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과 요한공동체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요한복음의 신학
가. 요한복음과 공관복음과의 관계
나. 요한복음의 핵심
다. 요한복음의 기독론
라. 요한복음의 종말론

2. 요한공동체의 특징
가. 반 세례요한적 경향
나. 반 유대주의
다. 사랑의 공동체
라. 성령의 공동체

본문내용

제사랑이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세째,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세상에 대한 사랑을 이해하면, 요한은 와 세상의 사랑에 대하여 분리하여 말한다.(요일 2:15) 요한에 의하면, 세상은 구원을 필요로 하며 그러므로 세상의 사랑은 욕망적이고 쾌락적인 것으로 본다.(요일 2:16) 하나님에 대한 사랑이 최고 선이라면 세상의 사랑은 하위 선(Sensible Good)이라고 본 것이다. 그러므로 요한 공동체의 사랑은 쿰란공동체와도 세상의 그것과도 엄격히 다르다.
) 이상훈, "요한공동체의 발전과정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서울: 서울신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7), pp.53-54.
라. 성령의 공동체
요한이 추구하고 있는 공동체는 어떤 조직이나 구성원들을 결속시키는데 온전히 새로이 거듭난성령으로서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래서 요한공동체는 하나의 인격 안에서 일치되어야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오로지 성령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 Ibid., p.74
요한이 추구하는 성령의 공동체는 세상을 정복하고 하나님의 통치를 실현시키려는 우주적이며 보편적인 하나님의 지배를 실현시키려는 의도에서 구약의 원인간을 의식하고 새롭게 해석된 성령을 말하고 있으며 그것이 역사안에서 성취된 것으로 말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성령의 역사는 종말론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미 그것이 현재에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강조하고 성령의 임재는 반드시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을 전제로 한다. 이와같은 성령의 공동체로서의 요한 공동체는 마귀와 세상과 죄악을 이기는 승리의 공동체로서 방향을 잡아나가기를 희원하는 공동체가 되기를 추구하였으며 하나의 교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주며 승리의 공동체로서의 성격도 함유한다.
3. 나가는 말
-오늘에 있어서의 요한의 의미 -
너무나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위와같이 아주 간략히 알아본 요한의 신학에 대해 느끼는 것은, 다른 복음서나 서신들이 가진 신학적 견해와 실제적인 차이점이 있음을 주목하여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차이점들이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라고 판단하거나 그것들이 반드시 예수에 대한 증거로서 요한의 신학을 신빙불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의 신앙과 이해는 그 자신이 출발점으로 삼은 공통의 역사적 전승을 왜곡시키거나 지워없애지 않고 오히려 발전시키고 고양시켰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요한과, 공관복음서 기자들과 서신의 기자들과는 종류의 차이가 아니라 정도의 차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 4복음서(요한복음)가 더 이상 다른 세 복음서와 고립된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로 요한은 다른 복음서들을 보완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가 나머지 세편의 복음서를 해석하려했다는 점이 아니라, 오직, '우리에게 그 복음서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요한의 그리스도교 신앙해석에 온전히 귀를 기울여야 하며 또 그리해야만 할 것이다. 그 해석은 역사적인 기반과 공동체의 삶의 체험의 기반을 지녔고 결코 주류로부터 일탈된 불통가지로 간주되어서는 안될것이다.
우리가 신약성서에 있어서 바울과 마가와 야고보와 베드로, 그 밖의 다른 저자들을 필요로 하듯이, 요한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요한의 시각 가운데서 우리가 예측하지 못할 정도의 전통적인 한 복음서 기자를 그리고 범상치 않은 지각을 가진 해석자를 만나기때문이다.
참 고 문 헌
김 춘기, 요한복음 연구(서울:한들, 1993)
Braun, H., 박창환譯, 신약성서의 이해(서울:대한 기독교서회, 1983)
Ladd, G. E., 이창우譯, 신약신학(서울:성광문화사, 1986)
Morris, Leon, 황영철, 김원주 譯, 신약신학(서울:생명의 말씀사,1992)
Smalley, Stephen S., 김 경신 譯 요한신학(서울:풍만, 1988)
Brown, R.E.,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Vol.I.II. (New York:
Doubleday and Company Inc, 1980)
Furnish, V.P., The Love Commandment in thr New Testament(New York:
Abingdon Press, 1972)
김 득중, "요한공동체의 종파적 성격에 대한 연구", [신학과 세계] 서울: 감신대
출판부, 1983
이 상훈, "요한공동체의 발전과정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서울: 서울신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7)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