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장단점
2. 형성평가 도구를 제작할 때 유의해야 할 점
3. 비행발생원인
4. 목표기반시나리오
5. 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차이
6.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을 학교 교육에 적용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
7. 실존주의 교육의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
8. 메를로-퐁티의 교육론
9. 오슈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10. 브루너의 발견학습, 오슈벨의 유의미학습, 기계적 암기학습의 차이
11. 교육목표
12.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
13. 교육목표의 진술
14. 순환학습
15. 로슨의 순환학습모형
16. 하슈웨의 인지갈등모형
17. 발생학습모형
18. 드라이버의 대체적 개념틀
2. 형성평가 도구를 제작할 때 유의해야 할 점
3. 비행발생원인
4. 목표기반시나리오
5. 교수목표와 수행목표의 차이
6.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을 학교 교육에 적용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
7. 실존주의 교육의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
8. 메를로-퐁티의 교육론
9. 오슈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10. 브루너의 발견학습, 오슈벨의 유의미학습, 기계적 암기학습의 차이
11. 교육목표
12.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
13. 교육목표의 진술
14. 순환학습
15. 로슨의 순환학습모형
16. 하슈웨의 인지갈등모형
17. 발생학습모형
18. 드라이버의 대체적 개념틀
본문내용
갖도록 유발한다. 보통, 순환학습은 중상위권 학생보다는 하위권 학생이나 구체적 조작기의 학생들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15. 로슨의 순환학습모형
로슨의 순환학습모형은 일반적인 순환학습모형과 마찬가지로 탐색, 개념도입, 개념적용의 세 단계로 나뉘어서 진행된다. 하지만, 로슨의 순환학습모형은 탐색 단계에서 관찰 및 경험을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는 것인지 혹은 특정한 현상에 대한 원인을 찾는 것인지 혹은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한 활동을 개시하는 것인지에 따라 서술적 순환학습모형, 귀추적 순환학습모형, 가설연역적 순환학습모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서술적 순환학습모형은 탐색단계에서 학생들이 관찰, 경험을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고 서술하는 활동을 한다. 반면, 귀추적 순환학습모형의 탐색단계에서 학생들은 특정한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탐구활동을 진행한다. 그리고 가설연역적 순환학습모형에서 학생들은 문제를 인식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탐색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위 세 가지 순환학습모형이 구분된다.
16. 하슈웨의 인지갈등모형
하슈웨(Hashweh)는 효과적인 개념 변화를 위해 두 종류의 갈등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선입개념과 환경과의 갈등이며 또 다른 하나는 선입개념과 새로 학습하게 될 개념과의 갈등이다. 순환학습이론에서 은 학생의 인지구조를 지칭하는 반면, 하슈웨의 이론에서는 오개념이나 선입개념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여기서, 은 에 의해 쉽게 설명될 수 있는 자연현상이다. 그러나 새로운 현상 는 에 의해 설명될 수 없으므로, 여기서 과 의 갈등이 조성되어 인지갈등이 유발된다. 여기서 과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념 가 도입된다. 그러나 를 자신의 인지구조 속에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와 사이의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설명할 수 없는 가능한 많은 현상을 증거로 제시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포스너에 의하면 학습자의 인지갈등 해소를 위한 조건 4가지를 아래와 같이 기술하고 있다.
ㆍ학생은 기존개념(선입개념)의 한계를 인식해야 한다.
ㆍ새로운 개념은 그럴듯해 보여야 한다.
ㆍ새로운 개념은 학습자가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ㆍ새로운 개념은 유용성을 지녀야 한다.
17. 발생학습모형
Osborn과 Freyberg는 학생의 선입개념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의 과정에서 여러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고 보았다. 먼저, 교사는 가르치는 내용과 관련한 자신의 관점, 과학자의 관점, 학생들의 관점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그들이 학습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내용을 일상적 상황에 도입해야 된다. 또한 학습 내용과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활동에 참가하여 자신의 생각과 학자의 생각을 비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필요한 경우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게 될 것이다. 학생들이 새로이 형성한 개념을 정교화하기 위해 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배운 개념이 학생들의 인지구조 속으로 완전히 정착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원래 생각으로 되돌아간다. 이는 효과적인 개념변화를 위한 이렇게 제시된 점들을 고려하여 Osborn과 Freyberg는 효과적인 개념변화를 위한 발생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발생학습 모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취한다.
ㆍ예비: 이 단계는 발생학습모형의 첫 단계로 교수활동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또한 학생들이 어떤 선입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교사는 진단평가나 수업에 앞서 간단한 발문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선입개념을 확인하는 행위가 이루어진다.
ㆍ초점: 이 단계는 발생학습모형의 두 번째 단계로 문제 또는 상황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지닌 선행개념을 밝혀내는 단계이다.
ㆍ도전: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고 서로 비교하며 교사는 과학적인 개념을 도입한다.
ㆍ적용: 이 단계에서는 학습한 과학 개념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상황에 배운 개념을 적용하는 행위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반성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문제해결능력 또한 신장될 수 있다.
18. 드라이버의 대체적 개념틀
개념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구성주의적 수업모형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이 Driver와 Oldham의 수업모형이다. 영국의 드라이버는 학습을 학습에 의한 의미의 구성으로 정의하였다. 그녀에 의하면, 학습자는 목적의식이 있는 주체로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며, 개인의 지식은 개인이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경험과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드라이버는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학습자가 가진 오개념의 변화를 해소하기 위한 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녀가 개발한 모형이 대체적 개념틀 모형이다. 대체적 개념틀 모형을 통한 수업은 오리엔테이션, 직관적 관념의 표현, 직관적 관념의 재구성, 새로운 관념의 응용, 개념의 변화검토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오리엔테이션 단계에서는 과제를 제시하고 흥미유발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직관적 관념의 표현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사전 생각을 주변 학급 동료들과 대화함으로써 이를 표현한다. 이는 교사가 학생들의 사전 생각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후 직관적 관념의 재구성 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는 의견 교환 및 개념 명료화, 모순된 상황에의 노출, 새로운 관념의 재구성, 평가의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의견 교환 및 개념 명료화 단계에서는 배워야 할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교환이 이루어지고 이를 발표하는 행위가 이루어진다. 교사는 다음 단계인 모순된 상황에의 노출단계에서 학생들의 생각과 대립되는 현상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인지갈등을 유발한다. 이후 교사는 과학적 개념을 제시해주고 학생들은 이렇게 배운 과학적 개념을 이해한 후 재구성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평가가 이루어지며 그 이후에는 새로 배운 개념을 응용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학생은 자신이 가졌던 초기 개념과 비교해봄으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던 개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검토하는 시간을 갖는다.
15. 로슨의 순환학습모형
로슨의 순환학습모형은 일반적인 순환학습모형과 마찬가지로 탐색, 개념도입, 개념적용의 세 단계로 나뉘어서 진행된다. 하지만, 로슨의 순환학습모형은 탐색 단계에서 관찰 및 경험을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는 것인지 혹은 특정한 현상에 대한 원인을 찾는 것인지 혹은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한 활동을 개시하는 것인지에 따라 서술적 순환학습모형, 귀추적 순환학습모형, 가설연역적 순환학습모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서술적 순환학습모형은 탐색단계에서 학생들이 관찰, 경험을 통해 규칙성을 발견하고 서술하는 활동을 한다. 반면, 귀추적 순환학습모형의 탐색단계에서 학생들은 특정한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탐구활동을 진행한다. 그리고 가설연역적 순환학습모형에서 학생들은 문제를 인식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탐색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위 세 가지 순환학습모형이 구분된다.
16. 하슈웨의 인지갈등모형
하슈웨(Hashweh)는 효과적인 개념 변화를 위해 두 종류의 갈등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선입개념과 환경과의 갈등이며 또 다른 하나는 선입개념과 새로 학습하게 될 개념과의 갈등이다. 순환학습이론에서 은 학생의 인지구조를 지칭하는 반면, 하슈웨의 이론에서는 오개념이나 선입개념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여기서, 은 에 의해 쉽게 설명될 수 있는 자연현상이다. 그러나 새로운 현상 는 에 의해 설명될 수 없으므로, 여기서 과 의 갈등이 조성되어 인지갈등이 유발된다. 여기서 과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념 가 도입된다. 그러나 를 자신의 인지구조 속에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와 사이의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설명할 수 없는 가능한 많은 현상을 증거로 제시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포스너에 의하면 학습자의 인지갈등 해소를 위한 조건 4가지를 아래와 같이 기술하고 있다.
ㆍ학생은 기존개념(선입개념)의 한계를 인식해야 한다.
ㆍ새로운 개념은 그럴듯해 보여야 한다.
ㆍ새로운 개념은 학습자가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ㆍ새로운 개념은 유용성을 지녀야 한다.
17. 발생학습모형
Osborn과 Freyberg는 학생의 선입개념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의 과정에서 여러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고 보았다. 먼저, 교사는 가르치는 내용과 관련한 자신의 관점, 과학자의 관점, 학생들의 관점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그들이 학습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내용을 일상적 상황에 도입해야 된다. 또한 학습 내용과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활동에 참가하여 자신의 생각과 학자의 생각을 비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필요한 경우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게 될 것이다. 학생들이 새로이 형성한 개념을 정교화하기 위해 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배운 개념이 학생들의 인지구조 속으로 완전히 정착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원래 생각으로 되돌아간다. 이는 효과적인 개념변화를 위한 이렇게 제시된 점들을 고려하여 Osborn과 Freyberg는 효과적인 개념변화를 위한 발생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발생학습 모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취한다.
ㆍ예비: 이 단계는 발생학습모형의 첫 단계로 교수활동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또한 학생들이 어떤 선입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교사는 진단평가나 수업에 앞서 간단한 발문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선입개념을 확인하는 행위가 이루어진다.
ㆍ초점: 이 단계는 발생학습모형의 두 번째 단계로 문제 또는 상황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지닌 선행개념을 밝혀내는 단계이다.
ㆍ도전: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고 서로 비교하며 교사는 과학적인 개념을 도입한다.
ㆍ적용: 이 단계에서는 학습한 과학 개념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상황에 배운 개념을 적용하는 행위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반성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문제해결능력 또한 신장될 수 있다.
18. 드라이버의 대체적 개념틀
개념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구성주의적 수업모형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이 Driver와 Oldham의 수업모형이다. 영국의 드라이버는 학습을 학습에 의한 의미의 구성으로 정의하였다. 그녀에 의하면, 학습자는 목적의식이 있는 주체로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며, 개인의 지식은 개인이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경험과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드라이버는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학습자가 가진 오개념의 변화를 해소하기 위한 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녀가 개발한 모형이 대체적 개념틀 모형이다. 대체적 개념틀 모형을 통한 수업은 오리엔테이션, 직관적 관념의 표현, 직관적 관념의 재구성, 새로운 관념의 응용, 개념의 변화검토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오리엔테이션 단계에서는 과제를 제시하고 흥미유발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직관적 관념의 표현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사전 생각을 주변 학급 동료들과 대화함으로써 이를 표현한다. 이는 교사가 학생들의 사전 생각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후 직관적 관념의 재구성 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는 의견 교환 및 개념 명료화, 모순된 상황에의 노출, 새로운 관념의 재구성, 평가의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의견 교환 및 개념 명료화 단계에서는 배워야 할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교환이 이루어지고 이를 발표하는 행위가 이루어진다. 교사는 다음 단계인 모순된 상황에의 노출단계에서 학생들의 생각과 대립되는 현상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인지갈등을 유발한다. 이후 교사는 과학적 개념을 제시해주고 학생들은 이렇게 배운 과학적 개념을 이해한 후 재구성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평가가 이루어지며 그 이후에는 새로 배운 개념을 응용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학생은 자신이 가졌던 초기 개념과 비교해봄으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던 개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검토하는 시간을 갖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