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게 전달하며, 자연스럽게 관객을 이야기 속에 빠져들게 한다. 네 번째 장치는 ‘물’ 이라는 상징을 잘 활용했다는 것. 물은 예부터 탄생과 죽음의 원형적 상징을 가지고 있다. 물은 모든 것을 살리고 키우는 생명이기도 하며 강을 건넜다 는 말은 여러 나라와 종교에서 죽음을 의미한다. 영화 속에서도 물은 삶이자 죽음이다. 영화 속에는 몇 번이고 노부부의 집 앞 개울가와 그 개울 위의 다리가 등징한다. 시장에 갈 때도, 산에 갈 때도 수없이 많은 날들을 건너가고 건너온 다리. 거기서 76년 동안 두 분은 얼마나 많은 추억을 쌓았을까? 하지만, 흘러간 물이 다시 돌아오지 않듯 끊긴 호흡도 다시 오지 않는다. 이제 남편 홀로 건너간, 그래서 다시는 돌아오지 못하는 강. 삶이자 죽음인 <물>이라는 상징을 포함한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라는 제목은 영화를 관통한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오프닝과 엔딩 장면’ 을 같은 장면으로 구성했다는 것. 영화의 시작에는 흑백의 화면에 눈 덮인 무덤과 흐느끼는 할머니의 뒷모습이 나오는데 처음에는 전체가 흑백이다가 점점 채색되며 할머니와 무덤이 서서히 부각되게 연출했다. 처음에 이 장면을 봤을 때는 무 덤덤하게 받아들였지만 영화의 끝 무렵에 똑같은 장면이 나왔을 때는 같은 장면임에도 훨씬 증폭된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영화의 시작에는 눈이오고, 무덤 앞에 할머니가 있네, 정도로 인식했던 장면이 영화의 마지막에는 할머니의 흐느낌이 마음에 진동으로 전해지며 세상도 슬퍼서 온통 은빛으로 상복을 갈라입고 있구나, 하고 인식하게 되었다. 두 분의 사랑과 삶을 엿본 이후이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체험학습(교육)프로그램 사례, 통일학습(교육)프로그램 사례, 활동중심체험학습(교육)프로그...
건축가 조성룡 작가분석 (SOMA 미술관 Seoul Olympic Museum of Art)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영화감상문(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2014)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노부부의 사랑을 그린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영화감상문
[최신A+자료] :님아 그강을 건너지마오영화감상문, 님아 그강을 건너지마오 영화 분석, 영...
[취미와예술 B형] 독립영화 한 편을 감상하신 후 감상문을 써 주십시오(님아 그강을 건너지마오)
[영화감상문]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영화감상평)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