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염의 정의
2. 원인 및 유발요인
1) 원인균의 전파경로
2) 병원체에 따른 분류
3. 병태생리
4. 증상
1) 설사
2) 복통, 구토, 발열
3) 탈수
4) 전해질 불균형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간호
2. 원인 및 유발요인
1) 원인균의 전파경로
2) 병원체에 따른 분류
3. 병태생리
4. 증상
1) 설사
2) 복통, 구토, 발열
3) 탈수
4) 전해질 불균형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간호
본문내용
T)으로 치료 → 정맥을 통한 재수화(IV)에 비해 효과적이며 안전하고, 경제적, 덜 아픔.
- 경구재수화용액: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구토, 설사량 및 병의 지속시간을 줄인다고 보고됨(아동의 경우 경구용 재수화 용액과 일반 식이를 병행할 수 있음.
- 양을 알 수 없을 시 → 대략적으로 매번 설사 이후 경구용 재수화 용약을 1kg당 10ml
수액요법의 유지
정맥수액요법: 심한 탈수와 쇼크 상태인 경우, 아동이 충분한 양의 체액과 전해질의 섭취할 수 없을 때
① 계속되는 신체적 손실 채우기 위해 ② 결핍을 보충하기 위해 ③ 비정상적으로 손실된 양을 보충
- 체액보충의 초기단계가 등장성 탈수와 저장성 탈수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만, 고장성 탈수에서는 수분중독 특히 뇌세포의 중독위험이 있기 때문에 금기
- 구토는 조절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탈수만 교정이 되면 제토제는 권장되지 않는다.
7. 간호
① 급성 설사에 대한 관리는 아동을 돌보는 사람을 교육한다.
- 탈수증상(소변횟수나 젖은 기저귀 수), 섭취한 수분량 및 배변의 양과 횟수 관찰
② 수액유지와 계속적인 손실에 대한 보충액 투여방법을 포함한 경구용재수호요법과 관련된 교육이 중요하다.
- 경구용재수화요법(ORT)은 소량씩 자주 투여
- 24시간~48시간 경구섭취를 하지 않고 정맥수액요법 받음
③ 정상식이를 시작하는 것도 매우 주요한 교육내용이다.
④ 섭취와 배설량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 정확한 체중을 측정한다.
⑤ 설사는 피부에 많은 자극을 준다. → 기저귀가 닿는 부분의 피부손상을 예방하는 간호가 필요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 경구재수화용액: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구토, 설사량 및 병의 지속시간을 줄인다고 보고됨(아동의 경우 경구용 재수화 용액과 일반 식이를 병행할 수 있음.
- 양을 알 수 없을 시 → 대략적으로 매번 설사 이후 경구용 재수화 용약을 1kg당 10ml
수액요법의 유지
정맥수액요법: 심한 탈수와 쇼크 상태인 경우, 아동이 충분한 양의 체액과 전해질의 섭취할 수 없을 때
① 계속되는 신체적 손실 채우기 위해 ② 결핍을 보충하기 위해 ③ 비정상적으로 손실된 양을 보충
- 체액보충의 초기단계가 등장성 탈수와 저장성 탈수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만, 고장성 탈수에서는 수분중독 특히 뇌세포의 중독위험이 있기 때문에 금기
- 구토는 조절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탈수만 교정이 되면 제토제는 권장되지 않는다.
7. 간호
① 급성 설사에 대한 관리는 아동을 돌보는 사람을 교육한다.
- 탈수증상(소변횟수나 젖은 기저귀 수), 섭취한 수분량 및 배변의 양과 횟수 관찰
② 수액유지와 계속적인 손실에 대한 보충액 투여방법을 포함한 경구용재수호요법과 관련된 교육이 중요하다.
- 경구용재수화요법(ORT)은 소량씩 자주 투여
- 24시간~48시간 경구섭취를 하지 않고 정맥수액요법 받음
③ 정상식이를 시작하는 것도 매우 주요한 교육내용이다.
④ 섭취와 배설량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 정확한 체중을 측정한다.
⑤ 설사는 피부에 많은 자극을 준다. → 기저귀가 닿는 부분의 피부손상을 예방하는 간호가 필요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