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Chronic renal failure-15쪽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케이스-Chronic renal failure-15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일반적 정보
2. 환자상태 사정
-각종 검사수치, 식이 및 교육
3. 투약기록
4. 문제목록
5. 간호과정 (자료수집-객관적*주관적, 진단,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Ⅲ. 결론

-결론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
calcium
세포외액의 칼슘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근육허약, 기면, 혼수를 초래할 수 있다. 칼슘농도가 정상보다 낮으면 테타니성 경련을 일으킨다.
② 식이 및 교육
- 식이조절의 필요성과 중요성 : 신장이 기능을 멈추면, 요독이 배설되지 않고 혈액속에 쌓이게 된다. 복막투석을 통해서 요독이 배설된다고 하더라도, 혈액속에 있는 모든 요독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식이 요법을 통하여 혈액에 쌓이는 노폐물의 양을 줄이면 요독증상을 줄일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음식 : 인, 포타슘, 소디움이 많이 든 음식인이 많이 든 음식
우유, 요구르트, 견과류, 현미, 잡곡, 낙지
, 옥수수, 생멸치, 튀김가루 등
포타슘이 많이 든 음식
우유, 치즈, 김치류, 바나나, 복숭아, 커피,
콜라, 코코아 등
소디움이 많이 든 음식
통조림, 훈제품, 바지락, 전복, 김치류, 소금, 라면류, 된장, 고추장 등
-충분히 섭취해야 할 음식 : 계란흰자, 고기, 생선류(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마스크 착용, 손씻기의 중요성 : 감염을 예방
-필수 약제 복용의 필요성 및 중요성 : 식이요법, 수분조절과 함께 약물요법으로 신장의 기능을 보완해 주어야 한다.
3. 투약기록
처방명
용량
용법

경로
pritol tab. 80mg
80mg
1T
#1
PO
kremezin fine granule
4g
2포
#2
PO
lasix tab 40mg
40mg
1T
#1
PO
feroba-u sr tab. 512mg
512mg
2T
#2
PO
dilatren tab 6.25mg
6.25mg
1T
#1
PO
phosbine tab. 710mg
1420mg
2T
#2
PO
aspirine protect tab.100
100mg
1T
#1
PO
ordipin tab.5mg
5mg
1T
#1
PO
0.9%Nacl inj.1000ml
1000mg
1bag
#1
IVD
Topanusol 10% inj
500mg
1BT
#1
IVD
12/10
12/12
처방명
용량
용법

경로
pheniramine inj.4mg
4mg
1A
#1
IVB
Neso orefilled syr 120mg
120mg
1Syr
#1
ISC
12/16
처방명
용량
용법

경로
Lanston cap.30mg
30mg
1C
#1
PO
mucosta tab.100mg
100mg
2T
#1
PO
12/17
처방명
용량
용법

경로
stogar tab.10mg
10mg
1T
#1
PO
pheniramine inj.4mg
4mg
1A
#1
IVSI
4. 문제목록
①RBC Hb HCT 감소와 MCH 증가로 인한 빈혈
②신장기능의 저하에 따른 creatinine수치 증가
③경구섭취불량에 따른 영양결핍과 체액불균형의 위험성
5. 간호과정
자료수집
주관적
“어지럽고 몸에 힘이없어”
“얼굴이랑 발이 자주 붓고 밤에 소변이 마려워”
“밥이 맛없어”
객관적
-RBC, Hb, HCT 감소로인한 출혈, 세균감염, 골수 기능 저하, 순환혈액량 감소, 혈장량 감소등 각종 빈혈 발생
-creatinine수치 증가
간호진단
빈혈증상의 완화와 creatinine수치의 증가방지를 위한 수혈과 식이개선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의 빈혈증상이 감소한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빈혈증상과 creatinine수치가 감소하고, 퇴원후에도 지속적인 식이개선으로 신부전의 증상악화를 방지한다.
간호계획
①대상자에게 수혈을 실시한다.
②대상자에게 신부전의 증상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한다.
③대상자의 식이를 북돋는다.
간호수행
①대상자의 수혈에 대한 인지정도 사정 (12.12.12. 13am50)
"수혈을 왜 하는지 알고 계신가요?“
“아까 선생님이 말은 했는데 자세히는 모르것어.”
=수혈의 목적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
②신부전의 증상 악화 방지를 위한 식이 교육 (12.12.17 10am55)
-신장이 기능을 멈추면, 요독이 배설되지 않고 혈액속에 쌓이게 되요. 복막투석을 통해서 요독이 배설된다고 하더라도, 혈액속에 있는 모든 요독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기때문에 식이 요법을 통하여 혈액에 쌓이는 노폐물의 양을 줄이면 요독증상을 줄일 수 있어요. 평소에도 그렇지만 퇴원후에도 계란흰자, 고기, 생선류(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드셔야 되요.
이론적 근거
-대상자는 자신의 상태에 대해 알 권리가 있다. (빈혈의 이유를 알 고 왜 수혈을 받아야 하는지 안다.)
-신부전은 회복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더 악화되지 않게, 관리가 중요하다.
평가
-12.12.14 16am 에 수혈에 대한 인지정도를 재사정한 결과
“수혈을 왜 하는지 알고 계신가요?”
“내가 안어지럽고 건강해지려면 피주사를 맞아야지.”
라고 말씀하시면서 중요성을 인지한 모습을 보였다.
-12.12.17 13am 에 대상자는 계란과 비타민제를 먹는 모습을 보였고 짠 음식과 우유는 피하고 있다고 하였다.
* 결과적으로 이 간호 중재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12. 12. 17
Ⅲ.결론
-결론
만성신부전의 대표적인 원인은 당뇨와 고혈압이고, 증상으로는 권태감, 두통, 어지러움, 빈혈 등이 있다. 이 환자는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고, 증상으로는 빈혈이 나타났으며 식욕부진과 어지럼증을 많이 호소하였다. 치료는 12일, 17일 수혈이 실시되었다. 환자의 상태가 점점 호전되었고 객관적자료인 일반화학검사중 creatinine 수치가. 3.41까지 내려가 환자가 18일 퇴원했다. 이 환자의 진단에 대해 관찰하면서 신부전의 간호를 할 때에는 creatinine수치와 수혈, 식이와 같은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증상이 심할 시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참고문헌
*황옥남, 김진경 외 공저(2011),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황옥남, 김진경, 외 공저(2010),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의정부성모병원 EMR
*네이버 건강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diseaseSymptomTypeCode=AA&diseaseSymptomCode=AA000367&cpId=CP00038907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5.0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