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한계시록의 도시들
2.장소로서의 새 예루살렘
3.백성으로서의 새 예루살렘
4.신적인 임재로서의 새 예루살렘
Ⅱ. 목회적 적용
2.장소로서의 새 예루살렘
3.백성으로서의 새 예루살렘
4.신적인 임재로서의 새 예루살렘
Ⅱ. 목회적 적용
본문내용
의 영원한 지성소인 새 예루살렘에서는 모든 자가 하나님의 직접적인 임재를 누린다.
-‘보좌에 앉아계신 이’와 그가 통치하는 세상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간격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통치와 인간의 자유가 종말론적으로 조화될 것임을 말해준다. 우리의 자발적 자유로운 복종이 그분의 뜻이 우리의 마음에서 나오는 자발적 소망이 될 때에 하나님의 통치와 인간의 자치는 완전한 조화를 이룰 것이다.
Ⅱ. 목회적 적용
-큰 음녀 곧 바벨론 현재 로마와 어린양의 신부 새 예루살렘은 날카롭게 대조된다. 우리는 평화스러운 세상에 사는 것이 아니라 큰 음녀의 영향력안에 살고 있다. 주님의 도우심으로 평화는 누리지만 항상 정신을 차리고 살아가야 한다. 하나님 백성이기 때문에 우리는 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회개함으로서 철저히 죄와 분리된 삶을 살아야 한다. 이러한 삶을 통해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범죄하기 이전 아담의 상태로 회복해야 된다.
-바벨론 즉 로마의 타락의 영향력으로부터 단절하자면 새 예루살렘의 매력적인 형상화가 필요하다고 했는 데 하늘나라에 대한 소망으로 가득차야 죄의 영향력이나 오염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래서 성경에서 너희가 소망으로 구원을 얻었나니라고 하셨다. 우리는 구원의 소망이 마음에 넘칠 때 인내를 온전히 이룰 수 있으며 또 이 세상을 이길 수 있다.
-요한 계시록은 우리에게 순교자적 삶을 요구하는 데, 예수님께서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 오라고 말씀하셨는 데 이 십자가의 도가 순교자적 삶이라고 생각한다. 나도 예수님의 가르침을 따라 헌신하고 희생하는 삶을 살아야 겠다.
-‘보좌에 앉아계신 이’와 그가 통치하는 세상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간격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통치와 인간의 자유가 종말론적으로 조화될 것임을 말해준다. 우리의 자발적 자유로운 복종이 그분의 뜻이 우리의 마음에서 나오는 자발적 소망이 될 때에 하나님의 통치와 인간의 자치는 완전한 조화를 이룰 것이다.
Ⅱ. 목회적 적용
-큰 음녀 곧 바벨론 현재 로마와 어린양의 신부 새 예루살렘은 날카롭게 대조된다. 우리는 평화스러운 세상에 사는 것이 아니라 큰 음녀의 영향력안에 살고 있다. 주님의 도우심으로 평화는 누리지만 항상 정신을 차리고 살아가야 한다. 하나님 백성이기 때문에 우리는 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회개함으로서 철저히 죄와 분리된 삶을 살아야 한다. 이러한 삶을 통해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범죄하기 이전 아담의 상태로 회복해야 된다.
-바벨론 즉 로마의 타락의 영향력으로부터 단절하자면 새 예루살렘의 매력적인 형상화가 필요하다고 했는 데 하늘나라에 대한 소망으로 가득차야 죄의 영향력이나 오염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래서 성경에서 너희가 소망으로 구원을 얻었나니라고 하셨다. 우리는 구원의 소망이 마음에 넘칠 때 인내를 온전히 이룰 수 있으며 또 이 세상을 이길 수 있다.
-요한 계시록은 우리에게 순교자적 삶을 요구하는 데, 예수님께서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 오라고 말씀하셨는 데 이 십자가의 도가 순교자적 삶이라고 생각한다. 나도 예수님의 가르침을 따라 헌신하고 희생하는 삶을 살아야 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