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여는 글
Ⅱ. 펴는 글
1. 감리교 주일 예배 형성
2. 웨슬리의 주일 예배 형식
3. 웨슬리의 주일 예배 형식
4. 웨슬리 이후 감리교 주일 예배 형식의 변화
4. 성찬을 행하기 위한 예배순서
Ⅲ. 닫는 글
토의사항
Ⅱ. 펴는 글
1. 감리교 주일 예배 형성
2. 웨슬리의 주일 예배 형식
3. 웨슬리의 주일 예배 형식
4. 웨슬리 이후 감리교 주일 예배 형식의 변화
4. 성찬을 행하기 위한 예배순서
Ⅲ. 닫는 글
토의사항
본문내용
못지 않게 많은 변화를 목격했다. 1932년에 윌버써킬드감독(Bishop Willbur P. Thirkied)과 올리버헉클(Oliver Huckle)은 대형기도 모음집도 편찬하여『공동예배서』를 출판했다. Willbur P.Thirkied and Oliver Huckel, Book of Common Worship(New York: E. P. Dutton, 1932), 132.
그리고 1944년 총회에서 승인된 최초의『예배서』가 1945년에 출판되었으며, 1965년에는 두 번째『예배서』가 승인 받고 출판되었다. James F. White,『개신교예배』, 282-89.
그리고 1968년에 미국 감리교회에 중요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감리교회가 복음주의연합형제교회와 합동하여 연합감리교회가 되었다. 김홍기,미국감리교회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역사적 고찰,「신학과 세계」제 36호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사, 1998), 97.
5가지 기본예배, 말씀, 성찬, 세례, 혼인, 장례의 제 2세대식 개정들은 『우리는 함께 모인다』에 나타났고, 제 3세대식 개정은『예배서』에 그리고 마지막 계정은『연합감리교찬송가』에 나타났다. James F. White,『개신교예배』, 289-90.
또한 제임스 화이트는 최근 몇 십년 사이에 미국 감리교예배에 가장 눈에 띠는 변화는 성구집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보고 있다. 로마카톨릭의 1969년 주일 성구집을 개정한『공동성구집』연합감리교회들 중 절반이 약간 넘게 채용되었고 그로 인해 주석들에 기초한 다양한 성구집의 이용에 도움을 얻어 보다 주석적인 설교로의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작한 것이다. James F. White,『개신교예배』, 290.
4. 성찬을 행하기 위한 예배순서
1) 웨슬리의 주일예배서와 영국국교회 기도서의 비교
성만찬 예배(아침기도예식이 끝난 후)
영국국교회 기도서(BCP) 축소판
주기도문
성결의 기도
십계명 교송(키리에 엘레이손과 함께)
왕을 위한 기도
서신서 낭독
주기도문
성결의 기도
십계명
왕을 위한 기도
날을 위한 기도
복음서 낭독
설교
봉헌(성경구절들을 읽는 사이에)
지상교회를 위한 기도(중보기도)
성찬 참여를 위한 기도
고백 기도
용서를 위한 기도
위로의 말씀
수르숨 코르다(교독)
서문경(절기에 따라 다름)
상투스(삼성송)
성찬상에 나아가기 위한 기도
성별의 기도
성찬 제정사
예찬(재성별기도 - 부족시)
주기도문
봉헌기도(감사)
영광송
즉석 기도 (집례자의 필요에 따라)
축도
사도서신
복음서
니케아 신조
광고
설교 또는 훈계
봉헌(성경구절과 함께)
지상 교회를 위한 기도
권면(3)
- 초청
- 고백
- 용서
위로의 말씀
수르숨 코르다
서문경
상투스
성별기도
성찬 제정사
예찬(재성별기도 - 부족시)
주기도문
봉헌기도
감사기도
영광송
축도
마지막 집도
2) 순서의 특징과 다른 점
① 영국 국교회 기도서에 포함된 본문(성별 기도 전)
목회자가 테이블에 서기전에 빵과 와인을 준비한다. 그는 사람에게 나누어주기 이전에 많은 준비와 단정하게 빵을 자르고 그의 손에 컵을 취하고 그는 성별 기도를 말한다. 그 기도는 다음과 같다.
② 영국 국교회 기도서에 포함된 순서
- 왕을 위한 기도 후 날을 위한 기도가 있다.
- 복음서 다음 니케아 신조가 포함되어 있다.
- 니케아 신조 다음 광고가 포함되어 있다.
- 권면 (3)이 포함되어있다.
(이 세가지는 웨슬리의 주일 예배서에서 성찬 참여를 위한 기도, 고백기도, 용서를 위한 기도와 동일하다.)
- 웨슬리의 주일 예배서와 달리 봉헌기도와 감사기도가 구분되어 있다.
- 웨슬리의 주일 예배서와 달리 축도 후에 마지막 집도가 있다.
Ⅲ. 닫는 글
웨슬리의 예배의 특징이라면 매주 예배에서 설교와 성만찬을 균형 있게 선포하고 집행했다는 것이며 또한 교송을 통해 평신도와 성직자의 참여가 균형 있게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예배에 있어 중요한 것 설교에 있음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현대 교회를 생각해보면 말씀은 있지만 은혜는 많이 상실한 것 같다.
말씀의 홍수의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도 은혜를 누리지 못하고 살아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다 은혜의 수단인 성만찬의 상실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매주일 성만찬을 회복시켰던 웨슬리처럼 한국교회 강단에서도 성만찬의 회복의 있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토의사항
1. 영국국교회 기도서에서 니케아 신조가 쓰이게 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2. 그동안의 예전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재성별 기도가 생긴 이유와 의미는 무엇인가?
그리고 1944년 총회에서 승인된 최초의『예배서』가 1945년에 출판되었으며, 1965년에는 두 번째『예배서』가 승인 받고 출판되었다. James F. White,『개신교예배』, 282-89.
그리고 1968년에 미국 감리교회에 중요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감리교회가 복음주의연합형제교회와 합동하여 연합감리교회가 되었다. 김홍기,미국감리교회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역사적 고찰,「신학과 세계」제 36호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사, 1998), 97.
5가지 기본예배, 말씀, 성찬, 세례, 혼인, 장례의 제 2세대식 개정들은 『우리는 함께 모인다』에 나타났고, 제 3세대식 개정은『예배서』에 그리고 마지막 계정은『연합감리교찬송가』에 나타났다. James F. White,『개신교예배』, 289-90.
또한 제임스 화이트는 최근 몇 십년 사이에 미국 감리교예배에 가장 눈에 띠는 변화는 성구집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보고 있다. 로마카톨릭의 1969년 주일 성구집을 개정한『공동성구집』연합감리교회들 중 절반이 약간 넘게 채용되었고 그로 인해 주석들에 기초한 다양한 성구집의 이용에 도움을 얻어 보다 주석적인 설교로의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작한 것이다. James F. White,『개신교예배』, 290.
4. 성찬을 행하기 위한 예배순서
1) 웨슬리의 주일예배서와 영국국교회 기도서의 비교
성만찬 예배(아침기도예식이 끝난 후)
영국국교회 기도서(BCP) 축소판
주기도문
성결의 기도
십계명 교송(키리에 엘레이손과 함께)
왕을 위한 기도
서신서 낭독
주기도문
성결의 기도
십계명
왕을 위한 기도
날을 위한 기도
복음서 낭독
설교
봉헌(성경구절들을 읽는 사이에)
지상교회를 위한 기도(중보기도)
성찬 참여를 위한 기도
고백 기도
용서를 위한 기도
위로의 말씀
수르숨 코르다(교독)
서문경(절기에 따라 다름)
상투스(삼성송)
성찬상에 나아가기 위한 기도
성별의 기도
성찬 제정사
예찬(재성별기도 - 부족시)
주기도문
봉헌기도(감사)
영광송
즉석 기도 (집례자의 필요에 따라)
축도
사도서신
복음서
니케아 신조
광고
설교 또는 훈계
봉헌(성경구절과 함께)
지상 교회를 위한 기도
권면(3)
- 초청
- 고백
- 용서
위로의 말씀
수르숨 코르다
서문경
상투스
성별기도
성찬 제정사
예찬(재성별기도 - 부족시)
주기도문
봉헌기도
감사기도
영광송
축도
마지막 집도
2) 순서의 특징과 다른 점
① 영국 국교회 기도서에 포함된 본문(성별 기도 전)
목회자가 테이블에 서기전에 빵과 와인을 준비한다. 그는 사람에게 나누어주기 이전에 많은 준비와 단정하게 빵을 자르고 그의 손에 컵을 취하고 그는 성별 기도를 말한다. 그 기도는 다음과 같다.
② 영국 국교회 기도서에 포함된 순서
- 왕을 위한 기도 후 날을 위한 기도가 있다.
- 복음서 다음 니케아 신조가 포함되어 있다.
- 니케아 신조 다음 광고가 포함되어 있다.
- 권면 (3)이 포함되어있다.
(이 세가지는 웨슬리의 주일 예배서에서 성찬 참여를 위한 기도, 고백기도, 용서를 위한 기도와 동일하다.)
- 웨슬리의 주일 예배서와 달리 봉헌기도와 감사기도가 구분되어 있다.
- 웨슬리의 주일 예배서와 달리 축도 후에 마지막 집도가 있다.
Ⅲ. 닫는 글
웨슬리의 예배의 특징이라면 매주 예배에서 설교와 성만찬을 균형 있게 선포하고 집행했다는 것이며 또한 교송을 통해 평신도와 성직자의 참여가 균형 있게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예배에 있어 중요한 것 설교에 있음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현대 교회를 생각해보면 말씀은 있지만 은혜는 많이 상실한 것 같다.
말씀의 홍수의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도 은혜를 누리지 못하고 살아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다 은혜의 수단인 성만찬의 상실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매주일 성만찬을 회복시켰던 웨슬리처럼 한국교회 강단에서도 성만찬의 회복의 있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토의사항
1. 영국국교회 기도서에서 니케아 신조가 쓰이게 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2. 그동안의 예전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재성별 기도가 생긴 이유와 의미는 무엇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