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마가복음에 대한 기초적 지식과 신학적 주제
1. 여는 말
2. 마가복음의 기초적 지식
2.1. 마가복음의 저자
2.2. 기록연대
2.3. 기록 장소
2.4. 수신자
2.5. 기록 목적
2.6. 내용
3. 신학적 주제
3.1.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3.2. 하나님의 나라
3.3. 메시아의 은밀성
3.4. 제자도의 본질
3.5. “인자”로서의 메시아
4. 맺는 말
참고 문헌
1. 여는 말
2. 마가복음의 기초적 지식
2.1. 마가복음의 저자
2.2. 기록연대
2.3. 기록 장소
2.4. 수신자
2.5. 기록 목적
2.6. 내용
3. 신학적 주제
3.1.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3.2. 하나님의 나라
3.3. 메시아의 은밀성
3.4. 제자도의 본질
3.5. “인자”로서의 메시아
4. 맺는 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그리스도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임을 1차적으로 보여준다. 제자들은 예수님의 가르침과 권위에 힘입어 일을 행하지만 결국 실패하고, 예수님은 이를 수정해주신다. 그들은 예수님을 자신의 필요에 의한 메시아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결국 예수님의 죽음으로 인해 그들의 야망은 좌절된다. 제자들은 그리스도의 죽으심으로 낙담하고 제자로서의 모습을 져버린다. 마가는 이러한 모습을 의도적으로 대조시키며 제자도의 본질에 대해서 제시해준다. Ibid, 321-2.
마가가 제시하는 제자도의 본질은 어떠한 어려움과 고통이 따르더라도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이다.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시기 위해 오신 메시아를 따르기 위해서는 희생과 고난과 헌신이 요구된다. Ibid, 321.
3.5. “인자”로서의 메시아
예수님은 자신을 “인자”라고 표현하신다. 예수님은 특별히 이 호칭을 즐겨사용하셨는데 사람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그의 인성을 보여준다. 마가는 이러한 호칭에 집중하고 그리스도께서 인자되심을 보여준다. 이는 그리스도가 완전한 인간이고 따라서 죄를 위한 대속제물이 되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bid, 323.
4. 맺는 말
지금까지 본 연구자는 마가복음의 기초적인 지식과 신학적 주제를 살펴보았다. 마가복음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와 반문 제기는 마가복음의 저자와 연대, 목적등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을 반대한다. 그럼에도 마가복음의 내적ㆍ외적증거는 마가복음의 저자가 마가 요한임을 보여주며, 마가복음이 복음서중 처음으로 기록된 것을 나타낸다.
마가는 이방인을 위해서 마가복음을 작성했고, 당시에 만연한 신관에 도전장을 내민다. 마가가 제시하는 신학적 논의들은 독자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메시아의 의미, 구원, 복음, 하나님 나라 등 다양한 신학적 주제를 깨닫게한다. 그리고 유대인의 풍습과 성경을 아는 유대인에게는 예수가 메시아임을 보여주고, 이방인에게는 참된 신이며 구원자가 예수님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마가복음의 신학적 주제는 단순히 복음과 구원에 머물지 않고, 제자들의 모습을 통해 참된 제자도의 길을 제시한다. 마가는 제자가 자신을 위해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 희생과 고난, 헌신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마가가 마가복음에서 제시하는 믿음의 모습은 제자도와 일치하며, 제자도의 삶을 사는 사람이 진정으로 믿는 자, 그리스도인이다.
참고 문헌
쾨스텐버그.J.안드레아스 외 2인, 「신약개론-요람ㆍ십자가ㆍ왕관, CLC(서울)
마가가 제시하는 제자도의 본질은 어떠한 어려움과 고통이 따르더라도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이다.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시기 위해 오신 메시아를 따르기 위해서는 희생과 고난과 헌신이 요구된다. Ibid, 321.
3.5. “인자”로서의 메시아
예수님은 자신을 “인자”라고 표현하신다. 예수님은 특별히 이 호칭을 즐겨사용하셨는데 사람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그의 인성을 보여준다. 마가는 이러한 호칭에 집중하고 그리스도께서 인자되심을 보여준다. 이는 그리스도가 완전한 인간이고 따라서 죄를 위한 대속제물이 되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bid, 323.
4. 맺는 말
지금까지 본 연구자는 마가복음의 기초적인 지식과 신학적 주제를 살펴보았다. 마가복음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와 반문 제기는 마가복음의 저자와 연대, 목적등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을 반대한다. 그럼에도 마가복음의 내적ㆍ외적증거는 마가복음의 저자가 마가 요한임을 보여주며, 마가복음이 복음서중 처음으로 기록된 것을 나타낸다.
마가는 이방인을 위해서 마가복음을 작성했고, 당시에 만연한 신관에 도전장을 내민다. 마가가 제시하는 신학적 논의들은 독자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메시아의 의미, 구원, 복음, 하나님 나라 등 다양한 신학적 주제를 깨닫게한다. 그리고 유대인의 풍습과 성경을 아는 유대인에게는 예수가 메시아임을 보여주고, 이방인에게는 참된 신이며 구원자가 예수님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마가복음의 신학적 주제는 단순히 복음과 구원에 머물지 않고, 제자들의 모습을 통해 참된 제자도의 길을 제시한다. 마가는 제자가 자신을 위해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 희생과 고난, 헌신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마가가 마가복음에서 제시하는 믿음의 모습은 제자도와 일치하며, 제자도의 삶을 사는 사람이 진정으로 믿는 자, 그리스도인이다.
참고 문헌
쾨스텐버그.J.안드레아스 외 2인, 「신약개론-요람ㆍ십자가ㆍ왕관, CLC(서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