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아주 멀리 있는, 하지만 바로 옆에 있는
2. 세계화가 끼친 긍정적 영향
2-1) 장벽을 허문 나라들
2-2) 문화의 교류
2-3) 전 세계의 지구촌화
3. 세계화가 끼친 부정적 영향
3-1) 선진국 중심의 세계화
3-2) 세계화와 불평등
3-3) 발전과 환경문제
3. 세계화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아주 멀리 있는, 하지만 바로 옆에 있는
2. 세계화가 끼친 긍정적 영향
2-1) 장벽을 허문 나라들
2-2) 문화의 교류
2-3) 전 세계의 지구촌화
3. 세계화가 끼친 부정적 영향
3-1) 선진국 중심의 세계화
3-2) 세계화와 불평등
3-3) 발전과 환경문제
3. 세계화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본문내용
러에서 2007년에는 단위당 66달러로 상승했다. 버블 세계화, 브루스 그린왈트 외, 세계사, 2009 p133-134
발전과 환경문제
해마다 원유 소비는 1%, 가스소비는 3%, 석탄 소비는 6%가 넘는 증가세에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발전소에서만 미국과 러시아, 인도를 모두 합친 소비량보다 더 많은 석탄이 소모된다. 미국 한 나라에서 소비하는 원유가 세계 전체 원유소비량의 1/4이나 된다. 전 세계 일차 에너지의 거의 90%가 석탄, 천연가스, 석유로 충당된다.
에너지 에이전트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에너지 수요량 증가율이 50%를 넘을 것으로 예측한다. 물론 2030년에도 석탄, 천연가스, 석유가 전체 일차에너지의 80% 이상을 공급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국제 기후협약에 아무런 구속을 받지 않고 이산화탄소 배출향은 계속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기상청 해들리센터는 2006년 말 모든 사람을 경악케 한 평가서를 내놓았다. 브레이크가 풀린 듯 멈출 줄 모르는 기후변화가 지구 면적의 1/3에 이르는 땅에 농사지을 수 없을 만큼의 극심한 가뭄을 불러온다는 것이다. 2007 유엔 기후보고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발전 목표를 무력화하고, 식수대란과 식량 위기를 낳고, 여태껏 상상할 수 없었던 대대적인 탈출 및 이주 물결을 불러올 것이다.
세계은행의 경제학자였던 니컬러스 스턴은 해마다 전 세계 국민총샌산의 10%는 기후변화를 막는데 써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만일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은 채 이상기후로 생기는 피해를 막으려면 20배나 더 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동부 연안에 주로 나타나는 허리케인이 점점 북쪽으로 방향을 옮기고 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유사 이래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북해는 기록적인 고온현상을 보이고, 전 세계적으로 해수면은 이전에는 관찰되지 않았던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기상학자들은 지구 대기온도가 점점 따뜻해지고 있는데, 이 현상이 특히 인간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한다.
대기혼도 및 해수온도 상승과 더불어 극단적인 기상 상황의 빈도 또한 늘고 있다. 갑자기 폭설이 내려 혹한이 몰아치자마자 한 겨울인데도 금방 따사로운 날씨로 급변하고, 끔찍스러운 가뭄이 끝나고 나면 금방 엄청난 폭우가 쏟아지곤 한다. 또한, 허리케인 바깥 지역에서도 더욱 강력한 토네이도가 국민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곤 한다.
점점 더 많은 숲이 거대 다국적기업의 상업적 이익의 제물이 되고 있다. 유전과 광상이 숲 한가운데 마구잡이로 건설되고, 콩, 바이오연료의 대규모 재배농장이 들어섬으로써 무수히 많은 나무가 잘렸다. 특히 판매용 원목 수요는 줄어들 줄 모른다. 세계화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 외, 현실문화, 2009 p202-219
합법적인 목재 판매로는 세계 전체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한 지 이미 오래다. 예를 들면 그린피스 연구 보고서는 인도네시아산 원목이 말레이시아산 원목으로 둔갑해 중국을 경유, 전 세계에 수출되고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어느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이 수입한 열대 목재의 1/3~2/3가 불법적인 벌목으로 잘린 나무다.
지금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자연 재해와 기상 이변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세계화의 흐름에 휩쓸려 우리는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환경을 생각하지 않은 무책임한 발전은 결국 우리의 미래를 위협할 것이다.
세계화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세계화. 무조건적인 수용도 무작정 배척 할 수도 없다. 이미 우리는 세계화로 인해 이만큼 발전했고 더 발전해 나갈 것이다. 여러 나라와의 교역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국민들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 주었다. 하지만 긍정적으로만 생각하기엔 걸리는 부분이 너무 많다. 세계화의 물결 속에 수많은 나무가 죽어갔고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되었다. 오염된 물은 해양생물들을 오염시키고 ‘물부족국가’가 생겼으며 기아를 만들었다.
우리는 세계화에 대해서 좀 더 알아야 한다. 그리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어째서 사람들은 가난해지는지, 소득불평등은 왜 일어나는지, 우리가 더 관심을 가져야할 소외받은 계층은 누구인지.
거대한 흐름 속에 우리는 그저 힘없이 휩쓸려가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세계화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반성과 성찰의 자세로 보다 주체적이고 적극적이게 세계화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버블 세계화, 브루스 그린왈트 외, 세계사, 2009
◎세계화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 현실문화, 2009
◎세계화와 소득 불평등, 이성균 외, 집문당, 2007
◎네이버 지식인, 세계화의 영향에 대해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2&docId=58912603&qb=7IS46rOE7ZmU64qUIOq1reygnOygley5mCDtmLnsnYAg7IS46rOE7KCV7LmY652864qUIOqyg+ydhCDqsIDriqXtlZjqsowg7ZWp64uI&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gPGgzz331xVssbplCWNssv--231280&sid=Te4L0Lro7U0AAAWNhRQ
◎네이버 지식인, 세계화에 대해서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2&docId=59997097&qb=7IS46rOE7ZmUIOq4jeyglQ==&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Py7xv331xRssbUZ7eCssv--452189&sid=TeyLrrBt7E0AAC1gEA0
◎코카콜라 [The Coca-Cola Company ]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51889
◎“태권도 세계화, 현실이 됐다” |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5102220415&code=980701
발전과 환경문제
해마다 원유 소비는 1%, 가스소비는 3%, 석탄 소비는 6%가 넘는 증가세에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발전소에서만 미국과 러시아, 인도를 모두 합친 소비량보다 더 많은 석탄이 소모된다. 미국 한 나라에서 소비하는 원유가 세계 전체 원유소비량의 1/4이나 된다. 전 세계 일차 에너지의 거의 90%가 석탄, 천연가스, 석유로 충당된다.
에너지 에이전트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에너지 수요량 증가율이 50%를 넘을 것으로 예측한다. 물론 2030년에도 석탄, 천연가스, 석유가 전체 일차에너지의 80% 이상을 공급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국제 기후협약에 아무런 구속을 받지 않고 이산화탄소 배출향은 계속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기상청 해들리센터는 2006년 말 모든 사람을 경악케 한 평가서를 내놓았다. 브레이크가 풀린 듯 멈출 줄 모르는 기후변화가 지구 면적의 1/3에 이르는 땅에 농사지을 수 없을 만큼의 극심한 가뭄을 불러온다는 것이다. 2007 유엔 기후보고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발전 목표를 무력화하고, 식수대란과 식량 위기를 낳고, 여태껏 상상할 수 없었던 대대적인 탈출 및 이주 물결을 불러올 것이다.
세계은행의 경제학자였던 니컬러스 스턴은 해마다 전 세계 국민총샌산의 10%는 기후변화를 막는데 써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만일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은 채 이상기후로 생기는 피해를 막으려면 20배나 더 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동부 연안에 주로 나타나는 허리케인이 점점 북쪽으로 방향을 옮기고 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유사 이래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북해는 기록적인 고온현상을 보이고, 전 세계적으로 해수면은 이전에는 관찰되지 않았던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기상학자들은 지구 대기온도가 점점 따뜻해지고 있는데, 이 현상이 특히 인간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한다.
대기혼도 및 해수온도 상승과 더불어 극단적인 기상 상황의 빈도 또한 늘고 있다. 갑자기 폭설이 내려 혹한이 몰아치자마자 한 겨울인데도 금방 따사로운 날씨로 급변하고, 끔찍스러운 가뭄이 끝나고 나면 금방 엄청난 폭우가 쏟아지곤 한다. 또한, 허리케인 바깥 지역에서도 더욱 강력한 토네이도가 국민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곤 한다.
점점 더 많은 숲이 거대 다국적기업의 상업적 이익의 제물이 되고 있다. 유전과 광상이 숲 한가운데 마구잡이로 건설되고, 콩, 바이오연료의 대규모 재배농장이 들어섬으로써 무수히 많은 나무가 잘렸다. 특히 판매용 원목 수요는 줄어들 줄 모른다. 세계화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 외, 현실문화, 2009 p202-219
합법적인 목재 판매로는 세계 전체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한 지 이미 오래다. 예를 들면 그린피스 연구 보고서는 인도네시아산 원목이 말레이시아산 원목으로 둔갑해 중국을 경유, 전 세계에 수출되고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어느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이 수입한 열대 목재의 1/3~2/3가 불법적인 벌목으로 잘린 나무다.
지금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자연 재해와 기상 이변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세계화의 흐름에 휩쓸려 우리는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환경을 생각하지 않은 무책임한 발전은 결국 우리의 미래를 위협할 것이다.
세계화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세계화. 무조건적인 수용도 무작정 배척 할 수도 없다. 이미 우리는 세계화로 인해 이만큼 발전했고 더 발전해 나갈 것이다. 여러 나라와의 교역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국민들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 주었다. 하지만 긍정적으로만 생각하기엔 걸리는 부분이 너무 많다. 세계화의 물결 속에 수많은 나무가 죽어갔고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되었다. 오염된 물은 해양생물들을 오염시키고 ‘물부족국가’가 생겼으며 기아를 만들었다.
우리는 세계화에 대해서 좀 더 알아야 한다. 그리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어째서 사람들은 가난해지는지, 소득불평등은 왜 일어나는지, 우리가 더 관심을 가져야할 소외받은 계층은 누구인지.
거대한 흐름 속에 우리는 그저 힘없이 휩쓸려가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세계화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반성과 성찰의 자세로 보다 주체적이고 적극적이게 세계화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버블 세계화, 브루스 그린왈트 외, 세계사, 2009
◎세계화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 현실문화, 2009
◎세계화와 소득 불평등, 이성균 외, 집문당, 2007
◎네이버 지식인, 세계화의 영향에 대해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2&docId=58912603&qb=7IS46rOE7ZmU64qUIOq1reygnOygley5mCDtmLnsnYAg7IS46rOE7KCV7LmY652864qUIOqyg+ydhCDqsIDriqXtlZjqsowg7ZWp64uI&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gPGgzz331xVssbplCWNssv--231280&sid=Te4L0Lro7U0AAAWNhRQ
◎네이버 지식인, 세계화에 대해서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2&docId=59997097&qb=7IS46rOE7ZmUIOq4jeyglQ==&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Py7xv331xRssbUZ7eCssv--452189&sid=TeyLrrBt7E0AAC1gEA0
◎코카콜라 [The Coca-Cola Company ]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51889
◎“태권도 세계화, 현실이 됐다” |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5102220415&code=980701
추천자료
눈물의 씨앗, 전족 두 발에 눈물 한 섬
환경위생학 요점정리
한국의 고령화와 노인복지 법제에 관한 고찰
한국의 저출산문제와 현황 그리고 문제점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총정리
인라인에 관한 모든 것(유래, 역사, 요령, 주의점, 장소, 안전수칙, 규칙, 장비, 기초, 타는 법)
위생사 환경위생학 정리
[A+평가 레포트]치매의 현황, 문제점, 사회복지 해결방안
올바른 인용과 표절 피하기 (올바른인용,표절 사례,광고 표절,표절 행위,오마주,패러디,패스...
[라면][라면 유래][라면 제조과정][라면 영양관계][라면 일본 사례][라면 건강하게 먹는 방법...
2013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요약
조직행태론3공통)갈등의 개념, 특징, 갈등 야기의 조건, 갈등해소방법 간략히 설명, 실제 조...
★추천레포트★[인터넷 중독] 인터넷 중독의 원인,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문제점, 청소년 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