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독교와 민주화 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기독교와 민주화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책고백에 대해 비난했고 미국군대의 점진적 철수에 대해서도 북한의 대남적화논리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수교회의 친미-반공주의는 ‘88선언’의 진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못하게 했다.
1990년대 보수교회의 대북태도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기독교총연합은 1990년 7월에 쌀 1만톤을 북한에 보냈다. 1992년에는 복음주의권 교회와 NCC는 ‘평화통일을 위한 남북나눔운동’(12.9)을 결성했고, 1993년에는 범교단적인 ‘통일희년사업국’이 조직되었다. 한국교회는 인도적인 지원을 위해 보수와 진보가 연합하였다. 1995년 북한의 수해 이후, NCC의 통일운동은 북한돕기, 남북합의서 이행촉구로 나타났으나 정부는 적십자사를 대북지원 창구로 단일화 하여 북한지원을 방해했고, 교회는 해외를 통해 식량이나 약품을 보냈다.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은 1997년 IMF의 위기로 소강상태에 빠졌다. 김대중 정부는 햇볕정책을 추진하여 2000년 6.15 공동선언을 발표했으나 2001년 미국의 9.11테러 사건 이후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과 북한의 핵개발로 인해 한반도는 다시 긴장상태로 돌아갔다. 노무현 정권은 2007년에 10.4.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참고문헌
이덕주, 조이제 엮음, 『한국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고백』(서울: 한들, 1997)
김흥수, 서정민 엮음, 『한국 기독교사 탐구』(대한기독교서회: 2011)
강위조, 서정민 엮음, 『한국 기독교사와 정치』(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장규식, “군사정권귀 한국교회와 국가권력: 정교유착과 과거사 청산의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제24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편「한국 기독교 역사3」(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권진관, “1970년대의 산업선교 활동과 특징.”「한국기독교와 역사」22호(2005년 3월)
7.발제자가 던지는 질문.
Q1) 한국기독교는 민주화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했는가?
Q2) 그렇다면 오히려 민주화에 걸림돌이 되었던 한국기독교는 왜 그랬을까?
Q3) 부분적 한국 기독교인들은 민주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들이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끔 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Q4) 그렇다면, 현재 한국에는 민주화가 이루어 졌는가?
Q5) 한국의 민주화가 진행형이라면, 한국 기독교 인으로서 역사를 통해 우리가
보았듯이 이제 우리가 감당해야 할 사명은 무엇인가?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각자 성실히 준비해서 함께 논의해 봅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