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발달이론] 진로선택이론과 진로발달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진로발달이론] 진로선택이론과 진로발달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진로발달이론

I. 진로선택이론
1. 특성/요인이론
2. 욕구이론
1) 자녀에 대한 감정적 집중
2) 자녀 회피
3) 자녀 수용
3. 인성이론
1) 실제적(R)
2) 탐구적(I)
3) 예술적(A)
4) 사회적(S)
5) 설득적(E)
6) 관습적(C)
4. 사회학습이론

II. 진로발달이론
1. Ginzberg의 진로발달이론
1) 환상기(6~10세)
2) 잠정기(11~17세)
3) 현실기(18~22세)
2. Super의 발달이론
1) 성장기(0~14세)
2) 탐색기(15~34세)
3) 확립기(25~44세)
4) 유지기(45~64세)
5) 은퇴기(65세 이후)
3. 의사결정이론
1) 예상기
2) 실천기
4. 직업포부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는 일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인식 또는 생각을 말한다. 직업 자아정체감은 의사결정을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성숙해질 수 있다. 의사결정은 개인이 어떤 문제에 직면하여 의사결정의 필요성을 느낄 때가 되어야 비로소 시작된다(김영봉 외, 2011). 이러한 의사결정 이론은 잠정 적인 결정을 내 리는 단계인 예상기와 잠정 적 결정을 실천에 옮기는 실천기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1) 예상기(Anticipation period)
첫째, 탐색기(exploration period)이다. 자신이 저항할 수 있는 목적들을 전부 고려해 보고 각 대안의 목적을 자신이 과연 밀고 나갈 만한 능력과 여건을 갖추고 있는지 자신을 예비 평가해 본다.
둘째, 구체화기(crystalization period)이다. 자기가 나아갈 수 있는 여러 개의 방향 및 각 방향을 취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충분히 고려하고 또한 자기의 가치관이나 목적 및 실용성에 비추어 적합한 어느 하나를 밀고 나갈 준비를 한다.
넷째, 선택기(choice period)이다. 구체화 과정에 뒤이어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즉, 이 단계에서 행해지는 선택의 적절성 유무는 선택에 이르는 구체화 과정의 적합성 여부에 의해 좌우된다.
넷째, 명료화기(clarification period)이다. 의사결정에 대한 강한 확신을 하는 단계로서 선택을 더욱 신중히 분석 검토해 보고 미흡한 점이나 의심스러운 사항이 있을 때는 이를 명확히 하는 작업을 한다.
2) 실천기(Implementation period)
첫째, 적응기(induction period)이다. 새로운 상황, 예를 들면 학교나 직장에 들어가서 인정과 승인을받기 위한노력을 개시한다. 그래서 새로운 집단이나 조직의 요구 또는 풍토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일면을 수정하거나 아예 버리기도 한다.
둘째, 개혁 기(reformation period)이다. 수용적 이던 이 전 단계에서와 달리 자신의 역할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이 기 시작한다. 일단 새 집단 내에서 인정을 받게 되면 주위 동료나 다른 사람들이 자기와 관점을 같이 할 것이라고 믿고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행사하려 한다.
첫째, 통합기(intergration period)이다. 이 단계에 접어들면 집단의 요구와 개인의 요구 간에 균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개인은 집단에 소속된 일원으로서 자신에 대한 새로운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일종의 역동적 평형상태다.
(4) 직업포부이론
Gottfredson(1981)은 Super와 마찬가지로 발달적 단계를 다루면서 사람이 어떻게 특정의 직업에 매력을 느끼게 되는가에 살펴보았다. 개인의 직업포부는 진로자아개념과 직업에 따라 직업에 대한 이 미지를 비교하고 그 일치성 정도를 결정하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자아와 일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규준을 습득하고 직업에 대한 선호도도 분화된다. 따라서 직업포부이론에서는 직업과 관련된 개인의 발달을 아래와 같이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 힘과 크기 지향성 혹은 서열 획득단계(orientation to size and power, 3-5세)이다.
이 시기는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인 감각운동기와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자기중심적인 사고, 크기와 힘의 지향, 직관적 사고, 신체적 크기에 의해 자신과 성인을 구분하고, '좋다-나쁘다'의 이분법적 사고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사고과정이 구체화되며, 어른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알게 된다.
둘째, 성 역할 지향 및 획득단계(orientation to sex role, 6-8세)이다.
인지적 특성은 사물이나 사태를 이분법적으로 지각하고 모든 것을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 시기는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인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직업을 여성적 직업과 남성적 직업으로 이분화하며, 직업에 대한 성역할 유형화가 이루어져 자신의 성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즉, 자아개념이 성(gender)의 발달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셋째, 사회적 가치 획득단계(orientation to social valuation, 9-13세)이다.
타인의 사회적 평가에 민감해지고 사회적 계층 및 능력과 같은 보다 추상적인 자아개념이 사회적 행동과 기대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된다. 낮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직업은 직업선호 목록에서 제외시킨다. 사회계층의 차이, 개인의 능력 차이, 직업에 대한 사회적 지위나 명성의 차이를 인식하고, 자신의 사회 경제적 수준에 알맞은 직업을 선호하며, 직업에는 보상적인 측면과 필요한 교육수준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한다. 즉, 사회계층에 대한 개념 이 생기면서 자아를 인식하게 되고, 일의 수준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킨다.
넷째, 내적 고유한 자아 획득단계(orientation of the internal, unique self, 14세경)이다.
내성적인 사고를 통하여 자아개념을 확립하면서 남들과 차별화되는 자신의 독특성에 관심을 가진다. 자신의 흥미, 능력, 가치 등의 내적이고 고유한 자신의 특성들을 보다 중요한 규준으로 삼아 자신의 직업선택 범위를 축소시켜 나간다.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인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동료집단의 평가와 일반적인 사회의 기대나 가치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자신의 내적 외적 요인을 고려한 직업대안을 선택하고, 직업포부를 현실화 구체화시킨다. 즉, 자아개념과 사회계층의 맥락에서 직업포부가 더욱 발달하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1.23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8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