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조직의 개념
II. 조직이론
1. 과학적 관리이론
2. 관료제이론
3. 인간관계이론
III. 조직체계의 특성
IV. 조직체계의 사회복지실천
1. 문제 규정
2. 기관에 대하여 파악
3. 해결책 제시
4. 변화전략 선택
5. 기관과 스텝 구성원 준비
6. 변화전략 시작
7. 전략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수정
* 참고문헌
II. 조직이론
1. 과학적 관리이론
2. 관료제이론
3. 인간관계이론
III. 조직체계의 특성
IV. 조직체계의 사회복지실천
1. 문제 규정
2. 기관에 대하여 파악
3. 해결책 제시
4. 변화전략 선택
5. 기관과 스텝 구성원 준비
6. 변화전략 시작
7. 전략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수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클라이언트 중심에서 문제와 해결을 혼동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2/ 기관에 대하여 파악
사회복지사는 문제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한 다음 다른 집단과 개인이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변화 제안에 어떻게 반응할지를 확인한다. 이때 사회복지사는 변화 노력에 필요한 개인들의 허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하며, 의사결정자, 행위 촉진자, 저항자들을 밝혀낼 수 있어야 한다.
3/ 해결책 제시
사회복지사는 문제에 대하여 기관의 저항을 줄이고 다양한 해결책의 실현가능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때 문제에 직접적 관련성, 간단명료, 기관의 이념과 일치성, 탄력성, 경제적일 때 실현 가능성이 높다.
4/ 변화전략 선택
사회복지사는 개별적 개입 또는 집단적 개입의 방법을 결정해야 하고, 협력적, 중재적, 갈등적 전략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 결정해야 한다. 협력적 전략은 개방적 의사소통과 공동 행동이 특징이며, 중재적 전략은 협상, 설득, 정치공작 등, 의견의 불일치에서 타협에 이르기를 원할 때이다. 또한 등적 전략은 적대적, 강제적, 당사자 간 의사 불일치로 다른 전략에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될 때 일시적으로 사용한다.
5/ 기관과 스텝 구성원을 준비
사회복지사는 기관 스텝의 문제 인식, 현상에 대한 불만, 해결을 위한 선택이 존재한다는 희망을 가져야 한다.
6/ 변화 전략 시작
기관 구성원의 준비가 확인되면 제안을 공식화하여 누구에게, 어떻게 제안할지 결정하며, 이때 만약 다른 전략이 제안 될 경우에 대한 대비도 해야 한다.
7/ 전략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수정
사회복지사는 제안이 수용된 후, 계획을 실행한다. 이 단계에 직면한 시련 가운데에는 상사의 참여 유지, 과업집단의 구성원 보충, 다른 조직과의 연결유지, 새로운 반대 처리, 필요 시 기관 프로그램 수정, 발견된 사시의 일반화, 절차 표준화 과업 등이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2/ 기관에 대하여 파악
사회복지사는 문제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한 다음 다른 집단과 개인이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변화 제안에 어떻게 반응할지를 확인한다. 이때 사회복지사는 변화 노력에 필요한 개인들의 허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하며, 의사결정자, 행위 촉진자, 저항자들을 밝혀낼 수 있어야 한다.
3/ 해결책 제시
사회복지사는 문제에 대하여 기관의 저항을 줄이고 다양한 해결책의 실현가능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때 문제에 직접적 관련성, 간단명료, 기관의 이념과 일치성, 탄력성, 경제적일 때 실현 가능성이 높다.
4/ 변화전략 선택
사회복지사는 개별적 개입 또는 집단적 개입의 방법을 결정해야 하고, 협력적, 중재적, 갈등적 전략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 결정해야 한다. 협력적 전략은 개방적 의사소통과 공동 행동이 특징이며, 중재적 전략은 협상, 설득, 정치공작 등, 의견의 불일치에서 타협에 이르기를 원할 때이다. 또한 등적 전략은 적대적, 강제적, 당사자 간 의사 불일치로 다른 전략에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될 때 일시적으로 사용한다.
5/ 기관과 스텝 구성원을 준비
사회복지사는 기관 스텝의 문제 인식, 현상에 대한 불만, 해결을 위한 선택이 존재한다는 희망을 가져야 한다.
6/ 변화 전략 시작
기관 구성원의 준비가 확인되면 제안을 공식화하여 누구에게, 어떻게 제안할지 결정하며, 이때 만약 다른 전략이 제안 될 경우에 대한 대비도 해야 한다.
7/ 전략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수정
사회복지사는 제안이 수용된 후, 계획을 실행한다. 이 단계에 직면한 시련 가운데에는 상사의 참여 유지, 과업집단의 구성원 보충, 다른 조직과의 연결유지, 새로운 반대 처리, 필요 시 기관 프로그램 수정, 발견된 사시의 일반화, 절차 표준화 과업 등이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추천자료
인간관계이론과 개방체계이론의 개념설명과 사회복지조직에 적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환경체계 - 조직 (조직의 개념, 조직의 유형, 체계로서의 특징,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정신역동이, 인...
사회복지행정의 다양한 이론 - 고전이론과 인간관계이론, 구조주의이론과 체계이론, 상황이...
집단과 조직 -집단과 조직의 특성, 집단과 조직의 유형 및 역동성, 사회체계로서의 집단과 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조직에 대한 이해 - 조직의 개념, 조직체계 개요, 집단과 조직, 조직이...
집단과 조직 (집단의 특성, 집단의 유형 및 역동성, 사회체계로서의 집단과 사회복지실천, 조...
인간관계이론과 체계이론의 개념을 설명하고 두 이론의 차이점을 비교한 후 사회복지조직에 ...
사회복지행정론-조직이론 중에서 폐쇄체계이론의 개념과 주요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사회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