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오른쪽 사람의 왼손에 올려놓는다. 사회자가 손수건 1개를 준비하여 쉬운 노래(동요)를 지정해 주고 임의의 사람 왼손 위에 올려놓으며 시작한다. 손수건이 노래 끝에 잡는 사람이 벌칙을 받는다.
(예) 송아지, 자전거, 반달 등등
10. 땅-따당
(1) 사회자가 ‘땅’ 하면 모두 ‘따당’ 하고
사회자가 ‘따당’ 하면 모두 ‘땅’ 한다.
(2) 숙달이 되면 개인전으로 하고
(3) 한바퀴 돌면 사회자는 난이도를 높혀서 두 개, 또는 세 개를 연속한다.
사회자 : ‘땅 - 따당’
응 답 : ‘따당- 땅’
11. 가위 바위 보 게임 (파트너게임-2명)
입으로 표현하기
가위 - 혀 내밀기
바위 - 입에 바람 넣어 부풀리기
보 - 입 크게 벌리기
12. 놔 ---------- 집어 (파트너게임-2명)
(1) 파트너끼리 무릎을 대고, 손은 머리위에 하고 앉는다.
(2) 손수건, 지갑, 휴지 등 가벼운 것을 무릎위에 올려놓고
(3) 사회자가 ‘놔 - 놔 - 놔 ----- 집어’
(4) 5 판 3 승 정도로 하고
(5) 실시하기 전에 파트너끼리 가벼운 내기를 걸고 공개한다.
(예) 지금 커피 한잔 타오기, 내일 맥주 한잔사기, 춤추기, 노래하기 등
13. 풍선 터트리기
(1)풍선을 하나씩 나누어 주고 터질 때 까지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는다.
(2) 인원이 많으면 토너먼트로 하고
(3) 우승자에게는 준비한 선물을 준다.
※ 사회자는 풍선을 같은 종류로 여유있게 준비한다.
※ 우승자를 가리기 어려우면 두 팀이 남을 때 까지 하고
사회자가 공중에 올린 풍선을 입으로만 불어서 땅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풍선이 오래 공중에 있으면 승리.
14. 피라미트 쌓기
(1) 준비한 물건을 어느 팀(또는 개인)이 높게(길게) 쌓는가?
(2) 동전, 종이 컵, 블록 등으로 높이 쌓기
(3) 요구르트나 음료수 빨대를 준비하여 어느 팀이 길게 목걸이 만드나?
15. 혼자왔습니다
(1) 참가자 전원이 원으로 둘러앉는다.
(2) 한 사람이 일어나 “혼자 왔습니다”인사하고 앉는다.
(3) 왼쪽으로 돌아가며 옆의 두 사람이 일어나 “둘이 왔습니다”
(4) 왼쪽으로 돌아가 “셌이 왔습니다”
(5) 이 때 같이 일어나는 사람은 반드시 손을 잡고 일어난다.
(6) 자기 차례인데 일어나지 않거나 자기 차례가 아닌데 일어나는 사람들에 게 벌칙을 준다.
(7) 1-2-3-4-5 를 반복하거나 1-2-3-4-5-4-3-2-1 의 순으로 사회자가 크게 말한다.
(예) 송아지, 자전거, 반달 등등
10. 땅-따당
(1) 사회자가 ‘땅’ 하면 모두 ‘따당’ 하고
사회자가 ‘따당’ 하면 모두 ‘땅’ 한다.
(2) 숙달이 되면 개인전으로 하고
(3) 한바퀴 돌면 사회자는 난이도를 높혀서 두 개, 또는 세 개를 연속한다.
사회자 : ‘땅 - 따당’
응 답 : ‘따당- 땅’
11. 가위 바위 보 게임 (파트너게임-2명)
입으로 표현하기
가위 - 혀 내밀기
바위 - 입에 바람 넣어 부풀리기
보 - 입 크게 벌리기
12. 놔 ---------- 집어 (파트너게임-2명)
(1) 파트너끼리 무릎을 대고, 손은 머리위에 하고 앉는다.
(2) 손수건, 지갑, 휴지 등 가벼운 것을 무릎위에 올려놓고
(3) 사회자가 ‘놔 - 놔 - 놔 ----- 집어’
(4) 5 판 3 승 정도로 하고
(5) 실시하기 전에 파트너끼리 가벼운 내기를 걸고 공개한다.
(예) 지금 커피 한잔 타오기, 내일 맥주 한잔사기, 춤추기, 노래하기 등
13. 풍선 터트리기
(1)풍선을 하나씩 나누어 주고 터질 때 까지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는다.
(2) 인원이 많으면 토너먼트로 하고
(3) 우승자에게는 준비한 선물을 준다.
※ 사회자는 풍선을 같은 종류로 여유있게 준비한다.
※ 우승자를 가리기 어려우면 두 팀이 남을 때 까지 하고
사회자가 공중에 올린 풍선을 입으로만 불어서 땅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풍선이 오래 공중에 있으면 승리.
14. 피라미트 쌓기
(1) 준비한 물건을 어느 팀(또는 개인)이 높게(길게) 쌓는가?
(2) 동전, 종이 컵, 블록 등으로 높이 쌓기
(3) 요구르트나 음료수 빨대를 준비하여 어느 팀이 길게 목걸이 만드나?
15. 혼자왔습니다
(1) 참가자 전원이 원으로 둘러앉는다.
(2) 한 사람이 일어나 “혼자 왔습니다”인사하고 앉는다.
(3) 왼쪽으로 돌아가며 옆의 두 사람이 일어나 “둘이 왔습니다”
(4) 왼쪽으로 돌아가 “셌이 왔습니다”
(5) 이 때 같이 일어나는 사람은 반드시 손을 잡고 일어난다.
(6) 자기 차례인데 일어나지 않거나 자기 차례가 아닌데 일어나는 사람들에 게 벌칙을 준다.
(7) 1-2-3-4-5 를 반복하거나 1-2-3-4-5-4-3-2-1 의 순으로 사회자가 크게 말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이혼가정아동을 위한 프로그램
노인 레크레이션에 관하여
[노인요양][노인요양보장][노인요양보장제도][노인보건]노인요양 대상 인구의 구성,특성, 고...
사회복지 전문요원의 업무실태조사
특별활동 봉사활동 의미와 목적, 특별활동 봉사활동 특성, 특별활동 봉사활동 중점내용과 원...
사회복지조사론-방과_후_공부방,방과후아동지도교사
2006년현장실습ppt
[다문화사회복지] 학교 현장 중심의 맞춤형 교육 지원과 다문화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학교의 ...
[사회복지실천론3공통] 5강에서 소개된 사회복지실천 현장 중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자...
교직실무 b 교원의 연수의 유형을 간략히 설명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유치원 직무연수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