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1. 리더십의 정의
2. 리더십의 기능
3. 리더십과 조직문화
4. 리더십과 호텔 경영성과
5. 정보시스템과 지식경영시스템
6. 지식경영과 고객관계관리
7. 호텔경영과 지식경영
8. 리더십의 이론
9. 직무만족의 정의와 리더십과의 관계성
Ⅲ. 연구의 모형과 가설의 설정
1. 연구모형
2. 가설의 설정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Ⅳ. 연구결과
1. 표본의 특성
2. 신뢰성 분석
3. 가설의 검증
가. 리더십의 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
나.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호텔특성의 조절관계
다.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인구통계적 특성의 조절관계
Ⅴ. 결 론
참고문헌
Ⅱ. 이론적 고찰
1. 리더십의 정의
2. 리더십의 기능
3. 리더십과 조직문화
4. 리더십과 호텔 경영성과
5. 정보시스템과 지식경영시스템
6. 지식경영과 고객관계관리
7. 호텔경영과 지식경영
8. 리더십의 이론
9. 직무만족의 정의와 리더십과의 관계성
Ⅲ. 연구의 모형과 가설의 설정
1. 연구모형
2. 가설의 설정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Ⅳ. 연구결과
1. 표본의 특성
2. 신뢰성 분석
3. 가설의 검증
가. 리더십의 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
나.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호텔특성의 조절관계
다.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인구통계적 특성의 조절관계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들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호텔경영관리자의 자기계발이 요구된다. 자신의 리더십유형에 따라 일선종사원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 수 있기에 직업윤리와 가치관 확립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일선종사원의 참여 및 의견반영이 요구되며, 셋째로 비공식적 모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수시로 종사원의 직무만족을 조사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의 호텔기업에 맞는 리더십의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다. 호텔 자체적인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과 체인호텔의 경우는 국내실정에 맞는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리더십유형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 또한 리더십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호텔특성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조절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표본대상의 지역적 한계로 인해 제안하고자 하는 결과의 일반화에는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리더십유형의 설정에도 이론성 확보를 위해 가장 평이한 레윈(K.Lewin)의 리더십유형을 기본으로 하였다. 사실상 리더십의 행위로 보기 어려운 자유방임형을 제외하는 대신에 본 연구의 실증분석상의 핵심적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소위 대표적인 한국적 리더십유형으로 가부장적 온정형이라는 리더십유형을 포함시켰으나, 일선종사원인 조직구성원들이 그들의 상사인 경영관리자의 리더십 행동에 대하여 감정적 반응을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겠끔 리더십유형의 다양한 제시를 하지 못했다는 것을 본 연구의 또 다른 한계성으로 지적할 수 있다.
또 리더십유형에 따른 직무만족에만 국한시킴으로서 리더십의 개발이나 직무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가 계속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호텔기업의 종사원과 경영관리자의 관계에 대한 종사원의 인식이 직무만족과 다른 변인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는데 연구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겠다.
차후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이론적 근거에 입각한 보다 상세한 모형설계를 통해, 또한 전국적 범위의 조사를 통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방향으로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남현·김정원(2001), 『리더십』, 서울: 경문사.
김원인·이현정(2000), “관광호텔의 리더십유형에 따른 조직성과 연구”, 『관광연구』, 15(2): 113∼134.
김학성(1994), “리더십과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대현(1993), “TQM문화와 환대서비스 경영개념”, 경희대 경영대학원 산업관계연구소, 『산연논총』, 제18집.
신유근(1992), 『한국의 경영』, 서울: 박영사.
이광재(1994), "리더십유형이 조직구성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병길(1994), “리더십유형이 직무만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수도·정기억(2001), 『신경영조직론』, 서울: 문영사
이재규(1992), 『최신경영학원론』, 서울: 박영사.
이현정(1999), “관광호텔의 조직풍토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영철(1996), “호텔 경영관리자의 리더십에 대한 일선종사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rnard, C.(1972),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 Cambridge, Massac- 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30th, Anniversary ed.
Bass, B. M.(1990), Bass and Stogdill's Handbook of Leadership, 3rd ed, New York, Free Press.
Bowers, D. & S. Seashore.(1967), "Peer Leadership Within Work Groups", Personnel Administrative : 149∼160 .
Gibson, J. & Ivancevich J. & Donnelly, J.(1973), Organizations, Dallas, Tex, Business Publications.
Ivancevich, J. & Donnelly, J.(1974), "A Study of Role Clarity and Need for Clarity for Three Occupational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7 : 28∼36.
Krech, D. & R. Crutchfield.(1962), Individual in Society, McGraw-Hill.
Lippit R. & R. White.(1968), "Leader Behavior and Member Reaction in Three Social Climates." in D. Cartwright and A. Zander(eds). Group Dynamics. N. Y: Harper and Row : 319∼321.
Locke, E. 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McCormick, E. J. & Tiffin, J.(1980), Industrial Psychology, N.J.: Printice-Hall.
Porter, L. & E. Lawler.(1968), Managerial Attitude and Performances, Homewood, Irwia.
Selznick, P.(1965), Leadership in Administration, Harper and Row.
Stogdill, R.(1974), Handbook of leadership: A Survey of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Free press.
Tannenbaum, R.(1961), Leadership and Organization: A Behavioral Science Approach, McGraw-Hill.
첫째, 호텔경영관리자의 자기계발이 요구된다. 자신의 리더십유형에 따라 일선종사원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 수 있기에 직업윤리와 가치관 확립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일선종사원의 참여 및 의견반영이 요구되며, 셋째로 비공식적 모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수시로 종사원의 직무만족을 조사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의 호텔기업에 맞는 리더십의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다. 호텔 자체적인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과 체인호텔의 경우는 국내실정에 맞는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리더십유형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 또한 리더십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호텔특성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조절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표본대상의 지역적 한계로 인해 제안하고자 하는 결과의 일반화에는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리더십유형의 설정에도 이론성 확보를 위해 가장 평이한 레윈(K.Lewin)의 리더십유형을 기본으로 하였다. 사실상 리더십의 행위로 보기 어려운 자유방임형을 제외하는 대신에 본 연구의 실증분석상의 핵심적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소위 대표적인 한국적 리더십유형으로 가부장적 온정형이라는 리더십유형을 포함시켰으나, 일선종사원인 조직구성원들이 그들의 상사인 경영관리자의 리더십 행동에 대하여 감정적 반응을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겠끔 리더십유형의 다양한 제시를 하지 못했다는 것을 본 연구의 또 다른 한계성으로 지적할 수 있다.
또 리더십유형에 따른 직무만족에만 국한시킴으로서 리더십의 개발이나 직무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가 계속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호텔기업의 종사원과 경영관리자의 관계에 대한 종사원의 인식이 직무만족과 다른 변인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는데 연구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겠다.
차후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이론적 근거에 입각한 보다 상세한 모형설계를 통해, 또한 전국적 범위의 조사를 통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방향으로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남현·김정원(2001), 『리더십』, 서울: 경문사.
김원인·이현정(2000), “관광호텔의 리더십유형에 따른 조직성과 연구”, 『관광연구』, 15(2): 113∼134.
김학성(1994), “리더십과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대현(1993), “TQM문화와 환대서비스 경영개념”, 경희대 경영대학원 산업관계연구소, 『산연논총』, 제18집.
신유근(1992), 『한국의 경영』, 서울: 박영사.
이광재(1994), "리더십유형이 조직구성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병길(1994), “리더십유형이 직무만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수도·정기억(2001), 『신경영조직론』, 서울: 문영사
이재규(1992), 『최신경영학원론』, 서울: 박영사.
이현정(1999), “관광호텔의 조직풍토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영철(1996), “호텔 경영관리자의 리더십에 대한 일선종사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rnard, C.(1972),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 Cambridge, Massac- 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30th, Anniversary ed.
Bass, B. M.(1990), Bass and Stogdill's Handbook of Leadership, 3rd ed, New York, Free Press.
Bowers, D. & S. Seashore.(1967), "Peer Leadership Within Work Groups", Personnel Administrative : 149∼160 .
Gibson, J. & Ivancevich J. & Donnelly, J.(1973), Organizations, Dallas, Tex, Business Publications.
Ivancevich, J. & Donnelly, J.(1974), "A Study of Role Clarity and Need for Clarity for Three Occupational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7 : 28∼36.
Krech, D. & R. Crutchfield.(1962), Individual in Society, McGraw-Hill.
Lippit R. & R. White.(1968), "Leader Behavior and Member Reaction in Three Social Climates." in D. Cartwright and A. Zander(eds). Group Dynamics. N. Y: Harper and Row : 319∼321.
Locke, E. 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McCormick, E. J. & Tiffin, J.(1980), Industrial Psychology, N.J.: Printice-Hall.
Porter, L. & E. Lawler.(1968), Managerial Attitude and Performances, Homewood, Irwia.
Selznick, P.(1965), Leadership in Administration, Harper and Row.
Stogdill, R.(1974), Handbook of leadership: A Survey of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Free press.
Tannenbaum, R.(1961), Leadership and Organization: A Behavioral Science Approach, McGraw-Hill.
키워드
추천자료
[중저가관광호텔][경영형태][중저가관광호텔 특성][중저가관광호텔 고객만족 전략]중저가관광...
정보의 중요성, 경영정보시스템(MIS)의 이론적 배경, 경영정보시스템(MIS)의 발전과정, 경영...
리더쉽 경영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교감][교감의 지위][교감의 역할][교감의 지도성][교감의 리더십][교감의 이상향][교감의 업...
[경영관리][경영관리 인간관계론][경영관리의 관리자적 자질]경영관리의 계층별 유형, 경영관...
SELC 기업경영과 비즈니스 전략 족보 중간고사 1-7강 (기업과 경영, 경영 환경 변화, 경영자,...
평생교육경영에서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 (평생교육경영에서...
[리더십교육]관리자의 리더십 (리더십의 정의와 중요성 및 특성과 유형, 리더십 조건, 자기혁...
(경영학개론 리더십 공통) 본인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문제, 교재 130~131p 설문지 활용 자신...
지속가능경영 레포트 - 리더십의 정의와 리더십 이론의 변천과정,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및 ...
[2017년 경영학개론] 자신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문제입니다. 먼저 교재130~131쪽 설문지를 활...
((간호지도자론2017))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경영학개론 2018 교재의 리더십 연구의 흐름을 간략히 정리하시오 교재 130~131쪽 설문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