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와 에큐메니칼 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와 에큐메니칼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 KNCC의 태동과 역사

2. KNCC의 민주화 및 에큐메니칼 운동
(1) 전태일의 죽음으로 한국교회, 인권을 자각하고 시대적 사명에 눈뜨다
(2) 유신체제의 도전과 이에 맞서는 한국교회
(3)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과 한국교회의 대응

3. 광주민중항쟁과 KNCC

4. KNCC의 ‘88선언’ 및 통일운동

나가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 이 논란은 쉽게 잠잠해지지 않을 것 같다. 가톨릭 신자인 이회창 대표도 입장을 발표했으며 전국가톨릭평신도협회에서도 성명을 낸다고 한다. 정의구현사제단의 홈페이지에는 찬성과 반대 글들로 도배가 되어 있다. 한 쪽에서는 추기경의 잘못을 지적하고 또 한 쪽에서는 그래도 여론을 통한 추기경 공개 비판은 분명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그나마 강력한 교회 일치의 모습을 보여주었던 가톨릭교회가 흔들리는 모습이다.
감리교회는 더욱 가관이다. 한국 감리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장로교 장로가 감리교회의 수장을 맡게 되었다. 일부에서는 감리교 치욕, 법원이 감리교를 모욕했다고 성토하고 있지만 결국 이 모든 게 감리교의 자업자득임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한 교회(가톨릭교회)의 입장 일치, 한 교단(감리교)의 하나 됨도 이렇게 요원하게만 느껴질진대 개 교회 및 개 교파를 넘어선 보다 큰 차원의 일치 몇 연합은 시대상황으로 볼 때 더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그 동안 KNCC는 한국교회의 일치와 연합을 위해 존재해 왔으며 타교파, 타종교까지 아우르며 진정한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해 노력해왔다. 기독교 장로인 이명박 정권이 들어선 후, 그 어느 때보다 연합과 협력이 중요한 한국 사회에서 KNCC가 본래의 예언자적인 사명을 감당해나가길 기대하며 또한 이제는 더 이상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할 것이 아니라 개인구원이 곧 사회구원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사회구원이 곧 개인구원과 다르지 않음을 우리 모두가 자각하여 더 이상 불필요한 대립이나 분열을 막고 화합과 일치, 연합과 협력으로 나아가는 한국교회가 되기를 소망한다.
참고문헌
김상근. “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는 인권민주화 운동에 나섰나?”「내일을 여는 역 사」2006.
박상증 편저.『한국교회와 에큐메니칼 운동』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이유나. “‘88선언’ 전후시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의 통일운동과 제 세력의 통일운동 전개”「한국기독교와 역사」제32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전택부.『한국에큐메니칼운동사』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79.
______. “일제하 한국 NCC 운동.”「기독교사상」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8.
조이제. “한국교회와 인권운동 30년-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를 중심으로”「한국기 독교역사연구소소식」제74호, 2006.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신학연구위원회.『에큐메니칼 신학과 운동』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 회, 1999.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1970년대 민주화운동Ⅰ』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980년대 민주화운동Ⅰ』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한국교회 인권선교 20년사』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 회, 1994.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70년 역사편찬위원회.『하나되는 교회 그리고 세계』서울 : 대한기독 교서회, 1994.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