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아트(pop art) 문화 현상 해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팝아트(pop art) 문화 현상 해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소비사회의 도래와 팝아트의 등장

2. 두 얼굴의 팝아트
 1) 팝아트의 개념과 배경
 2) 팝아트의 사례 - 영국, 미국의 팝아트

3. 팝아트에 대한 관점들
 1) 문화산업론적 비판
 2) 모더니즘적 비판
 3) 팝아트와 시뮬라크르

4. 팝아트의 현대 사례와 가능성
 1) 팝아트의 '탈범주성'
 2) 뉴미디어와 팝아트의 만남, 실험성

5. 결론

참고문헌 / 그림목차

본문내용

화, 자르고 붙이기의 기법들을 더욱 더 쉽게 만들어 주었다. 박상권, 디지털 컨텐츠에 나타난 팝아트적 요소에 관한 고찰: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동명대 대학원, 2008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특성은 팝아트 작품의 창작에 있어 더 이상 계획된 유일성이라는 가치를 보장해주지 않았다. 기존의 팝아트는 동일한 작품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를 주어 유일성이라는 계획된 가치를 만들어 냈지만, 디지털의 특성을 이용하면 누구나 원본과 똑같은 동일성을 가진 작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작품의 유통은 기존의 전시와 관람, 즉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대중)의 직접적인 참여도 가능하게 한다. 과거에 소수의 팝아트 작가들이 작품을 대량으로 찍어내어 생산자의 역할을 하고 일반 대중들은 그것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역할이었다면, 이제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 없이 누구나 자신만의 다양한 팝아트 작품을 쏟아놓는 시대가 되었다. 이처럼 쌍방향적인 대중의 참여로 인해 팝아트 스스로의 다양성이 보장되게 되었고 팝아트의 특성을 가진 디지털 콘텐츠들도 등장하였다.
그렇다면 뉴미디어 시대에 팝아트는 어떤 모습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결합하였을까. 대표적인 예로는 쌈지의 웹 사이트를 들 수 있다.
서울 인사동에 위치한 쌈지길은 그 자체로도 충분한 볼거리가 되지만 그 광경을 접한 대중이 디지털 사진과 편집된 컨텐츠를 통하여 웹사이트에 공개하여 하나의 컨텐츠 오브제로 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딸기가 좋아, 쌈넷, 일러팝 등의 다양한 사이트를 통하여 대중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일에 앞장서며, 예술의 생활화를 실현하고 있다. 박상권, 디지털 컨텐츠에 나타난 팝아트적 요소에 관한 고찰: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동명대 대학원, 2008
이러한 웹사이트 이외에도 UCC, 블로그 스킨 등에도 대중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이미지, 일러스트 등을 사용해 개인의 취향을 담은 수많은 팝아트 작품을 만들고 선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엄청난 보급률을 보여주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자신의 취향을 살려 여러 이미지를 차용해 팝아트 작품들을 만들 수 있다. Fxcamera라는 어플을 이용하면 여러 편집과정 없이 앤디워홀이 직접 만들어낸 듯한 사진이 나온다. 포토샵의 스마트폰판인 PSExpress라는 어플을 통해서도 언제 어디서나 기존의 이미지를 자르고 붙여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 수 있다.
이처럼 대중이 예술에 참여를 하여 다수의 콘텐츠가 나온다는 것은 앞으로 질적 양적 양면으로 한 단계 나은 콘텐츠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준다. 조환채, 순수 미디어 아트와 상업적 미디어 상관 관계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2007
5. 결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시도를 하는 작품들이 등장하였고, 지금도 계속하여 새로운 작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처럼 기술적으로 발전한 시대에 과연 기술과 예술의 관계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 것 일까? 급변하는 기술이 예술의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기술의 발전이 예술에 형식적인 새로움, 즉 새로운 자극만을 주고 있는 것일까? 조환채, 순수 미디어 아트와 상업적 미디어 상관 관계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2007
우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기술과 예술의 우위성을 따지기 보다는, 그 두 영역이 어떻게 상호 보완되어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가에 대해 얘기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런 상호 보완적인 관점에서 현재의 팝아트는 기술과 예술, 두 영역의 조화가 긍정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의 팝아트는 뉴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대중의 주체적인 참여가 가능해지고, 그러한 참여를 통해 예술의 상업성도 해결해낼 수 있는 방법까지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팝아트의 변화는 대중이 예술에 느끼는 거리감을 좁혀주고,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를 허물어 다량의 작품들을 쏟아내어 그를 통해 긍정적인 발전을 이끌어 내고 있다. 이와 같은 긍정적인 변화가 계속되고 주체적인 소비자(생산자)로써의 대중의 역할이 더 활발해지면 팝아트가 앞으로의 예술사의 흐름에 긍정적인 일조를 할 것이라고 예상해 보는 바이다.
참고 문헌
김보연, 앤디 워홀의 차용과 반복 이미지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김병헌,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역사적 형식주의’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08
데이비드 매카시, 팝아트, 열화당, 2003, p.19
박상권, 디지털 컨텐츠에 나타난 팝아트적 요소에 관한 고찰, 동명대 대학원, 2008
벤야민, 기계적 재생산 시대의 예술 작품, 1936
서승택, pop on web 프로젝트, 경기문화재단, 2007
이광래, 해체주의와 그 이후, 열린책들, 2007, p277~278
이광태, 미술을 철학한다, 미술문화, 2007
이재준, 윤이에게 보내는 아빠의 현대미술 편지, 풀로엮은집, 2006
이태경, 1980년대 미국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상품성 연구, 홍익대학교, 2010
임창석, 아서 단포의 예술개념에 관한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2009
전지예, Pop-Art에 나타난 시뮬라크르 현상 연구, 경북대학교, 2005
조광제, 미술 속 발기하는 사물들, 안티쿠스, 2007
조명식, 팝아트의 대중주의 전략과 그 한계: 탈구축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2010
조환채, 순수 미디어 아트와 상업적 미디어 상관 관계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2007
진휘연, 미술과 일상성의 전치와 병합, 민음사, 2002
Clement Greenberg, 'Modernist Painting', in: CEC, IV, p.86
그림 목차
그림 1 해밀턴, <무엇이 오늘의 가정을 이토록 색다르고 매력적으로 만드는가?> 1956
그림 2 앤디워홀, <캠벨수프> 1962
그림 3 앤디워홀, <마릴린 먼로> 1967
그림 4 앤디워홀, <마오쩌둥> 1972
그림 5 앤디워홀 <앨비스I과 II> 1964
그림 6 로버트 인디애나 <아메리칸 드림 I> 1961
그림 7 앤디 워홀 <브릴로 상자> 1964
그림 8 리히텐슈타인 <행복한 눈물> 1964
그림 9 쌈지넷의 메인 화면
그림 10 개인이 제작한 블로그 스킨
그림 Fxcamera로 찍은 사진
  • 가격2,4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04.1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