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사 삼손(Samson Agonistes)』 ; 성(性)과 폭력성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사 삼손(Samson Agonistes)』 ; 성(性)과 폭력성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죽음의 폭력성은 동전의 양면성을 띄기도 한다.
오랜 가문의 혈통이나 행운에 의해
높게 오른 사람들을
우리는 존경하지 않지만,
미덕이 함께 할 때 이 세상을
정복할 수 있는 힘을 가졌던 당신에게
우리 모두는 최고의 찬사를 보냈다.’(170-175)
극 중에서 코러스는 삼손에게 필요한 것은 ‘미덕(virtue)’이라고 말하면서 삼손이 지혜를 가지고 있었다면 단순한 폭력보다는 더 큰 일을 이루었을 것이라고 말하며 삼손의 여러 업적들이 단지 효과 없는 폭력으로 끝났다고 아쉬워하고 있다. 또한 다니엘이 말 하듯 삼손이나 마노아 역시 폭력이 결과들이 업적이나 임무완수이므로 그것들이 초래하는 고통에는 무관심하며 자신은 그 폭력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삼손과 많은 사람들은 희생자가 되었으며 삼손의 폭력에 영향을 받지 않은 자는 없다.(황원숙, 471-476) 삼손은 폭력과 피를 보여주는 것 말고는 신의 뜻을 다르게 표현하여 해결할 방법은 과연 없었을 것인가. 삼손이 신의 의지든 자기의지든 코러스에서 말하는 미덕이 있었더라면, 현명한 선택을 했더라면 삼손 자신에 대한 비극과 폭력적인 결말은 없었을 것이다.
『투사 삼손』에서의 엔딩은 양면성을 가지지만 폭력을 선택했을 때 오는 영향과 책임에 대해 다시 한번 주위를 둘러볼 필요가 있다.
4
삼손에게 붙는 수식어는 여성혐오주의자, 영웅, 테러리스트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렇듯 『투사 삼손』은 어떤 점을 중심으로 보느냐에 따라 개개인이 느끼는 바의 차이가 클 것이다. 삼손에 대해 그가 진정으로 여성혐오주의자로 데릴라와 같은 ‘나약한 여성’을 경멸했는지 죽음과 삶의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그 자신이 신의 뜻을 받아 선택한 것인지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죽음을 선택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투사 삼손』을 동전의 앞면만을 봐야할 것이 아니라 뒷면도 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투사 삼손』이 논란의 여지가 많다고 해서 이 작품을 관속에만 넣어둔다는 것은 옳지 않을 것이다. 모든 것에 양면이 있듯이 우리는 객관적으로 『투사 삼손』을 접해야 할 것이다.
『투사 삼손』을 집필할 당시 밀턴이 어떠한 의도로 이 글을 썼는지 삼손은 어떠한 선택으로 데릴라를 증오하고 폭력적인 죽음에 까지 이르렀는지 여전히 밀턴은 삼손과 같이 우리에게 수수께끼를 던지고 바람처럼 사라진다.
인용문헌
Milton, John. The Complete Poetry And Essential Prose Of John Milton. Ed. by William Kerrigan, John Rumrich, and Stephen M. Fallon
존 밀턴작 이철호 옮김. 『극시 투사 삼손』. 도서출판동인, 2003.
최재헌. 투사 삼손에 나타난 성별 문제. 『밀턴연구』 제5집, 1995.
서영윤. 밀턴의 『투사 삼손』 읽기 : 구원인가, 복수의 완성인가?. 『밀턴과근세영문학』 제23집 2호, 2013.
황원숙. 『투사 삼손』 : 폭력, 죽음, 살아남은 자들의 선택. 『밀턴과근세영문학』 제14집 2호, 2004.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1.12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