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가(燕行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행가(燕行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분석 및 창작동기

2. 주제

3. 기존 연구 자료

4. 감상 및 견해

본문내용

연로한 김인겸이 떠날 때 가족들을 생각하며 이런저런 걱정에 빠졌던 경우와는 달리, 소년 공명의 자부심과 기개가 있었다. 그러나 그 연행의 길은 서울을 떠나 고양, 파주, 임진강, 장단, 송도, 평산, 곡산, 황주, 평양, 가산, 정주를 거쳐 의주까지 국내서만도 근 한 달이 걸린 여정이었다. 압록강을 건너면서 비로소 \"허박하고 약한 기질 만 리 행역 걱정일세.\" 하고 가족의 곁을 떠난 외로움과 나라 생각에 무거운 나그네의 심회를 말해 주고 있다. 나라 안에서 융숭했던 대접과는 달리, 무인지경인 만주 벌판에서 군막 생활의 괴로움과, 봉황성에서 만난 남녀 호인들의 기괴한 옷차림과 그들의 주식 생활 등 낯선 이국의 풍물을 소상히 관찰하고, 그의 특유의 익살로 표현하고 있다. 사대 사행의 일원으로 수행하며 배타 천시의 오기가 넘친 청년 선비, 그의 눈에 비친 이국의 풍물과 경개를 자상하고 흥미롭게 기록한 <연행가>는 그 때 그 역사와 인정을 상고하기에 귀중한 자료다.
작품에 명이 망했음에도 칭송하고 청이 오랑캐라하여 멸시하는 듯한 태도는 그 때 당시의 사대부들의 사상을 잘 나타내 주는 부분이라 하겠다. 이는 사대부들의 비판으로 나아갈 수 있는 부분인 것 같다. 그리고 그 내용적 측면을 보면 다른 연행록이나 연행가사의 작품과 마찬가지로 이전 연행기록들의 주요 모티브들을 빌려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전 연행가사들의 상용어구적인 내용들은 거의 표절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인용하고 쓰고 있다. 이런 것도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을 듯하다. 하지만 관료로서 청의 발달된 제도나 변화한 문물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모습에서는 압록강을 건너면서 느끼는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인간적인 면도 잘 표현되어 서정적 측면으로 보아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연행기록 중 박지원의 <열하일기>같은 작품들은 한문문학 쪽에서 상당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에 비해 연행가사들은 그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뒤져있어 아직까지 국문문학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우리가 좀 더 쉽게 많은 작품을 접할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임기중, 연행가사연구, 아세아문화사, 2003
권영철, <북행가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5, 효성여대, 1976
노상오, <선비정신의 연구> 부산교육대, 1995
공혜정, <연행가>에 나타난 홍순학의 사대부의식과 대외관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3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7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2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