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질문은 오늘날 현대 교회의 가장 적실한 문제이며, 또한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모든 주를 믿는 사람들이 감당해야할 시급한 과제임이 분명하다. 그가 이러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성경 신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성경에 사용된 용례를 연구하여 이를 밝히고자 한 것은 대단히 유익하고 타당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그는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예배의 본질에 대해 정의를 내릴 수 있었으며, 이는 우리에게 또 다른 예배의 개선을 추진할 귀한 자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저자의 연구를 마치며 제시한 몇 가지 질문들은 현대 교회의 예배갱신을 위한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될 것이며, 그의 헌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올바른 예배의 갱신을 위한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서를 통해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현안들을 살펴봄으로써 합당한 예배를 갱신하고 보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예배를 갖고자 한다. 김 상구가 주장한 성경적 예배의 시금석에서 말씀하신 예배와 삶의 분리가 현재 한국교회의 큰 문제라 생각된다. 신앙이 공 예배에 국한 시키므로 삶으로 이어지지 못하므로 삶 따로 신앙 따로 되어져서 본연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셨던 참다운 그리스도인이 되지 못 한데는 교회가 교회되지 못한데서 기인한다고 본다. 교회의 회복은 예배의 회복과 맞물려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자면, 예배와 분리된 ‘교회와 성도의 삶’이 그 근본적인 원인이며, 공예배의 회복과 함께 ‘삶으로 드리는 영적 예배’가 한국교회 회복을 위한 근본 대안 중의 하나라는 것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말씀 우위의 경향을 보인 주일예배가, 한국교회의 전도 지상주의와 성장주의와 맞물리게 된 것은 결코 우연일 수가 없다. 이는 한국교회의 예배가 본질적인 내용에 충실하였던 것이 아니라 성장을 우선하는 교회의 신학을 드러낸 결과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한국교회의 문제는 한국교회 예배의 문제점이며, 교회의 회복은 예배의 회복과 맞물려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다음으로 성찬식의 회복이다. 한국교회 예배의 현실 중에서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말씀 중심의 예배로서 성찬식은 주일예배와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주일예배는 시간상으로 한 시간 남짓의 예배로 드려지고 있다. 그런데 그리스도 중심적 예배는 말씀과 성찬의 예전이 함께 가는 예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교회가 성례의 회복함으로써 그리스도 중심적 예배로 나아가길 소망한다.
저자의 연구를 마치며 제시한 몇 가지 질문들은 현대 교회의 예배갱신을 위한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될 것이며, 그의 헌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올바른 예배의 갱신을 위한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서를 통해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현안들을 살펴봄으로써 합당한 예배를 갱신하고 보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예배를 갖고자 한다. 김 상구가 주장한 성경적 예배의 시금석에서 말씀하신 예배와 삶의 분리가 현재 한국교회의 큰 문제라 생각된다. 신앙이 공 예배에 국한 시키므로 삶으로 이어지지 못하므로 삶 따로 신앙 따로 되어져서 본연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셨던 참다운 그리스도인이 되지 못 한데는 교회가 교회되지 못한데서 기인한다고 본다. 교회의 회복은 예배의 회복과 맞물려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자면, 예배와 분리된 ‘교회와 성도의 삶’이 그 근본적인 원인이며, 공예배의 회복과 함께 ‘삶으로 드리는 영적 예배’가 한국교회 회복을 위한 근본 대안 중의 하나라는 것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말씀 우위의 경향을 보인 주일예배가, 한국교회의 전도 지상주의와 성장주의와 맞물리게 된 것은 결코 우연일 수가 없다. 이는 한국교회의 예배가 본질적인 내용에 충실하였던 것이 아니라 성장을 우선하는 교회의 신학을 드러낸 결과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한국교회의 문제는 한국교회 예배의 문제점이며, 교회의 회복은 예배의 회복과 맞물려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다음으로 성찬식의 회복이다. 한국교회 예배의 현실 중에서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말씀 중심의 예배로서 성찬식은 주일예배와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주일예배는 시간상으로 한 시간 남짓의 예배로 드려지고 있다. 그런데 그리스도 중심적 예배는 말씀과 성찬의 예전이 함께 가는 예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교회가 성례의 회복함으로써 그리스도 중심적 예배로 나아가길 소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