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제1부: 개론, 개관, 배경 :새언약의 기대
A. 신약까지의 역사적인 배경
B. 신약까지의 종교적인 배경
제2부: 복음서: 새언약의 시작
A. 4복음서의 비교
B. 공관복음서
A. 신약까지의 역사적인 배경
B. 신약까지의 종교적인 배경
제2부: 복음서: 새언약의 시작
A. 4복음서의 비교
B. 공관복음서
본문내용
을 가지시고 그것들을 성취하실 것이라는 점을 우리가 깨달았을 때 예언은 우리에게 소망을 준다. 또한 우리가 주의 오심을 임박했다는 사실과 그분께 대한 우리의 책임에 대해서 인식하게 될 때 예언은 우리의 삶을 정결케 하여준다. 그리고 우리가 영원한 가치를 가진 것에 우리의 시간과 노력을 쏟을 필요가 있음을 깨달았을 때 예언은 우리의 삶에 확실한 우선 순위를 세우는데 도움을 준다.
요한계시록의 저자, 기록연대, 기록 장소
요한 계시록은 사도 요한이 서기 95년 밧모섬에 있을 때 기록하였다.
요한계시록의 기록 목적
요한은 성서의 예언적 진리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완성시키기 위해서 요한 계시록을 기록하였다. 요한계시록이 없이는 마지막 때에 대한 질문들이 대답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되었을 것이다. 요한은 또한 로마 정부의 박해를 받고 있던 그 시대의 성도들을 위로하기 위해서 이 글을 썼다. 아무리 심한 박해를 받더라도 하나님의 교회와 하나님의 목적하신바를 무너뜨릴 수 없다는 사실을 그들은 알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물론 이 책은 지나온 모든 시대를 통하여 핍박받는 모든 성도들에게 계속적으로 위로가 되었다. 그는 또한 성도들로 하여금 경건하고 지혜로운 삶을 살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이 글을 썼다.
요한 계시록의 주제
요한은 주의 날에 일어날 위대한 사건들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의 초점은 7년 동안의 환난에 맞추어져 있지만 그리스도의 재림과 이 땅위에 세워질 그의 천년왕국에 관한 내용들도 포함하고 있다. 성서 전체의 위대한 예언적 주제들이 이 책에서 다루어 지고 있는 것이다.
계시에 대한 해석
많은 사람들이 요한 계시록이 비합리적인 상징과 은유로 혼동스러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 가운데 많은 부분은 이 책을 올바르게 해석되어 질 때, 제거 될 수 있다. 이 책은 진리를 드러내 보이기 위한 목적으로 주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해되고 깨달을 수 있는 책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가장 처음의 해석 원리는 이 책이 문자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구약 성서가 요한 계시록을 해석하는데 매우 중요한 열쇠라는 사실이다. 구약 성서로부터의 수많은 상징과 인용이 요한계시록에서는 이루어 지고 있다. 셋째는 요한계시록이 기본적으로 시간적인 순서를 따른다는 것을 알면 이에 대한 해석은 매우 간단하여 진다. 환상은 점진적으로 이루어 진다.
요한 계시록의 요약
Ⅰ.서론(1:1-8)
이 책의 내용을 요한에게 주신 이는 바로 예수이시다. 요한은 예수님이 주신 이 진리를 기록 하였고 이를 소아시아의 일곱 교회로 보내었다. 이 진리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하는 사람들은 복을 받을 것이다.
Ⅱ."네 본 것": 그리스도의 위격(1:9-20)
요한이 영광중에 계신 예수님을 만났을 때 반응은 두려움에 찬 경배였다. 영화롭게 되신 주님은 교회들의 주님으로, 그리고 그들을 평가하시는 분으로 나타난다.
Ⅲ."이제 있는 일": 그리스도의 소유(2:1-3:22)
일곱교회는 요한의 시대에만 존재 하였던 것이 아니라 교회 역사를 통틀어 존재하게 될 교회의 종류와 그리스도인들의 종류이다. 즉 일곱 교회는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존재하는 모든 교회의 복합적인 양상들인 것이다. 일곱 교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평가는 즉 자신의 영적 상태와 그에 대한 그리스도의 평가와 마찬가지 인 것이다.
A.에베소 교회(2:1-7)
에베소 교회는 하나님의 진리를 굳게 믿고 타협하지 않음으로 그리스도의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그들의 영혼은 죽음 상태임을 깨우치시고 회개하라 하셨다. 처음 사랑을 소유하고 이기는 자는 영원한 생명을 소유하게 될 것이다.
B.서머나 교회(2:8-11)
그리스도 께서는 이 교회에 대하여 아무런 책망도 않으셨다. 핍박과 빈곤 가운데 인내함을 칭찬하시고 충성된 자들이 되라는 격려를 하셨다. 이들은 두번째의 죽음을 겅험하지 않을 것이다.
C.버가모 교회(2:12-17)
그리스도는 이교회를 주께 대한 그들의 충성과 그들의 맏음으로 인해서 칭찬하셨다. 그들이 처했던 상황은 영적으로 매우 적대적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충성됨은 더욱더 칭찬받을만 하다. 하지만 그들은 도덕적 타협을 회개하라고 경고 받았다. 성도는 아무런 정죄도 경험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그리스도를 즐거워 하게 될 것이다.
D.두아디라 교회(2:18-29)
이 교회에 대하여 주님은 그들의 사랑, 믿음, 그리고 고된 수고 등 칭찬받을 만한 덕목들을 남다르게 열거하신다. 그러나 그들은 이세벨을 용납한 것에 대해 심하게 책망을 받았다. 성도는 새벽별을 받게 될 것이다.
E.사데 교회(3:1-6)
선한 것이 이교회에서는 별로 발견되지 않았다. 이교회는 실상은 죽은 교회였다. 그리스도는 그들에게 하나님의 진리를 기억하라고 권면을 하셨다. 성도들은 생명책에 그들의 이름이 지워지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을 받았다. 이것은 위협이 아니라 역속의 말씀이라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것은 성돌들의 안전에 대한 철두철미한 보장이다.
F.빌라델비아 교회(3:7-13)
이교회는 충성스럽게 그리스도와 함께 하였고 그 믿음에서 떠나지 않았기 때문에 칭찬을 받았다. 또 그들은 적은 능료을 가지고도 주님을 효과적으로 섬김으로서 칭찬을 받았다. 이교회는 주님께 기쁨을 주는 근원이 되었고 주님은 그들을 대적하는 자들에 대한 승리와 박해로부터 벗어날 것을 그들에게 약속하셨다.
G.라오디게아 교회(3:14-22)
이교회는 아무런 칭찬도 책망도 듣지 아니하였다. 이 교회는 무관심하고 냉담하며 자기 중심적이고 그들의 물질적인 부요에 유혹된 자들이었다. 진정한 성도는 그리스도와 함께 있게 될 것을 보장받았다.
Ⅳ."장차 될 일들": 그리스도의 계획(4:1-22:21)
A.하늘의 광경(4:1-5:14)
B.일곱 인(6:1-8:1)
C.일곱 나팔(8:2-11:190
D.중요한 인물들(12:1-14:20)
환난 기간중 마지막에 그리스도께서 많은 사람들을 구하시고 많은 사람들을 심판하심으로 궁극적인 승리를 가져오실 것이다.
E.일곱 대접(15:1-16:21)
F.두 바벨론(17:1-18:24)
G.마지막 환상(19:1-22:5)
Ⅴ.맺는 말(22:6-21)
요한계시록의 저자, 기록연대, 기록 장소
요한 계시록은 사도 요한이 서기 95년 밧모섬에 있을 때 기록하였다.
요한계시록의 기록 목적
요한은 성서의 예언적 진리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완성시키기 위해서 요한 계시록을 기록하였다. 요한계시록이 없이는 마지막 때에 대한 질문들이 대답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되었을 것이다. 요한은 또한 로마 정부의 박해를 받고 있던 그 시대의 성도들을 위로하기 위해서 이 글을 썼다. 아무리 심한 박해를 받더라도 하나님의 교회와 하나님의 목적하신바를 무너뜨릴 수 없다는 사실을 그들은 알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물론 이 책은 지나온 모든 시대를 통하여 핍박받는 모든 성도들에게 계속적으로 위로가 되었다. 그는 또한 성도들로 하여금 경건하고 지혜로운 삶을 살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이 글을 썼다.
요한 계시록의 주제
요한은 주의 날에 일어날 위대한 사건들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의 초점은 7년 동안의 환난에 맞추어져 있지만 그리스도의 재림과 이 땅위에 세워질 그의 천년왕국에 관한 내용들도 포함하고 있다. 성서 전체의 위대한 예언적 주제들이 이 책에서 다루어 지고 있는 것이다.
계시에 대한 해석
많은 사람들이 요한 계시록이 비합리적인 상징과 은유로 혼동스러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 가운데 많은 부분은 이 책을 올바르게 해석되어 질 때, 제거 될 수 있다. 이 책은 진리를 드러내 보이기 위한 목적으로 주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해되고 깨달을 수 있는 책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가장 처음의 해석 원리는 이 책이 문자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구약 성서가 요한 계시록을 해석하는데 매우 중요한 열쇠라는 사실이다. 구약 성서로부터의 수많은 상징과 인용이 요한계시록에서는 이루어 지고 있다. 셋째는 요한계시록이 기본적으로 시간적인 순서를 따른다는 것을 알면 이에 대한 해석은 매우 간단하여 진다. 환상은 점진적으로 이루어 진다.
요한 계시록의 요약
Ⅰ.서론(1:1-8)
이 책의 내용을 요한에게 주신 이는 바로 예수이시다. 요한은 예수님이 주신 이 진리를 기록 하였고 이를 소아시아의 일곱 교회로 보내었다. 이 진리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적용하는 사람들은 복을 받을 것이다.
Ⅱ."네 본 것": 그리스도의 위격(1:9-20)
요한이 영광중에 계신 예수님을 만났을 때 반응은 두려움에 찬 경배였다. 영화롭게 되신 주님은 교회들의 주님으로, 그리고 그들을 평가하시는 분으로 나타난다.
Ⅲ."이제 있는 일": 그리스도의 소유(2:1-3:22)
일곱교회는 요한의 시대에만 존재 하였던 것이 아니라 교회 역사를 통틀어 존재하게 될 교회의 종류와 그리스도인들의 종류이다. 즉 일곱 교회는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존재하는 모든 교회의 복합적인 양상들인 것이다. 일곱 교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평가는 즉 자신의 영적 상태와 그에 대한 그리스도의 평가와 마찬가지 인 것이다.
A.에베소 교회(2:1-7)
에베소 교회는 하나님의 진리를 굳게 믿고 타협하지 않음으로 그리스도의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그들의 영혼은 죽음 상태임을 깨우치시고 회개하라 하셨다. 처음 사랑을 소유하고 이기는 자는 영원한 생명을 소유하게 될 것이다.
B.서머나 교회(2:8-11)
그리스도 께서는 이 교회에 대하여 아무런 책망도 않으셨다. 핍박과 빈곤 가운데 인내함을 칭찬하시고 충성된 자들이 되라는 격려를 하셨다. 이들은 두번째의 죽음을 겅험하지 않을 것이다.
C.버가모 교회(2:12-17)
그리스도는 이교회를 주께 대한 그들의 충성과 그들의 맏음으로 인해서 칭찬하셨다. 그들이 처했던 상황은 영적으로 매우 적대적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충성됨은 더욱더 칭찬받을만 하다. 하지만 그들은 도덕적 타협을 회개하라고 경고 받았다. 성도는 아무런 정죄도 경험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그리스도를 즐거워 하게 될 것이다.
D.두아디라 교회(2:18-29)
이 교회에 대하여 주님은 그들의 사랑, 믿음, 그리고 고된 수고 등 칭찬받을 만한 덕목들을 남다르게 열거하신다. 그러나 그들은 이세벨을 용납한 것에 대해 심하게 책망을 받았다. 성도는 새벽별을 받게 될 것이다.
E.사데 교회(3:1-6)
선한 것이 이교회에서는 별로 발견되지 않았다. 이교회는 실상은 죽은 교회였다. 그리스도는 그들에게 하나님의 진리를 기억하라고 권면을 하셨다. 성도들은 생명책에 그들의 이름이 지워지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을 받았다. 이것은 위협이 아니라 역속의 말씀이라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것은 성돌들의 안전에 대한 철두철미한 보장이다.
F.빌라델비아 교회(3:7-13)
이교회는 충성스럽게 그리스도와 함께 하였고 그 믿음에서 떠나지 않았기 때문에 칭찬을 받았다. 또 그들은 적은 능료을 가지고도 주님을 효과적으로 섬김으로서 칭찬을 받았다. 이교회는 주님께 기쁨을 주는 근원이 되었고 주님은 그들을 대적하는 자들에 대한 승리와 박해로부터 벗어날 것을 그들에게 약속하셨다.
G.라오디게아 교회(3:14-22)
이교회는 아무런 칭찬도 책망도 듣지 아니하였다. 이 교회는 무관심하고 냉담하며 자기 중심적이고 그들의 물질적인 부요에 유혹된 자들이었다. 진정한 성도는 그리스도와 함께 있게 될 것을 보장받았다.
Ⅳ."장차 될 일들": 그리스도의 계획(4:1-22:21)
A.하늘의 광경(4:1-5:14)
B.일곱 인(6:1-8:1)
C.일곱 나팔(8:2-11:190
D.중요한 인물들(12:1-14:20)
환난 기간중 마지막에 그리스도께서 많은 사람들을 구하시고 많은 사람들을 심판하심으로 궁극적인 승리를 가져오실 것이다.
E.일곱 대접(15:1-16:21)
F.두 바벨론(17:1-18:24)
G.마지막 환상(19:1-22:5)
Ⅴ.맺는 말(22: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