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와 설교 (설교의 신학적 의미) - 설교의 신학적 기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배와 설교 (설교의 신학적 의미) - 설교의 신학적 기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예배와 설교
- 설교의 신학적 기초 -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A. 설교의 정의
1. 어원적 정의

B. 설교의 역사
1. 구약시대의 설교
2. 세례요한의 설교
3. 예수그리스도의 설교
4. 사도들의 설교
5. 바울의 설교

C. 성경의 프리즘으로 바라본 현대의 설교
1. 자의적인 제목 중심적 설교
2. 율법적인 교리의 강조

D. 설교의 목적
1. 지친 신자들을 격려하고 위로하는것
2. 설교는 성도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까지 자라게 하며 주의 몸된 교회를 세우는 것
3. 죄인에게 소망을 주는 것

Ⅲ 나가는 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까지 이르는 것”(엡 4:13)이라고 하였고, 또한 “너희도 산돌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기쁘게 받으실 신령한 제사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벧전2:5)고 하였다. 위의 책, 43.
따라서 설교는 단순히 말씀을 선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세우려”(골1:28)하여 복음을 전파하고 가르치는 거룩한 행위인 것이다.
3. 죄인에게 소망을 주는 것
성경의 역사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할 때는 소망이 없는 상황으로 심판을 받았다. 그러나 하나님의 언약의 말씀을 믿고 회개할 때는 하나님의 능력의 역사가 나타나 소망이 넘치는 삶이 되었다. 또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때 지위가 견고해지며, 범사가 형통하며, 지혜의 삶을 보장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죄인이 설교를 듣고 자신의 죄악을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와 소망이 넘치는 삶을 살아가도록 하여야 한다. 민장배, 「예배이론과 사역의 실제」 (서울: 세화출판사, 2012), 98.
Ⅲ 나가는 말
“설교자가 설교이다” 라는 말이 있다. 한마디로 설교를 하기에 앞서 가장 기초적인 것은 설교자 자체의 삶이라는 사실이다. 예수님께서는 친히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으로 이 땅에 오셨다는 것은 예수님의 삶 자체가 곧 걸어다니는 말씀이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성경의 프리즘으로 비추어본 현대설교는 예수님과, 초대교회의 사도들의 가르침과는 사뭇 다르다. 현대의 설교는 목회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방편으로, 교회의 부흥을 위한 설교를 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것 같이 보인다. 물론 이러한 설교도 때론 필요하다. 하지만 설교자가 가장 우선적으로 설교를 하기에 앞어서 고려해야 할 것은 올바른 목적의식이다. 예수님의 설교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하나님의 나라 곧 구원에 있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설교자들은 올바른 목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때에 성도들의 삶이 변화되고, 교회는 양들로 가득 채워지게 될 것이다.
Ⅳ 참고문헌
박희천, 「나의 설교론」,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7.
이주영, 「현대 설교학」, 서울: 성광문화사, 1975.
이홍찬, 「개혁주의 설교학」,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07.
정성구, 「한국교회설교사」,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90.
이훈구, 「설교학 총론」, 서울: 양문문고, 1991.
민장배, 「예배이론과 사역의 실제」, 서울: 세화출판사, 2012.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1.14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4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