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의 양면성 - 아이어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의의 양면성 - 아이어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라크 정부군, 이라크 주둔 미국 사이에 내전까지 발생하게 되어 더 큰 유혈충돌이 계속 끊이질 않고 있다. 2010년 현재 이라크의 치안 상태는 과거에 비해 안정적이나 아직도 곳곳의 저항세력과 폭탄 테러, 개릴라 전 등으로 미군과 이라크 정부에 저항하고 있다.
아무도 국제분쟁이나 내전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 영화의 무대가 되는 아프간 전쟁터 만해도 그렇다. 주인공은 아프간 미국 군사 지역에서 새로 개발한 무기를 실험하러 간 도중에 테러리스트들에게 잡혀서 자신 개발한 무기가 모국에 도움을 주는 것 뿐 아니라 테러리스트들에게도 무차별하게 거래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따라서 무기 개발을 멈추고 사회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을 하려고 하는데, 이 발상 자체가 미국은 정의 이고, 테러리스트들은 정의가 아닌 역할을 맡고 있다.
이것은 미국, 즉 열강들이 모두 옳고 소수의 분쟁 나라들은 그의 말을 따라야 하는 것 처럼 느껴졌다.
결국 이 영화는 평화유지를 위해서는 압도적인 무력이 필요하고, 그 무력은 선한 의지를 가진 자에 의해서 사용 되어질 때 진정한 인류의 미래에 평화가 도래한다고 보고 있다.
마이크센델이 내린 정의의 범주에 미국이라는 강대국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재산과 권력의 불평등을 허용하되 그것이 모든 사람, 그 중에서도 특히 사회에서 가장 약자에 속하는 사람에게 그 불평등을 보상할 만한 이득을 가져오는 경우에만 정당한 것임을 내세우는 것인데 더욱더 강대국이 되기 위해 약자인 나라를 침범으로 정의를 내세우고 있다. 과연 이것이 올바른 정의라고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1.07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