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말하기 습관 및 생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생들의 말하기 습관 및 생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학급 아이들의 말하기 생태
1. 수업 시간
2. 쉬는 시간
3. 야간자율학습시간
4. 외톨이 학생

Ⅲ. 문제점 및 대안
1. 문제점
2. 대안

Ⅳ. 수업 모형 연구
1. 지식 탐구 학습 모형
2. 역할 수행 학습 모형

Ⅴ.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옆에 있는 짝이나 친구들에게 사용해서 대화를 해보도록 한다. 사후에 일상생활에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정도 잊지 말아야 한다.
2. 역할 수행 학습 모형
두 번째로, 외톨이 학생의 언어생활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역할 수행 학습 모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내 입장이 아닌 상대의 입장에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대의 역할로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해야한다.
단계
주요 활동
상황 설정하기
- 동기 유발
- 학습 문제 확인
- 학습의 필요성 또는 중요성 확인
- 상황 분석 및 설정
준비 및 연습하기
- 역할 분석 및 선정
- 역할 수행 연습
실연하기
- 실연 준비하기
- 실연하기
평가하기
- 평가하기
- 정리하기
‘상황 설정하기’에서는 현재 외톨이 학생이 겪고 있는 상황을 학습 주제로 설정하고 학교 폭력에 관한 동영상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동기를 유발한 후 학습 문제를 확인하고 왜 우리가 학교 폭력에 대해서 알아야 하고 이를 근절해야 하는지에 대해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해주어 학생들에게 확인시켜 준다. 그 다음으로 동영상 속 상황이 어떠한지 아이들의 느낌이나 의견을 듣고 분석해준 후 우리가 행하게 될 학습 상황을 설정하여 제시한다.
‘준비 및 연습하기’에서는 아이들에게 역할을 분담하게 하고 따돌림을 주도하는 학생에게는 피해자 역할을, 외톨이 학생에게는 따돌림을 주도하는 학생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이때 아이들이 오해를 일으킬 수밖에 없었던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설정하여 수행하게 해야 한다. 대사를 주고 아이들이 대사를 연습할 시간을 준다.
‘실연하기’에서는 앞서 분담한 역할을 앞에 나가서 수행하게 한다. 이 때 아이들이 장난스럽게 받아들이지 않고 진지하게 경청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평가하기’에서는 학생들이 수행한 역할극에 대해서 평가한다. 서로의 입장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를 이해하게 되었는지, 내가 그 사람의 입장에서 보니 어떠한 느낌이 들었는지 허심탄회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서로의 입장을 받아들이고 오해를 풀 수 있게 될 것이다.
Ⅴ. 마무리하며
벌써 교생실습이 끝나간다. 언제 다 지나가나 했던 5월은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고 어느새 나는 학교에 출근하고 아이들과 부대끼는 이 생활이 정말로 즐겁고 헤어지기 아쉬울 정도로 정이 들어버렸다. 아이들 하나하나를 보면 다 예쁘다. 그리고 서로에게 오해가 있더라고 다 이유가 있었다. 저마다 사연이 있고, 아이들의 비뚤어진 행동에는 숨겨진 이유가 존재했다. 그리고 1학년 5반 아이들과 부대끼면서 남학생들의 마음이나 여학생들의 마음이나 다 관심을 필요로 하고 사랑받고 싶어 하고, 애정 표현을 필요로 함을 깨달았다. 아이들을 관찰하면서 나는 그들에게 배운 것이 어마어마하게 많다. 다 고마운 아이들이다. 헤어지는 것이 믿기질 않을 정도로 섭섭하다. 언젠가는 다시 이곳으로 돌아와 아이들과 다시 부대끼며 행복하게 학교생활을 하고 싶다. 나에게 행복한 기억을 안겨 준 ㅇㅇ고등학교 1학년 5반을 영원히 잊지 못할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1.14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