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대화이론에 대하여
2. 19세기 서양의 중국관
3. 조지프 레벤슨과 1950,60년대의 중국 연구
1) '전통의 틀 안에서의 변화'
2) "서양이 침입하기 전의 중국에서 일어난 변화의 성격"
3) "서양의 충격과 중국의 반응"
2. 19세기 서양의 중국관
3. 조지프 레벤슨과 1950,60년대의 중국 연구
1) '전통의 틀 안에서의 변화'
2) "서양이 침입하기 전의 중국에서 일어난 변화의 성격"
3) "서양의 충격과 중국의 반응"
본문내용
치차오의 사상을 동시대의 사상세계 속에서 다루려는 작업은 전혀 시도하려고 하지 않았다. 즉 그가 보기에는 서양의 도래 이후 중국인들의 사상세계의 내재적 전개에 대해서는 이미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즉 당시 지식층이 지적으로 전통의 어떤 측면과 접촉을 계속 갖는다는 사태는 레벤슨에게 이해 불가능한 것이었다. 혹은 량치차오가 \'서양의 충격\'보다 앞선 시기부터 존재하는 중국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도구로서 서양사상을 사용한다는 사태도 레벤슨은 상상할 수 없었던 것이다.
레벤슨은 중국사회 전체의 변화에 있어서 서양에 두 가지 역할을 부여한다. 첫 번째는 변화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인데, 거기서 서양은 중국의 구질서를 뒤엎는 궁극적인 원인으로서의 힘이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관하여 그는 \"중국 전통사회의 붕괴는 서양의 충격의 결과이다\"라고 말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즉 서양의 충격이 중국의 붕괴의 제1원인으로 삼고 서양이 단독으로 그런 붕괴의 계기를 만들었다는 것이 아니다. 근래 수집되고 있는 많은 증거는 서양 침입 이전의 18세기 중국에 이미 커다란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러나 그는 50, 60년대의 다른 대부분의 연구자들과 마찬가지로 19세기부터 이어받은 사유체계의 틀 안에서 모든 것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이다.
중국사회 전체의 변화와 관련하여 레벤슨이 서양에 부여한 두 번째 역할은 중국의 새로운 질서 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즉 모델로서의 작용이다. 레벤슨 자신의 표현을 빌리면, \'서양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 서양에 대항하여 이루어진 혁명\'이 된다. 여기서 중국 혁명에 관한 다른 해석을 허용할 여지는 별로 없다. 예를 들면 중국혁명이 서양과 접촉하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던 \'중국의 토착적인 여러 문제에 대한 반응\'이 있었다. 이들 문제들은 서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것은 아니며 또 서양이 주요한 원인이 되어 발생했던 것도 아니다. 그러나 레벤슨은 그런 해석을 받아들일 여지가 거의 없다. 또한 중국 옛 문화가 중국 근대 변혁에 대한 장애물로 작용하기는커녕 오히려 변혁을 촉진시키고 변혁의 방향을 정하는 것에 대해 레벤슨도 그런 해석을 받아들일 여지가 매우 좁다. 통찰해보면 레벤슨이 서양의 충격이라는 것은 중국에 미친 영향을 과도하게 평가한 경향이 있다. 즉 서양중심적인 편협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레벤슨은 중국사회 전체의 변화에 있어서 서양에 두 가지 역할을 부여한다. 첫 번째는 변화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인데, 거기서 서양은 중국의 구질서를 뒤엎는 궁극적인 원인으로서의 힘이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관하여 그는 \"중국 전통사회의 붕괴는 서양의 충격의 결과이다\"라고 말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즉 서양의 충격이 중국의 붕괴의 제1원인으로 삼고 서양이 단독으로 그런 붕괴의 계기를 만들었다는 것이 아니다. 근래 수집되고 있는 많은 증거는 서양 침입 이전의 18세기 중국에 이미 커다란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러나 그는 50, 60년대의 다른 대부분의 연구자들과 마찬가지로 19세기부터 이어받은 사유체계의 틀 안에서 모든 것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이다.
중국사회 전체의 변화와 관련하여 레벤슨이 서양에 부여한 두 번째 역할은 중국의 새로운 질서 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즉 모델로서의 작용이다. 레벤슨 자신의 표현을 빌리면, \'서양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 서양에 대항하여 이루어진 혁명\'이 된다. 여기서 중국 혁명에 관한 다른 해석을 허용할 여지는 별로 없다. 예를 들면 중국혁명이 서양과 접촉하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던 \'중국의 토착적인 여러 문제에 대한 반응\'이 있었다. 이들 문제들은 서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것은 아니며 또 서양이 주요한 원인이 되어 발생했던 것도 아니다. 그러나 레벤슨은 그런 해석을 받아들일 여지가 거의 없다. 또한 중국 옛 문화가 중국 근대 변혁에 대한 장애물로 작용하기는커녕 오히려 변혁을 촉진시키고 변혁의 방향을 정하는 것에 대해 레벤슨도 그런 해석을 받아들일 여지가 매우 좁다. 통찰해보면 레벤슨이 서양의 충격이라는 것은 중국에 미친 영향을 과도하게 평가한 경향이 있다. 즉 서양중심적인 편협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