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역사적 배경
Ⅱ.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성격
Ⅱ-1. 근대 ‘천황제’ 이데올로기
Ⅱ-2.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2재 장정
Ⅱ-3.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성격
Ⅲ. 근대 천황제 국가의 종교정책
Ⅲ-1. ‘신도국교화정책(神道國教化政策)’과 기독교 금교령 유지
Ⅲ-2. ‘신사비종교론’과 ‘초종교로서의 국가신도론’
Ⅲ-3. 신기제도
Ⅳ. 일본 제국헌법(日本帝国憲法)
Ⅳ-1. 제국헌법
Ⅳ-2. 제국헌법 제28조
Ⅴ. 나가며
Ⅵ. 참고문헌
단행본
Ⅱ.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성격
Ⅱ-1. 근대 ‘천황제’ 이데올로기
Ⅱ-2.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2재 장정
Ⅱ-3.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성격
Ⅲ. 근대 천황제 국가의 종교정책
Ⅲ-1. ‘신도국교화정책(神道國教化政策)’과 기독교 금교령 유지
Ⅲ-2. ‘신사비종교론’과 ‘초종교로서의 국가신도론’
Ⅲ-3. 신기제도
Ⅳ. 일본 제국헌법(日本帝国憲法)
Ⅳ-1. 제국헌법
Ⅳ-2. 제국헌법 제28조
Ⅴ. 나가며
Ⅵ. 참고문헌
단행본
본문내용
하라 마코토 지음 서정민 옮김, 『전시 하 일본 기독교사』(서울: 한들출판사, 2009), p.31.
와 국가신도를 구별하여 교파신도가 종교적인 것에 대해 국가신도는 시민도덕이나 애국심라고 선언했다. 패전 후 국가신도는 파괴되었고 천황의 신적지위도 부정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지금도 여전히 부분적으로 이러한 모습을 보이는 일본은 완전히 천황을 신성시하는 분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일본의 ‘교회와 국가’와 유럽의 ‘교회와 국가’를 비교할 때, 유럽에서는 기독교 사회 안에서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신앙의 자유를 얻게 되었지만 일본의 교회는 신앙투쟁의 체험이 없는 상태로 다만 헌법으로 신교의 자유가 보장되고 있다는 사실이 분명한 대조를 이룬다.
Ⅵ. 참고문헌
단행본
土肥昭夫, 『日本プロテスタントキリスト史』, 東京: 新出版社, 2004.
土肥昭夫, 田中人, 『近代天皇制とキリスト』, 京都: 人文書院. 1996.
隅谷 三喜男『近代日本の形成とキリスト』, 東京: 新出版社, 1961.
五野井隆史. 『日本キリスト史』. 東京: 吉川弘文館. 1990.
南原繁『家と宗』, 東京:岩波書店, 1969.
末木文美士.『日本宗史』. 東京: 岩波書店, 2006.
ジョン M Lヤング, 川崎 豊 . 『宣師がた天皇制とキリスト』. 東京: 燦葉出版社, 2005.
菊地 久. 『天皇陛下とマッカサ』. 東京: 山手書房, 1985.
富坂キリストセンタ編. 『15年期の天皇制とキリスト』. 東京: 新出版社, 2007.
서정민. 『한일기독교관계사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윤혜원. 『일본 기독교의 역사적 성격』.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앤두루 고든 지음, 김우영 옮김. 『현대일본의 역사』. 서울: 이산, 2005.
하라 마코토 지음 서정민 옮김. 『전시 하 일본 기독교사』. 서울: 한들출판사, 2009.
도히 아키오 지음 서정민 옮김.『일본기독교의 사론적 이해』. 서울: 한국 기독교 역사연구소, 1993.
윤혜원. 『일본 기독교의 역사적 성격』.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논문
서정민. “중일 태평양 전쟁과 기독교”. 『한국기독교와 역사』, 제21호(2004.9)
서정민. “일제 말 한국기독교 수난의 종교간 갈등 측면” . 『한국기독교와 역사』, 2001.
朴晋雨. “明治初期의 天皇制이데올로기와 基督”『일본사학회』. 제16호 (2002). 123-140.
김승태. “일제하 「천황제」이데올로기와 기독교 학교”『한국기독교역사학회』(1991). 35-45.
구라타 마사히꼬. “日帝下 韓國 基督와 日本 天皇制와의 葛藤關係에 對한 歷史的 考察”『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제30호 (1990). 4-22.
양현혜. “근대 일본의 천황제 국가 체제와 기독교”『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제9호(1998). 305-330.
문철수. “교육칙어 와 수신교육”. 「일본학보」제74호, 2권, 2008.
사이트
大日本帝憲法: http://www.houko.com/00/01/M22/000.HTM
育勅語: http://kan-chan.stbbs.net/docs/chokugo.html
와 국가신도를 구별하여 교파신도가 종교적인 것에 대해 국가신도는 시민도덕이나 애국심라고 선언했다. 패전 후 국가신도는 파괴되었고 천황의 신적지위도 부정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지금도 여전히 부분적으로 이러한 모습을 보이는 일본은 완전히 천황을 신성시하는 분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일본의 ‘교회와 국가’와 유럽의 ‘교회와 국가’를 비교할 때, 유럽에서는 기독교 사회 안에서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신앙의 자유를 얻게 되었지만 일본의 교회는 신앙투쟁의 체험이 없는 상태로 다만 헌법으로 신교의 자유가 보장되고 있다는 사실이 분명한 대조를 이룬다.
Ⅵ. 참고문헌
단행본
土肥昭夫, 『日本プロテスタントキリスト史』, 東京: 新出版社, 2004.
土肥昭夫, 田中人, 『近代天皇制とキリスト』, 京都: 人文書院. 1996.
隅谷 三喜男『近代日本の形成とキリスト』, 東京: 新出版社, 1961.
五野井隆史. 『日本キリスト史』. 東京: 吉川弘文館. 1990.
南原繁『家と宗』, 東京:岩波書店, 1969.
末木文美士.『日本宗史』. 東京: 岩波書店, 2006.
ジョン M Lヤング, 川崎 豊 . 『宣師がた天皇制とキリスト』. 東京: 燦葉出版社, 2005.
菊地 久. 『天皇陛下とマッカサ』. 東京: 山手書房, 1985.
富坂キリストセンタ編. 『15年期の天皇制とキリスト』. 東京: 新出版社, 2007.
서정민. 『한일기독교관계사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윤혜원. 『일본 기독교의 역사적 성격』.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앤두루 고든 지음, 김우영 옮김. 『현대일본의 역사』. 서울: 이산, 2005.
하라 마코토 지음 서정민 옮김. 『전시 하 일본 기독교사』. 서울: 한들출판사, 2009.
도히 아키오 지음 서정민 옮김.『일본기독교의 사론적 이해』. 서울: 한국 기독교 역사연구소, 1993.
윤혜원. 『일본 기독교의 역사적 성격』.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논문
서정민. “중일 태평양 전쟁과 기독교”. 『한국기독교와 역사』, 제21호(2004.9)
서정민. “일제 말 한국기독교 수난의 종교간 갈등 측면” . 『한국기독교와 역사』, 2001.
朴晋雨. “明治初期의 天皇制이데올로기와 基督”『일본사학회』. 제16호 (2002). 123-140.
김승태. “일제하 「천황제」이데올로기와 기독교 학교”『한국기독교역사학회』(1991). 35-45.
구라타 마사히꼬. “日帝下 韓國 基督와 日本 天皇制와의 葛藤關係에 對한 歷史的 考察”『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제30호 (1990). 4-22.
양현혜. “근대 일본의 천황제 국가 체제와 기독교”『한국기독교역사학회』. 제9호(1998). 305-330.
문철수. “교육칙어 와 수신교육”. 「일본학보」제74호, 2권, 2008.
사이트
大日本帝憲法: http://www.houko.com/00/01/M22/000.HTM
育勅語: http://kan-chan.stbbs.net/docs/chokugo.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