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인격교육 이론과 교육적 적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성주의 인격교육 이론과 교육적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구성주의 인격교육 이론 선정 이유
Ⅱ. 구성주의 인격교육 이론 개관
1. 구성주의의 기본관점
2. 구성주의적 관점의 필요성
3.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이론에 대한 비판
4. 구성주의적 인격교육의 과제
5. 시사점
Ⅲ. 나의 경험사례와 교수학적 변환
☞ 나의 경험사례
☞ 교수학적 변환
☞ 초등학교 교육에서 사례 적용
Ⅳ. 이론의 교육적 적용
Ⅴ. 느낀점

본문내용

할 수도 있다. 아이들이 서로가 서로의 생각을 확장시키면서 사회적 가치를 왜 지켜야 하는지에 대해 스스로 답을 얻고, 그렇게 정당화된 가치는 아이들에게 내재화가 될 것이다. 아이들에게 토의를 하게 하면 다음과 같은 상황을 기대할 수 있다.
A,C,E: 가치가 내재화된 아이들 B,D,F: 내재화되지 못한 아이들
A: 어른의 말은 당연히 잘 들어야해.
B: 왜? 어른의 말을 왜 잘 들어야 하는 거야? 꼭 그래야 하는 필요는 없잖아.
C: 어른은 우리보다 나이가 많으니까 그렇지. 우리보다 나이가 많으니까 삶의 지혜가 더 풍부하시잖아.
D: 삶의 지혜가 더 풍부하시다고 우리가 꼭 그 말을 따라야 하는 건 아니지 않잖아. 왜 삶의 지혜가 풍부한 것을 따라야 하는데?
E: 삶의 지혜가 풍부하신만큼 우리에게 더 좋은 조언을 해주실 수 있기 때문이야.
F: 그렇다면 어른이 해주시는 조언은 다 좋은 조언이라고 할 수 있어? 그렇지만은 않잖아.
...
가치가 내재화된 아이들을 위와 같은 토론 과정을 통해서 끊임없이 인지 갈등을 겪고, 자신의 행위의 정당성을 찾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함께 토론하는 과정에서 내재화된 아이들의 말 속에서 도덕적 가치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고 아이들의 말이 어느 정도 정당성이 확보되었을 때 이를 옳다고 판단해 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다.
- 교과 외 시간에 스스로 평가하게 하기
교사가 이를 과제로 내줄 수도 있다. 교과서는 사회적인 가치를 옳다고 이미 정의내린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사회적 가치를 내재화한 아이들에게는 바람직하게 수용될지 모르나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수용되기 쉽지 않다. 따라서 교과 외 시간에 아이들이 생활 속에서 스스로 자신들이 해야 하는 행위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예를 들어, ‘착한 일기 쓰기’와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다.
자신이 한 일 중에 잘했다고 생각되는 행동을 쓰는 것이다. 그리고 꼭 그 밑에 왜 잘했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 이유를 쓰도록 해야 한다. 그 과정이 빠지면 아무 의미가 없는 활동이 된다. 또는, 친구의 행동을 보고 좋은 활동을 기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가치가 내재화되지 않은 아이들에게 더욱 효율적인 활동이다. 사회적 가치를 잘 따르는 친구의 행동을 관찰하게 하고, 이 친구의 행동이 어느 것이 좋았고 왜 좋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 기록하게 한다. 일종의 모델링을 통해 사회적 가치에 대한 힌트를 주고, 그 행동의 당위성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대할 수 있다.
20**년 *월 *일 *요일 날씨 맑음
할머니께 자리 양보하기
오늘 언니랑 같이 지하철을 탔다. 언니랑 나는 자리가 있어서 자리에 앉을 수 있었다. 얼마 안 지나서 할머니 한 분이 타셨다. 할머니는 몸이 조금 불편해 보이셨다. 하지만, 자리가 하나도 없어서 할머니는 서 계실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나는 할머니께 자리를 양보해 드렸다. 할머니가 고맙다고 하셨다. 나도 기분이 좋았다.
왜 좋은 행동이라고 생각하나요?
할머니는 나보다 몸이 더 약하시고 아프시기 때문입니다. 몸이 약하신 할머니가 지하철에서 서 계시는 것은 더 힘들기 때문에, 제가 자리를 양보해드려서 할머니가 편하게 가실 수 있었으니까 좋은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Ⅴ. 느낀점
구성주의 인격교육을 통해서 내가 고민해오던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참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 특히 위의 경험사례는 교대 생활 내내 마음 한 구석이 불편할 정도로, 그동안 내가 지켜왔던 가치에 대한 회의감이 들 정도로 꽤나 충격적인 사건이었는데, 어느 정도 마음의 짐을 내려놓은 것 같다. 아직은 많이 부족해서 구성주의 이론과 나의 경험을 어떻게 교육에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상하고 틀을 잡는 것이 어려울 뿐이지만, 앞으로 현장에 나가서 아이들을 대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구성주의 인격 교육 뿐만 아니라 다른 이론에 대한 연구도 많이 하고 더 많이 배워서 현장에 나갔을 때 경험사례 속의 나처럼 당황하지 않고 아이들에게 바람직한 도덕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시 한 번 성준이를 만나면 그 때는 좀 더 나은 대답을 해줄 수 있을 텐데, 답이 없는 문제라고만 생각하는 준비되지 못한 선생님이었다는 것이 참 아쉽고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준비되어 있는 선생님이 된다는 것, 특히 도덕적으로 준비되어 있는 선생님이 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 것 같고, 그만큼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1.09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