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자인가 우상숭배자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배자인가 우상숭배자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통하여 아무나 시도할 수 없는 성경전체를 꿰뚫는 놀라운 시각과 구약과 신약의 사건 및 이야기들을 연결시키는 뛰어난 통찰력으로 우상숭배를 정의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그가 계속해서 정의하는 우상숭배는 마치 로버트 웨버가 영성을 정의하였듯이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2) 우상을 통하여 그레고리는 결국 인간 자신의 존재 의미를 바라보게 한다.
또 한 가지 놀라운 것은 그레고리가 우상을 단순히 바라보고 믿는 대상으로만 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우상숭배의 개념을 성경신학적인 관점으로 구약과 신약을 넘나들며 해석함을 통하여 우상의 의미가 결국에는 인간 자신의 존재 의미에 이르고 있음을 꿰뚫어 보고 있다. 즉 그는 우상숭배는 결국 숭배자를 우상을 닮아가게 한다는 주장을 함으로써 그리고 그 우상을 닮아가는 숭배자가 결국 자신을 높인다는 결론에 이름으로써 단순히 우상숭배를 하나님이 아닌 다른 대상이나 사물을 숭배한다는 개념보다 훨씬 더 심리학적이고 신학적인 관점으로 이르고 있다. 이러한 통찰력은 과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예수 시대의 율법주의자들이 가졌던 우상숭배, 즉 전통에 메여서 스스로 교만에 빠지는 과오를 범하는 율법주의자들을 통하여, 사도행전에서 보여준 성전에 대해 가지는 선민사상 등이 그 예이다.
아쉬운 것은 우상숭배에 벗어나는 길에 대하여 현대적인 적용이 부족하다.
그레고리는 우상숭배에 벗어나는 길에 대하여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시는 태초에 하나님의 의도와 섭리에 따라 하나님을 섬기고 본받는 삶을 살았다면? 이라는 생각을 계속 갖게 한다. 그는 물론 그의 저서를 통하여 우상숭배에 대한 의미를 찾고자 하기에 그의 저서의 대부분을 구약과 신약을 통한 우상숭배의 의미를 제시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그가 저서의 마지막에 제시하는 우상숭배에 벗어나는 길과 현대 사회에서 우상숭배의 의미를 찾는 것은 또 한 가지 의문을 갖게 한다.
현대 사회 그리고 오늘날 교회에서 그가 제시한 방법을 근거로 우리가 찾게 되는 우상 숭배를 벗어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한다는 것인가?
필자가 위에서 언급했던 로버트 웨버의 영성에 대한 이해도, 그리고 그레고리의 우상에 대한 이해는 물론 모든 것을 하나님께 맡기고 모든 것을 하나님께 의지하는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이 필수 방법임을 말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예시나 방법 등이 제시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1.09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