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황주의와 기독교가치관
Ⅰ. 서론
Ⅱ. 본론
1. 상황주의의 고찰
1.1.상황주의의 정의
1.2. 상황주의의 전제조건
1.3. 상황주의 주요 가치
2. 상황주의의 평가
2.1. 상황주의의 장점
2.2. 상황주의의 한계
3. 상황주의에 대한 개인의 소견
Ⅲ. 결론
참고문헌
노르만 L.
Ⅰ. 서론
Ⅱ. 본론
1. 상황주의의 고찰
1.1.상황주의의 정의
1.2. 상황주의의 전제조건
1.3. 상황주의 주요 가치
2. 상황주의의 평가
2.1. 상황주의의 장점
2.2. 상황주의의 한계
3. 상황주의에 대한 개인의 소견
Ⅲ. 결론
참고문헌
노르만 L.
본문내용
불확실한 가운데 공동의 이익을 목표로 낙태를 용인한다. 상황주의의 사랑은 반드시 타자에게 이익을 끼쳐야한다. 하지만 이는 앞서 말했듯이 불확정성에 근거하고 있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는 이성적 판단에 따른 결정은 반드시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상황주의는 이러한 예외상황을 무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레처가 말한 은폐된 장소에서 절망감에 죽여 달라는 사람을 외면할 것인가에 대한 대답이 그렇다. 만약 그 사람을 죽였는데 은폐된 장소에서 머지않아 구조 된다면 이는 사랑이라고 할 수 없다.
셋째, 상황주의의 태도적 사랑은 감정적 사랑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상황주의에서 사랑이란 실질적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표현되지 않은 감정적 사랑과 잠재적 사랑을 무시할 여지가 있다. 사람은 인격체이기 때문에 교감과 공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을 표현하거나 행하지 않더라도 사랑의 감정을 알 수 있다. 상황주의는 이러한 사랑을 무시하고 표현된 사랑만이 사랑이라고 주장한다. 문제는 이러한 사랑의 목적이 공리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익이 없는 사랑은 사랑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에서 플레처의 상황주의는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상황주의의 문제점은 기독교 가치관에 혼동을 가져올 가능성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속단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상황주의에 대해서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상황주의와 도덕률 폐기론은 분명히 다른 개념으로 상황주의는 사랑이라는 절대적인 규범을 중심으로 상황을 해결한다. 상황주의란 실용적인 전략과 상대적인 전술, 실증적인 태도, 인격적인 가치 중심을 가진 윤리이다. 따라서 수많은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단일규범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종교의 가치관이나 사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한계성을 가진다. 사랑이라는 목적아래 공동의 최대이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공리적인 성격을 가지며 명확하고 구체적인 윤리적 규범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황이나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영향을 줄 뿐 명확한 규범으로 작용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상황주의는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 한편, 불확실성을 가지며 명확한 규범적 적용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황주의는 기독교 가치관에는 부합한 성격을 가진다.
참고문헌
노르만 L. 가이슬러, 기독교윤리학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셋째, 상황주의의 태도적 사랑은 감정적 사랑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상황주의에서 사랑이란 실질적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표현되지 않은 감정적 사랑과 잠재적 사랑을 무시할 여지가 있다. 사람은 인격체이기 때문에 교감과 공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을 표현하거나 행하지 않더라도 사랑의 감정을 알 수 있다. 상황주의는 이러한 사랑을 무시하고 표현된 사랑만이 사랑이라고 주장한다. 문제는 이러한 사랑의 목적이 공리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익이 없는 사랑은 사랑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에서 플레처의 상황주의는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상황주의의 문제점은 기독교 가치관에 혼동을 가져올 가능성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속단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상황주의에 대해서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상황주의와 도덕률 폐기론은 분명히 다른 개념으로 상황주의는 사랑이라는 절대적인 규범을 중심으로 상황을 해결한다. 상황주의란 실용적인 전략과 상대적인 전술, 실증적인 태도, 인격적인 가치 중심을 가진 윤리이다. 따라서 수많은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단일규범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종교의 가치관이나 사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한계성을 가진다. 사랑이라는 목적아래 공동의 최대이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공리적인 성격을 가지며 명확하고 구체적인 윤리적 규범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황이나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영향을 줄 뿐 명확한 규범으로 작용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상황주의는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 한편, 불확실성을 가지며 명확한 규범적 적용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황주의는 기독교 가치관에는 부합한 성격을 가진다.
참고문헌
노르만 L. 가이슬러, 기독교윤리학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