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영화 속 초현실주의적 요소 분석과 필요성 - Iwai Shunji의 언두 와 Luis Bunuel의 대표작들 간의 대비와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영화 속 초현실주의적 요소 분석과 필요성 - Iwai Shunji의 언두 와 Luis Bunuel의 대표작들 간의 대비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묘사가 매우 묘한 분위기로 연출되어있다. 현실에서 일어날듯 일어나지 않을듯 한 초현실적인 모습으로 말이다.

이렇듯 영화 <언두>는 대중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초현실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언두>의 영상 이미지(언어)들은 초현실주의 영화의 거장 루이스 브뉘엘 감독의 영상 언어들처럼 매우 상징적이고 무의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이미지들의 결합으로 인해 영화의 전체적인 전개도 초현실주의 영화들처럼 모호한 시작과 결말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오히려 비현실이 아닌 현실적인 물음을 관객에게 던지면서 영화가 막을 내린다는 것도 비슷한 특징이다. 게다가 영화의 끝은 매우 초현실적인 장면으로 끝이 난다는 것까지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더 나아가 영화 <언두>는 멜로 영화의 전형적인 틀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새로운 영화로 관객에게 다가갈 수 있었다. 대중영화 속 초현실적인 요소들의 결합은 이처럼 매우 중요한 사실을 알려준다. 영화 속 초현실적 요소들은 영화의 재미와 작품성을 높이게 해주고, 더 넓게 보자면 현 영화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화 <언두>가 보여주는 것처럼 대중의 감성을 사로잡을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적절한 실험성이다. 현재의 이야기 전개에만 급급한 이미지들은 죽은 이미지들이다. 영화 <언두>와 브뉘엘 감독의 많은 작품들 속 초현실적인 요소들을 우리는 보고 배워야 할 시점이다. 그래서 말라붙은 현재의 한국 영화들의 좋은 영양소로 다시 태어나야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11.25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