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I.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1. 파블로프의 생애
2. 주요개념
1) 고전적 조건반사와 고전적 조건형성
2) 강화와 소멸
3) 일반화와 변별화

II.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1. 스키너의 생애
2. 주요개념
1) 반응적 행동과 조작적 행동
2) 강화와 강화인
3) 소멸과 처벌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적 또는 부적이라는 용어는 좋거나 나쁘다는 가치판단과는 무관하게 행동의 제시 또는 철회를 의미한다. 정적 강화인은 행동의 제시가 기대 결과의 재발 확률을 증가시키는 자극이다.
예컨대, 자기 방 청소를 한 아동에게 용돈을 주거나 칭찬을 하는 것은 그 행동을 유지하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반면 부적 강화인은 그것의 철회가 기대 결과의 재발 확률을 증가시키는 자극이다. 불쾌하거나 혐오스러운 것의 철회를 통해 기대 행동은 강화된다. 예를 들어, 다리에 박힌 파편을 제거하는 것은 불쾌한 것이 제거되는 것이므로 강화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경우 파편을 제거하는 행위는 부적 강화인으로 작용한다. 부적 강화인은 정적 강화인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행동이 발생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침대에서 자라는 찬소리를 하지 않게 되면(철회), 오히려 아이가 자기 침대로 가서 자는 경우가 많아지는 것(강화)이 정적 강화인의 예라고 볼 수 있다.
3. 소멸과 처벌
행동을 증대시키려는 강화와 달리, 행동 빈도를 감소시키거나 전적으로 중지시키려는 과정을 소별(extinction)이라 한다. 소멸은 어떤 반응이 게 이상 강화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멸을 위한 것이 처벌(punishment)이다.
혐오스럽거나 불쾌한 자극을 제시하거나 혹은 정적 강화를 철회하는 것이 처벌에 해당되는데, 아동이 잘못을 했을 때 심하게 야단을 치거나 주려던 장난감을 주지 않는 것 등이 이 처벌인(punisher)에 해당할 것이다. 처벌인은 부적 강화인과 혼동될 소지가 있다. 그러나 처벌인은 어떠한 행동의 발생을 강화하는 목적을 가진 부적 강화인파 달리 어떤 행동이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2.27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5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