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조직문화의 정의
II. 조직문화의 기능
III. 조직문화의 특성
1. 기술적 특성
2. 지배문화와 하위문화
3. 강한 문화와 약한 문화
IV. 조직문화의 창조 및 유지
1. 조직문화의 시작
2. 조직문화의 유지
V. 조직문화모형
1. 쉐인의 조직문화모형
2. 7S 조직문화모형
3. 조직 매력-선발-퇴출 모형
4. 조직사회화 모형
VI. 조직문화의 명암
* 참고문헌
II. 조직문화의 기능
III. 조직문화의 특성
1. 기술적 특성
2. 지배문화와 하위문화
3. 강한 문화와 약한 문화
IV. 조직문화의 창조 및 유지
1. 조직문화의 시작
2. 조직문화의 유지
V. 조직문화모형
1. 쉐인의 조직문화모형
2. 7S 조직문화모형
3. 조직 매력-선발-퇴출 모형
4. 조직사회화 모형
VI. 조직문화의 명암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갈등관리, 변화관리를 포함한다.
7S 조직문화모형에서는 각 요소 간의 상호 의존성과 연합성이 강하게 형성될수록 강한 조직 문화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호 의존성과 연합성이 결여될수록 일관성이 없고 약한 조직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3) 조직 매력-선발-회출 모형
슈나이더(Schneider, 1987)는 어떤 조직의 성격이나 문화와 잘 부합되는 성격 특성이나 가치를 지닌 지원자들이 그 조직에 입사하려고 시도하게 되며(매력, Attraction), 조직 또한 자신의 조직 성격이나 문화와 잘 부합하는 사람들을 고용하려 하며(선발, Selection) 조직의 문화와 잘 맞지 않는 사람들은 그 조직에서 오래 채직하지 못하고 이직한다(퇴출, Attrition)고 본다. 이러한 조직 매력-선발-퇴출 모형은 약자로 ASA모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조직 사회화 모형
조직 구성원이나 예비 조직 지원자들이 조직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조직 사회화 과정(organizational socialization)으로 조직 문화를 이해하는 모형이다. 조직 사회화 연구는 근본적으로 집단 규범, 직무 특성, 사회화 전략, 직무 도전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근본적으로 관심을 보였지만, 개인이 한 조직에 적응하는 속도에 대한 것은 상징적 상호 작용 접근으로도 잘 설명될 수 있다.
VI. 조직 문화의 명암
조직 문화는 조직 몰입을 가져 오며 종업원 행동의 일관성을 증가시킨다는 순기능측면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조직 문화는 이러한 순기능적인 측면만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 문화가 내포하고 있는 역기능적 측면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강한 조직 문화는 조직 변화에 대한 장애로 작용하며, 조직 창의성과 다양성 추구를 방해하기도 한다. 또한 강한 조직문화는 기업 인수와 합병을 원활히 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조직이 무경계 조직으로 발전하는 것을 저해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7S 조직문화모형에서는 각 요소 간의 상호 의존성과 연합성이 강하게 형성될수록 강한 조직 문화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호 의존성과 연합성이 결여될수록 일관성이 없고 약한 조직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3) 조직 매력-선발-회출 모형
슈나이더(Schneider, 1987)는 어떤 조직의 성격이나 문화와 잘 부합되는 성격 특성이나 가치를 지닌 지원자들이 그 조직에 입사하려고 시도하게 되며(매력, Attraction), 조직 또한 자신의 조직 성격이나 문화와 잘 부합하는 사람들을 고용하려 하며(선발, Selection) 조직의 문화와 잘 맞지 않는 사람들은 그 조직에서 오래 채직하지 못하고 이직한다(퇴출, Attrition)고 본다. 이러한 조직 매력-선발-퇴출 모형은 약자로 ASA모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조직 사회화 모형
조직 구성원이나 예비 조직 지원자들이 조직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조직 사회화 과정(organizational socialization)으로 조직 문화를 이해하는 모형이다. 조직 사회화 연구는 근본적으로 집단 규범, 직무 특성, 사회화 전략, 직무 도전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근본적으로 관심을 보였지만, 개인이 한 조직에 적응하는 속도에 대한 것은 상징적 상호 작용 접근으로도 잘 설명될 수 있다.
VI. 조직 문화의 명암
조직 문화는 조직 몰입을 가져 오며 종업원 행동의 일관성을 증가시킨다는 순기능측면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조직 문화는 이러한 순기능적인 측면만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 문화가 내포하고 있는 역기능적 측면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강한 조직 문화는 조직 변화에 대한 장애로 작용하며, 조직 창의성과 다양성 추구를 방해하기도 한다. 또한 강한 조직문화는 기업 인수와 합병을 원활히 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조직이 무경계 조직으로 발전하는 것을 저해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호텔경영에 있어 지식경영과 관리자의 리더십유형 및 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문화의 개념, 국민은행 합병 사례를 통한 조직문화 분석, 각 은행 간 조직문화 비교 및 ...
[조직문화 정의][조직문화 유형][조직문화 중요성][조직문화 특성과 기능][조직문화 구성요소...
조직문화에 대한 특성을 고찰한 후 기업문화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조직문화가 기...
조직이론- 조직문화
조직문화이론 (조직문, 조직문화이론의 개념·정의·성격, 조직문화이론의 일반적이론, 조직문...
기업문화의 형성요인, 유형 및 나아가야할 방향 (기업문화, 기업문화의 형성요인, 조직문화의...
자신이 속한 조직 및 단체, 직장, 가정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속한 조직구조와 구성원들의 ...
간호관리학) 조직문화와 조직변화 A+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