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기독교조선교단에 대한 에큐메니칼 의미 이해
1. 서론
2. 일제의 종교보국(宗敎保國) 정책
3. 일본기독교조선교단 설립 과정에 나타난 일제의 활동
4. 해방이후의 조선교단의 진로
5. 조선교단의 에큐메니칼 의미
5. 결론
□ 참고도서
1. 서론
2. 일제의 종교보국(宗敎保國) 정책
3. 일본기독교조선교단 설립 과정에 나타난 일제의 활동
4. 해방이후의 조선교단의 진로
5. 조선교단의 에큐메니칼 의미
5. 결론
□ 참고도서
본문내용
‘조선교단’ 설립이 식민지 지배체제를 강화하고, 전시체제를 뒷받침할 세력 형성 및 통제라는 분명한 목적 안에서 진행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제의 분명한 의도가 ‘조선교단’ 설립 전개과정에서 매우 조직적이고, 직접적인 형태로 나타났음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이것은 분명히 불순한 의도가 내포되었지만, 조선교단이 단일교파 교회라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에큐메니칼 현상이 일어날 수 있게 된 하나의 분명한 동력원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즉, 일반적인 에큐메니칼 신학의 관점에서는 교회라는 조직 내부의 영역에서, 에큐메니칼 운동을 지향한 세력과 동력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왔으며, 그것들을 평가해 왔다. 그러나 조선교단의 경우에는 교회라는 조직을 벗어난 세력, 즉 일제라는 하나의 국가 권력에 의해서 에큐메니칼 운동이 나타났으며, 강압적이고 강제적인 상황 속에서 단일교단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부분은 이전의 에큐메니칼 신학의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힘든 새로운 형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선교단의 수립의 의미에 대해서는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에큐메니칼 시각에서 조명되어야 하겠다.
서정민은 조선교단의 이러한 특성에 대해서 조선교단 수립의 표면적인 모습은 에큐메니칼 현상이지만, 신학적인 의미로 평가했을 때는 반(反) 에큐메니칼 세력의 동력 작용에 의한 ‘유사 에큐메니칼’현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2010년 2학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과정인 「에큐메닉스 세미나」에서 설명했다.
설명한다.
아울러, 비록 일제에 불순한 의도와 동기 속에서 태동한 조선교단이 해방 이후 일제의 통제와 간섭이 벗어난 상황 속에서도 연합교회로써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는 측면에서도 그 의미를 분명히 평가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앞서 밝힌 것처럼, 조선교단이 단일교단이라는 정통성에 문제와 그 내부 세력이 해방이후에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의도가 있었다 하더라도, 역사적인 평가에 있어서 그들이 ‘하나의 교회’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사실적인 요소로서 평가되어야 하고, 특히 에큐메니칼 신학의 관점에 있어서 그 의미 평가는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참고도서
1.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 기독교의 역사Ⅱ」(기독교문사, 1990)
2. 김인수, 「일제의 한국 교회 박해사」(대한기독교서회, 2006)
3. 서정민, 「일제 말 ‘일본기독교조선교단’ 형성과정」(한국기독교와 역사 제16호, 2002)
4. ______, 「한일 기독교 관계사 연구」(대한기독교서회, 2002)
5. ______, 「일본기독교의 한국인식」(한울아카데미, 2000)
6. ______, 「일본기독교단」의 초기 형성과정 연구(현대와 신학 제27집,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5. 민경배, 「정인과와 그 시대」(한국교육사학연구원, 2002)
7. 전택부, 「한국교회발전사」(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8. ______, 「한국에큐메니칼운동사」(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79)
9. 이덕주, 「한국교회 연합 운동의 역사적 맥락」(기독교사상 제40호, 1996)
또한 이것은 분명히 불순한 의도가 내포되었지만, 조선교단이 단일교파 교회라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에큐메니칼 현상이 일어날 수 있게 된 하나의 분명한 동력원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즉, 일반적인 에큐메니칼 신학의 관점에서는 교회라는 조직 내부의 영역에서, 에큐메니칼 운동을 지향한 세력과 동력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왔으며, 그것들을 평가해 왔다. 그러나 조선교단의 경우에는 교회라는 조직을 벗어난 세력, 즉 일제라는 하나의 국가 권력에 의해서 에큐메니칼 운동이 나타났으며, 강압적이고 강제적인 상황 속에서 단일교단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부분은 이전의 에큐메니칼 신학의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힘든 새로운 형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선교단의 수립의 의미에 대해서는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에큐메니칼 시각에서 조명되어야 하겠다.
서정민은 조선교단의 이러한 특성에 대해서 조선교단 수립의 표면적인 모습은 에큐메니칼 현상이지만, 신학적인 의미로 평가했을 때는 반(反) 에큐메니칼 세력의 동력 작용에 의한 ‘유사 에큐메니칼’현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2010년 2학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과정인 「에큐메닉스 세미나」에서 설명했다.
설명한다.
아울러, 비록 일제에 불순한 의도와 동기 속에서 태동한 조선교단이 해방 이후 일제의 통제와 간섭이 벗어난 상황 속에서도 연합교회로써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는 측면에서도 그 의미를 분명히 평가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앞서 밝힌 것처럼, 조선교단이 단일교단이라는 정통성에 문제와 그 내부 세력이 해방이후에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의도가 있었다 하더라도, 역사적인 평가에 있어서 그들이 ‘하나의 교회’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사실적인 요소로서 평가되어야 하고, 특히 에큐메니칼 신학의 관점에 있어서 그 의미 평가는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참고도서
1.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 기독교의 역사Ⅱ」(기독교문사, 1990)
2. 김인수, 「일제의 한국 교회 박해사」(대한기독교서회, 2006)
3. 서정민, 「일제 말 ‘일본기독교조선교단’ 형성과정」(한국기독교와 역사 제16호, 2002)
4. ______, 「한일 기독교 관계사 연구」(대한기독교서회, 2002)
5. ______, 「일본기독교의 한국인식」(한울아카데미, 2000)
6. ______, 「일본기독교단」의 초기 형성과정 연구(현대와 신학 제27집,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5. 민경배, 「정인과와 그 시대」(한국교육사학연구원, 2002)
7. 전택부, 「한국교회발전사」(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8. ______, 「한국에큐메니칼운동사」(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79)
9. 이덕주, 「한국교회 연합 운동의 역사적 맥락」(기독교사상 제40호, 1996)
추천자료
일본 기독교의 사론적이해를 읽고
세속화와 세족주의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19세기 후반 교육체제에 대한 고찰 - 조선시대의 교육에 대한 이해와 고찰
매스컴의 이해- 일본 역사 왜곡에 대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비교
한국교회 제사의 문제점, 유래, 역사, 의미, 제사문제 논쟁, 조상제사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일본 기독교의 이해와 분석
[기독교교육]한국 교회 에큐메니칼운동의 역사 - 대한제국시기, 일제의 식민지배시기, 1950년...
기독교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이해 - 상상력 개념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이해
일제 말 한국기독교의 피해, 가해, 훼절에 대한 - 역사 서술 인식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