명성은 얻었지만 그것은 냉전시대에나 걸맞는 것이었다는 비난을 받게 되었다. 그린버그는 회화로 보일 수 있는 회화를 추구했지만, 현대의 각종 전시회나 비엔날레 등의 미술행사에서는 회화의 행방은 묘연하다. 즉 회화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떠올려야하고 자연히 회화의 가치란 무엇에 있는 것인가라는 질문이 수반될 것이다. 예술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이나 예술의 효과를 주로 다루었던 예전의 미학적 입장과 달리, 그린버그는 칸트와 헤겔로부터 예술의 본성에 대한 질문을 이어받아 실천적인 측면과 접목시켜서 탐구하였다는 점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고명석, [예술과 테크놀로지], 새빛북스, 2014
Harris, 정성철 조선령 역 [미국에서의 모더니즘과 문화] 1930-1960,
Daval, 홍승혜 역 [추상미술의 역사], 서울:미진사, 1994
강태희, [현대미술의 문맥읽기], 서울: 미진사, 1995
이 일, [현대미술에서의 환원과 확산], 열화당, 1991
조주연, [미학] “형식주의와 모더니즘”, 책세상, 김진영-이선규 엮음, 2007
이영철 편역, [현대미술과 모더니즘론], 서울:시각과 언어, 1997
클레멘트 그린버그, [예술과 문화], 조주연 옮김,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4
강손근,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미술비평』, 대동철학회지 제32집, (2005.12)
김영나,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미술이론과 비평』,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8, (1996.12)
김성이, 『그린버그(C. Greenberg)의 모더니즘 繪畵論』, 학위논문(석사) --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美術敎育專攻, (1998.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