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파한집<破閑集>
2. 이규보의 비평
3. <보한집>
4. 최해 (崔瀣, 1287~1340)
5. <역옹패설>
2. 이규보의 비평
3. <보한집>
4. 최해 (崔瀣, 1287~1340)
5. <역옹패설>
본문내용
1287~1367)은 고려 문학을 혁신하는 데 커다란 전환점을 마련했다. 이제현의 문학은 성리학과도 상당한 관계를 가지면서, 사대부의 의식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고문(古文)을 일으키고, 시에서도 이에 상응하는 기풍을 가지자는 것이었다.
▣ <역옹패설>의 구성
이 책은 전집과 후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집에서는 역사를, 후집에서는 문학을 주로 다루었으며 고려 역사를 시초에서부터 살펴나가노라면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을 이것저것 들어서 자기대로의 생각을 서술했다.
▣ 이제현의 문학관
이제현의 시대는 무신란으로 인해 시국이 혼란스러웠던 때였다, 이제현은 이런 상황에서 무신란이 끼친 피해를 극복하는 한편 민족사의 자주성을 지키고 키워나가는 것은 긴요한 과제라 생각하면서, 고려 문학을 역사적인 시기에 따라서 논하고, 새로운 문학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심각하게 살폈다. 전에 볼 수 없던 역사의식을 지니고 자기 입론을 전개했다. 새로운 문학은 사대부가 신유학을 이념으로 삼으면서 이룩해야 한다면서 경명행수를 내세웠다. 그러나 이제현은 고려전기문학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을 전개하지는 않았으며, 그때 이룬 수준을 새로운 문학으로 이어야 한다고 생각했기에 온건한 절충론을 택하였다. 이제현은 신유학 또는 성리학에 입각한 새로운 문학을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려고 했으면서도 아직 분명한 논리를 갖추지 않았고, 스스로 비판한 표현 위주의 문학관과 적절한 절충점을 발견하려고 하는 데 머물렀다고 할 수 있다. 그뒤를 이은 이색(李穡)에 이르면 방향전환이 한층 더 뚜렷해지고, 마침내 정도전(鄭道傳)의 강경론이 나타났다.
▣ <역옹패설>의 구성
이 책은 전집과 후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집에서는 역사를, 후집에서는 문학을 주로 다루었으며 고려 역사를 시초에서부터 살펴나가노라면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을 이것저것 들어서 자기대로의 생각을 서술했다.
▣ 이제현의 문학관
이제현의 시대는 무신란으로 인해 시국이 혼란스러웠던 때였다, 이제현은 이런 상황에서 무신란이 끼친 피해를 극복하는 한편 민족사의 자주성을 지키고 키워나가는 것은 긴요한 과제라 생각하면서, 고려 문학을 역사적인 시기에 따라서 논하고, 새로운 문학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심각하게 살폈다. 전에 볼 수 없던 역사의식을 지니고 자기 입론을 전개했다. 새로운 문학은 사대부가 신유학을 이념으로 삼으면서 이룩해야 한다면서 경명행수를 내세웠다. 그러나 이제현은 고려전기문학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을 전개하지는 않았으며, 그때 이룬 수준을 새로운 문학으로 이어야 한다고 생각했기에 온건한 절충론을 택하였다. 이제현은 신유학 또는 성리학에 입각한 새로운 문학을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려고 했으면서도 아직 분명한 논리를 갖추지 않았고, 스스로 비판한 표현 위주의 문학관과 적절한 절충점을 발견하려고 하는 데 머물렀다고 할 수 있다. 그뒤를 이은 이색(李穡)에 이르면 방향전환이 한층 더 뚜렷해지고, 마침내 정도전(鄭道傳)의 강경론이 나타났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