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난 키우기
2) 거문고 연주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난 키우기
2) 거문고 연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턱이 있을 수는 있다. 서양 악기로는 하프가 다루기 까다로워 난이도의 문턱이 분명 존재한다. 그렇다고 해서 리듬 악기는 천박한 악기라고 할 수 없다. 고상함과 천박함에 대해 주의 깊게 생각해볼 필요가 생기는 것이다.
결론
다양한 취미를 보지는 못했으나 조선시대와 현대사회를 번갈아보며 난 키우기와 거문고 연주라는 취미를 살펴보았다. 본문의 후반부에서 언급했듯이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를 나눌 수 있는 것일까? 모든 문제를 이분법적으로 품위를 기준으로 두었을 때 높은 품위의 취미는 고상한 취미, 낮은 품위의 취미는 천박한 취미로 나누는 것 자체가 한정적인 생각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고상한 취미라고 명명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살폈을 때 그들에게는 계급적인 우위가 필요했다. 아래 계급의 사람들이 시도하지 못하는, 그래서 취미를 하는 행위 자체로도 그들에게 계급이 될 수 있는 취미가 필요한 것이었다. 마치 현대사회의 승마처럼. 일상 생활하는 사람들은 관심도 없는 승마를 그들끼리 집단을 형성하고 우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한 상징적 의미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대는 분명 계급적인 모습이 사라져야함을 모두 느끼고 있다. 재정적으로 많고 적음은 각자의 환경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지만 과연 재정적인 위상이 사람을 짓밟고 사람 위의 사람으로 설 수 있게 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보아야할 것이다. 때문에 고상한 취미라고 할 수 없다. 이후 이어지는 취미는 서론에서 밝힌 대로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취미 항목에 속한다. 전문성이 가지는 지성의 차이는 분명 존재하나 지성이 없다는 것으로 천박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누구나 노력하면 지성을 겸비할 수 있으며 지금 아는 것도 나중에 알게 되는 것에 뒤처질 수 있음을 인정해야한다. 취미에 고상함과 천박함을 나눈 다는 것이 중세시대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계속해서 주었다. 현대 사회는 물론 불편한 정치 이야기를 들을 때 중세시대와 같음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각자의 목소리를 내고 자주적인 모습이기에 고상함과 천박함으로 대변할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문경연 (2011). 식민지 근대와 취미 개념의 형성. 개념과 소통, 7, 35-71.
안나미 (2015). 17세기 초 하훼 취미에 관한 일고찰. 한국고전연구, 31, 85-111.
류속영 (2016). 16세기 성주 사족의 탄금 취미와 청금 취미. 한국학논집, 65, 107-145.
결론
다양한 취미를 보지는 못했으나 조선시대와 현대사회를 번갈아보며 난 키우기와 거문고 연주라는 취미를 살펴보았다. 본문의 후반부에서 언급했듯이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를 나눌 수 있는 것일까? 모든 문제를 이분법적으로 품위를 기준으로 두었을 때 높은 품위의 취미는 고상한 취미, 낮은 품위의 취미는 천박한 취미로 나누는 것 자체가 한정적인 생각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고상한 취미라고 명명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살폈을 때 그들에게는 계급적인 우위가 필요했다. 아래 계급의 사람들이 시도하지 못하는, 그래서 취미를 하는 행위 자체로도 그들에게 계급이 될 수 있는 취미가 필요한 것이었다. 마치 현대사회의 승마처럼. 일상 생활하는 사람들은 관심도 없는 승마를 그들끼리 집단을 형성하고 우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한 상징적 의미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대는 분명 계급적인 모습이 사라져야함을 모두 느끼고 있다. 재정적으로 많고 적음은 각자의 환경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지만 과연 재정적인 위상이 사람을 짓밟고 사람 위의 사람으로 설 수 있게 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보아야할 것이다. 때문에 고상한 취미라고 할 수 없다. 이후 이어지는 취미는 서론에서 밝힌 대로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취미 항목에 속한다. 전문성이 가지는 지성의 차이는 분명 존재하나 지성이 없다는 것으로 천박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누구나 노력하면 지성을 겸비할 수 있으며 지금 아는 것도 나중에 알게 되는 것에 뒤처질 수 있음을 인정해야한다. 취미에 고상함과 천박함을 나눈 다는 것이 중세시대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계속해서 주었다. 현대 사회는 물론 불편한 정치 이야기를 들을 때 중세시대와 같음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각자의 목소리를 내고 자주적인 모습이기에 고상함과 천박함으로 대변할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문경연 (2011). 식민지 근대와 취미 개념의 형성. 개념과 소통, 7, 35-71.
안나미 (2015). 17세기 초 하훼 취미에 관한 일고찰. 한국고전연구, 31, 85-111.
류속영 (2016). 16세기 성주 사족의 탄금 취미와 청금 취미. 한국학논집, 65, 107-145.
추천자료
2018 취미와예술A형]교재의 1장 취미의 역사 4절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 19세기의 피아노...
취미와 예술2)교재의 1장 “취미의 역사”의 4절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11-13쪽)에 보면...
(취미와 예술 A형) 교재의 1장 취미의 역사의 4절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11-13쪽)에 보...
2018년 2학기 취미와예술 중간시험과제물 A형(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
취미와 예술 a)교재의 1장 “취미의 역사”의 4절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11-13쪽)에 보...
취미와 예술 A형)교재의 1장 “취미의 역사”의 4절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11-13쪽)에 ...
취미와예술 a형)교재의 1장 “취미의 역사”의 4절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11-13쪽)에 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