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장의 구조와 기능
2. 급성 신부전
3. 만성 신질환
4. 투석요법
5. 신장이식
2. 급성 신부전
3. 만성 신질환
4. 투석요법
5. 신장이식
본문내용
Renal Failure (신부전)
Ⅰ.신장의 구조와 기능
▣ 신장의 구조
▪ A retroperitoneal organ
▪ Normal size: 11-15cm in adults
▪ Right kidney usually shorter than the left (upper than of variation in length between right & left 1.5cm)
▪ 겉질(피질) : 외측의 적갈색. 신소체, 근위 원위 세뇨관으로 구성
▪ 속질(수질) : 내측의 적색 부분, 헨레고리, 집합관으로 구성
▪ 신우 : 요관과 신장의 연결부로 깔대기 모양의 공간
Ⅰ.신장의 구조와 기능
▪ 네프론 : 콩팥의 기능을 담당하는 단위 (각 신장마다 약 100만개 존재)
▪ 신장으로 들어온 피는 네프론의 보먼주머니에 있는 사구체에서 여과 → 여과된 용액은 네프론의 근위세뇨관(토리쪽세관), 헨레고리(콩팥세관고리), 원위세뇨관(먼쪽세관)을 돌며 물과 무기질의 재흡수 과정을 겪음
▪ 집합관으로 모든 네프론으로부터 여과된 용액이 모이고 또 각각의 집합관이 모여서 배설될 용액을 신우로 흘려 보냄
▪ 신우를 통해 요관으로 배설
Ⅰ.신장의 구조와 기능
▣ 신장의 기능
√ 소변의 생성과 배설기능 : 소변의 생성과 배설을 통해 체액의 양과 구성성분을 조절
① 수분 · 전해질의 조절: 체액의 양과 조성을 조절
② 산염기평형의 조절: 체액 pH를 일정하게 유지
③ 대사산물의 배설 : 요소, 크레아티닌 등을 체외로 배출
√ 내분비기능 : 호르몬의 생산과 조절에 관여
Ⅰ.신장의 구조와 기능
▣ 신장의 구조
▪ A retroperitoneal organ
▪ Normal size: 11-15cm in adults
▪ Right kidney usually shorter than the left (upper than of variation in length between right & left 1.5cm)
▪ 겉질(피질) : 외측의 적갈색. 신소체, 근위 원위 세뇨관으로 구성
▪ 속질(수질) : 내측의 적색 부분, 헨레고리, 집합관으로 구성
▪ 신우 : 요관과 신장의 연결부로 깔대기 모양의 공간
Ⅰ.신장의 구조와 기능
▪ 네프론 : 콩팥의 기능을 담당하는 단위 (각 신장마다 약 100만개 존재)
▪ 신장으로 들어온 피는 네프론의 보먼주머니에 있는 사구체에서 여과 → 여과된 용액은 네프론의 근위세뇨관(토리쪽세관), 헨레고리(콩팥세관고리), 원위세뇨관(먼쪽세관)을 돌며 물과 무기질의 재흡수 과정을 겪음
▪ 집합관으로 모든 네프론으로부터 여과된 용액이 모이고 또 각각의 집합관이 모여서 배설될 용액을 신우로 흘려 보냄
▪ 신우를 통해 요관으로 배설
Ⅰ.신장의 구조와 기능
▣ 신장의 기능
√ 소변의 생성과 배설기능 : 소변의 생성과 배설을 통해 체액의 양과 구성성분을 조절
① 수분 · 전해질의 조절: 체액의 양과 조성을 조절
② 산염기평형의 조절: 체액 pH를 일정하게 유지
③ 대사산물의 배설 : 요소, 크레아티닌 등을 체외로 배출
√ 내분비기능 : 호르몬의 생산과 조절에 관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