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설화읽기
3. 설화읽기
3-1.평강공주의 울음과 욕구불만
3-2. 평강왕과 초자아
3-3. 평강공주의 독립과 욕망표출
3-4. 온달의 죽음
4. 나오며
2. 설화읽기
3. 설화읽기
3-1.평강공주의 울음과 욕구불만
3-2. 평강왕과 초자아
3-3. 평강공주의 독립과 욕망표출
3-4. 온달의 죽음
4. 나오며
본문내용
영된 인물이었던 온달이 죽어야 공주의 자아는 한층 더 성숙하게 되지 않을까. 그렇지 않으면 평생 이드의 노예가 되어 살아 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드적인 속성만 가지고는 승리할 수 없다. 자아와 초자아, 이드가 조화를 이루어야 온전한 자아로 살아갈 수 있다. 온달을 성장시킴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았던 평강공주는 이제 온달의 죽음으로 혼자가 되면서 온전한 자신의 주체적 자아를 확립하게 된다. 더 이상 온달을 성장시키지 않아도, 그가 굳이 없어도 그녀는 이제 홀로 설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움직이지 않던 관이 평강공주의 어루만짐에 움직이는 것도 이드가 죽는 데에는 자아의 온전한 동의가 있어야한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뿐만 아니라 온달과 공주의 위치관계도 엿볼 수 있다. 온달은 더 이상 바보 온달이 아니라 한 나라의 위대한 장군임에도 불구하고 죽은 후에도 공주의 말을 듣고 나서야 관이 움직인 것을 볼 때, 공주가 온달보다 위에 있는, 수직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4. 나오며
‘울보’의 대명사였던 평강공주는 온달을 통해 자신의 억눌린 욕망을 표출하여 평강왕에게 인정을 받았고, ‘바보’의 대명사였던 온달은 평강공주를 통해 자신의 비범함을 세상에 알릴 수 있었다. 이렇게 따지고 보면 온달과 평강공주는 어쩌면 소위 말하는 천생연분이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그의 가능성과 평강공주의 욕망이 잘 부합되어 결국에는 왕의 신임을 얻고 나아가 나라에 큰 보탬이 되는 사람들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강공주의 이드적 속성을 지닌 온달은 반드시 죽어야만 했다. 그렇지 않았다면 평강공주는 자신의 진정한 자아의 모습을 자신의 내부에서 찾지 못하고 평생 온달에게서 찾아야 했었을 것이다. 평강공주가 자신의 욕망이 투영된 이드적 속성의 온달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수용했을 때 온달의 관은 움직였고, 이로써 평강공주는 훨씬 더 성숙한 자아를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이후로 평강공주의 행적을 알 수 없으나 추측하건데, 올바른 자아상을 가지고 유년기의 아버지에게 속해있던 욕망을 벗어나 자신의 새로운 삶을 진취적으로 개척해 나갔을 것이다.
* 참고문헌
<프로이트와의 대화>, 이창재. 학지사. 2004
네이버 백과사전
*목 차
1. 들어가며
2. 설화읽기
3. 설화읽기
3-1.평강공주의 울음과 욕구불만
3-2. 평강왕과 초자아
3-3. 평강공주의 독립과 욕망표출
3-4. 온달의 죽음
4. 나오며
* 참고문헌
또한 움직이지 않던 관이 평강공주의 어루만짐에 움직이는 것도 이드가 죽는 데에는 자아의 온전한 동의가 있어야한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뿐만 아니라 온달과 공주의 위치관계도 엿볼 수 있다. 온달은 더 이상 바보 온달이 아니라 한 나라의 위대한 장군임에도 불구하고 죽은 후에도 공주의 말을 듣고 나서야 관이 움직인 것을 볼 때, 공주가 온달보다 위에 있는, 수직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4. 나오며
‘울보’의 대명사였던 평강공주는 온달을 통해 자신의 억눌린 욕망을 표출하여 평강왕에게 인정을 받았고, ‘바보’의 대명사였던 온달은 평강공주를 통해 자신의 비범함을 세상에 알릴 수 있었다. 이렇게 따지고 보면 온달과 평강공주는 어쩌면 소위 말하는 천생연분이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그의 가능성과 평강공주의 욕망이 잘 부합되어 결국에는 왕의 신임을 얻고 나아가 나라에 큰 보탬이 되는 사람들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강공주의 이드적 속성을 지닌 온달은 반드시 죽어야만 했다. 그렇지 않았다면 평강공주는 자신의 진정한 자아의 모습을 자신의 내부에서 찾지 못하고 평생 온달에게서 찾아야 했었을 것이다. 평강공주가 자신의 욕망이 투영된 이드적 속성의 온달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수용했을 때 온달의 관은 움직였고, 이로써 평강공주는 훨씬 더 성숙한 자아를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이후로 평강공주의 행적을 알 수 없으나 추측하건데, 올바른 자아상을 가지고 유년기의 아버지에게 속해있던 욕망을 벗어나 자신의 새로운 삶을 진취적으로 개척해 나갔을 것이다.
* 참고문헌
<프로이트와의 대화>, 이창재. 학지사. 2004
네이버 백과사전
*목 차
1. 들어가며
2. 설화읽기
3. 설화읽기
3-1.평강공주의 울음과 욕구불만
3-2. 평강왕과 초자아
3-3. 평강공주의 독립과 욕망표출
3-4. 온달의 죽음
4. 나오며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