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생전, 그와 그녀들의 욕망 읽기
현실과 환상이 교호하며 대립하는 소설적 공간
에로스의 세계에서 욕망 읽기
주생전이 드러내는 ‘차이’
현실과 환상이 교호하며 대립하는 소설적 공간
에로스의 세계에서 욕망 읽기
주생전이 드러내는 ‘차이’
본문내용
인간 본성과 이에 제약을 가하는 당대 현실의 사회 원리의 문제를 현실과 환상이 중첩되는 지점에서 짚어 볼 수 있는 것이다.
주생전이 드러내는 ‘차이’
주생전에서 현실과 환상의 대립과 중첩 속에서 인물의 욕망과 현실의 규제 원리가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읽어 보았다. 주생전이 전대의 소설과 차이를 보이는 점에 대해, 기존의 전기소설과 달리 환상적이고 초현실적인 세계관에서 탈피한 점을 꼽곤 한다.
이러한 평가는 단순히 주생전이 등장인물들의 심리와 성격 그리고 갈등 양상을 핍진하게 그렸다는 점에만 무게를 둔 평가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주생전은 현실과 환상이 탄탄한 소설적 구조 속에서 교호하며 현실원리와 쾌락원리 사이의 대립이 만들어내는 폭 깊은 의미영역을 보여주고 있고, 또 이는 당대를 살아가는 권필이 인식한 현실의 원리와 인간 본성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에도 닿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주생전이 전대의 소설처럼 현실 원리에 치우쳤다면 상투적인 교훈 소설이 되었을 것이며, 무의식적 욕망에만 치우쳤다면 단순한 환타지로 떨어졌을 것이다. 이 사이에 주생전이 놓이는 것, 이것이 주생전의 진정한 ‘차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주생전이 드러내는 ‘차이’
주생전에서 현실과 환상의 대립과 중첩 속에서 인물의 욕망과 현실의 규제 원리가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읽어 보았다. 주생전이 전대의 소설과 차이를 보이는 점에 대해, 기존의 전기소설과 달리 환상적이고 초현실적인 세계관에서 탈피한 점을 꼽곤 한다.
이러한 평가는 단순히 주생전이 등장인물들의 심리와 성격 그리고 갈등 양상을 핍진하게 그렸다는 점에만 무게를 둔 평가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주생전은 현실과 환상이 탄탄한 소설적 구조 속에서 교호하며 현실원리와 쾌락원리 사이의 대립이 만들어내는 폭 깊은 의미영역을 보여주고 있고, 또 이는 당대를 살아가는 권필이 인식한 현실의 원리와 인간 본성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에도 닿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주생전이 전대의 소설처럼 현실 원리에 치우쳤다면 상투적인 교훈 소설이 되었을 것이며, 무의식적 욕망에만 치우쳤다면 단순한 환타지로 떨어졌을 것이다. 이 사이에 주생전이 놓이는 것, 이것이 주생전의 진정한 ‘차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