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형태지각 - 보이는 그것은 무엇인가?
1. 전경과 배경의 분리
2. 지각집단화
3. 형태 재인 : 그것은 무엇인가?
4. 지각적 선택 : 주의의 역할
5. 대상에 의한 선택 - 무엇이 주의를 끌게 하는가?
6. 중추적 선택
7. 선택적 듣기
II. 깊이지각 - 그 대상은 어디에 있는가?
1. 단안단서
2. 중첩
3. 결의 밀도
4. 상대적 높이
5. 상대적 크기
6. 크기의 친숙성
7. 양안단서 : 눈의 작용
III. 운동지각 - 무엇을 하고 있는가?
1. 실제운동
2. 운동착시
* 참고문헌
1. 전경과 배경의 분리
2. 지각집단화
3. 형태 재인 : 그것은 무엇인가?
4. 지각적 선택 : 주의의 역할
5. 대상에 의한 선택 - 무엇이 주의를 끌게 하는가?
6. 중추적 선택
7. 선택적 듣기
II. 깊이지각 - 그 대상은 어디에 있는가?
1. 단안단서
2. 중첩
3. 결의 밀도
4. 상대적 높이
5. 상대적 크기
6. 크기의 친숙성
7. 양안단서 : 눈의 작용
III. 운동지각 - 무엇을 하고 있는가?
1. 실제운동
2. 운동착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는데, 이런 차이를 계산하여 소리가 나는 위치를 알 수 있다. 눈도 마찬가지이다. 눈이 앞을 향하여 나란히 있기 때문에 같은 물체가 두 눈의 약간 다른 위치에 맺히게 되고, 이 차이를 계산하여 거리감을 느낀다. 이런 차이를 양안부등(binocular disparity)이라고 한다. 양안부등은 간단한 실험으로 알 수 있다. 두 눈을 뜨고 연필을 들어 밀리 있는 어떤 물체와 연필을 일직선상에 놓아라. 그런 다음 오른쪽 눈을 감아보아라. 이번에는 오른쪽 눈을 뜨고 반대로 왼쪽 눈을 감아라. 어떤 일이 벌어졌는가. 한 번은 일직선상에 있던 연필의 모습이 벗어나 보일 것이다. 오른쪽에 맺힌 상과 왼쪽에 맺힌 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차이는 거리를 계산하는 한 요소이다.
또한 한 학생의 눈앞에서 연필을 보라고 하고, 연필을 30cm에서부터 이마 쪽으로 천천히 옮겨 보아라. 눈동자가 어떻게 움직이는가? 물체가 밀리 있을 때에는 두 눈이 평행하다가 가까이 가면 안쪽으로 두 눈동자가 모아질 것이다.
이것을 양안수렴이라고 한다. 이 정보를 통해서 거리감을 측정할 수 있다. 환경이 부여하는 거리단서 그리고 눈의 움직임, 눈에 맺힌 상들이 상호 작용하여 어떤 물체가 어디에 있는지 추론한다. 이 계산의 결과로 거리감 혹은 깊이감을 알 수 있다.
III. 운동지각 - 무엇을 하고 있는가?
운동지각은 중요한 진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개구리는 움직이지 않는 대상을 지각하지 못한다. 움직이지 않는 파리는 개구리에게 의미가 없다. 동물의 운동지각은 생존에 중요하기 때문에 형태지각과 독립적으로 진화된 것처럼 보인다. 다음의 예를 들어보자. 종이를 구겨 앞에 있는 학생의 얼굴을 향하여 던져 보라. 어떤 반응이 나타나는가?(싸움을 거는 것을 감수해야 하지만.) 즉각적으로 고개를 돌려 피할 것이다. 구겨진 종이이기 때문에 맞아도 안전하지만 종이라는 것을 처리하는 것보다 움직이는 대상에 대한 대처가 우선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어떤 물체가 가까이 다가오는데 그 물체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보다 우선 피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는가. 그 물체가 단순히 구겨진 종이일지라도. 초원에서 얼룩말이 풀을 뜯고 있는 풍경을 생각해 보라. 물체의 움직임은 포식자로부터 자기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신호이다. 그래서 무엇보다 움직이는 대상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1. 실제운동
어떤 대상은 움직이고 어떤 대상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이 문제를 어렵게 만드는 것은 우리 눈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데 있다. 사물을 받아들이는 망막이 움직이면 망막에 맺힌 상도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그렇다면 망막에 맺힌 상이 움직이는 것과 사물이 움직이는 것을 얼룩말은 어떻게 구별하는가? 한 가지 단서가 있다. 망막에 맺힌 상이 움직일 때는 주위에 있는 모든 상이 동일한 속도에 따라서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런 것을 유기체는 아주 일찍 학습하는지 모른다. 그리고 이렇게 전체상이 움직이는 것은 일종의 좌표처럼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상 가운데 상대적 속도를 계산하여 운동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가능성은 망막상과 눈동자의 움직임부터 추론될 수 있다. 망막상이 움직이고 있는데, 그 때 눈동자의 근육도 동시에 움직였으면 그것은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유발된 운동이라고 추론한다. 그렇지만 눈동자의 근육이 움직임이 없는데 망막상이 움직이면 그것은 눈동자의 운동에 의하여 유발된 움직임이 아니라 그 상이 움직인 것이다. 이때 우리는 운동을 지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 자극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운동을 지각할 수 있다. 환경에 놓여 있는 자극들은 하나의 자극만 제시되지 않는다. 복잡한 자극들이 서로 엉켜 있다. 이때 움직이는 대상들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 운동을 하고 있다. 빨리 달리는 차는 천천히 걷는 사람을 앞서가고 그 사람은 가로수를 지나간다.
이처럼 움직이지 않는 대상으로부터 상대적 운동은 운동감을 지각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2. 운동착시
운동지각은환경과 내적 기제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다양한 형태의 운동착시를 불러일으킨다. 대표적인 운동착시가 영화이다. 영화는 정지된 상의 연속이다. 그런데 우리는 연속적인 운동으로 지각된다. 정지된 상을 연속된 운동으로 지각하는 것은 우리가 변별할 수 있는 것보다 연속적인 정지된 상이 빨리 제시되기 때문에 정지된 상을 지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 다른 운동착시는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을 보고 있을 때 경험할 수 있다. 떨어지는 폭포의 물을 응시하고 있다가 다른 곳을 바라보면 물이 거꾸로 올라가는 것으로 지각된다.
그림. 운동착시(네 개의 등불을 짧은 시간 순서에 따라 명멸하면 마치 한 개의 전구가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움직임이 없을 때 운동을 경험하기 때문에 이것을 가현운동이라고 한다. 네온사인의 불빛은 사실은 단순하게 순서에 따라 명멸하는 것이지만 우리는 움직이는 것으로 느낀다. 이것을 스트로보스코픽 운동이라고 한다. 스트로보스코픽 운동의 특수한 예가 파이운동이다. 전구를 정사각형으로 4개 배치하고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줬다 켜면 마치 하나의 전구가 원을 그리며 도는 것처럼 보인다. 운동착시의 다른 예는 유도운동이다. 움직이지 않은 물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유도되기 때문이다. 유도운동은 무름에 달 가듯이' 라는 시구가 의미하듯 큰 물체가 움직이고 작은 물체가 정지해 있을 때, 작은 물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것이다. 유도운동지각이 다른 자극간의 상대적 운동에 입각해서 추론된다는 또 다른 증거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또한 한 학생의 눈앞에서 연필을 보라고 하고, 연필을 30cm에서부터 이마 쪽으로 천천히 옮겨 보아라. 눈동자가 어떻게 움직이는가? 물체가 밀리 있을 때에는 두 눈이 평행하다가 가까이 가면 안쪽으로 두 눈동자가 모아질 것이다.
이것을 양안수렴이라고 한다. 이 정보를 통해서 거리감을 측정할 수 있다. 환경이 부여하는 거리단서 그리고 눈의 움직임, 눈에 맺힌 상들이 상호 작용하여 어떤 물체가 어디에 있는지 추론한다. 이 계산의 결과로 거리감 혹은 깊이감을 알 수 있다.
III. 운동지각 - 무엇을 하고 있는가?
운동지각은 중요한 진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개구리는 움직이지 않는 대상을 지각하지 못한다. 움직이지 않는 파리는 개구리에게 의미가 없다. 동물의 운동지각은 생존에 중요하기 때문에 형태지각과 독립적으로 진화된 것처럼 보인다. 다음의 예를 들어보자. 종이를 구겨 앞에 있는 학생의 얼굴을 향하여 던져 보라. 어떤 반응이 나타나는가?(싸움을 거는 것을 감수해야 하지만.) 즉각적으로 고개를 돌려 피할 것이다. 구겨진 종이이기 때문에 맞아도 안전하지만 종이라는 것을 처리하는 것보다 움직이는 대상에 대한 대처가 우선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어떤 물체가 가까이 다가오는데 그 물체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보다 우선 피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는가. 그 물체가 단순히 구겨진 종이일지라도. 초원에서 얼룩말이 풀을 뜯고 있는 풍경을 생각해 보라. 물체의 움직임은 포식자로부터 자기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신호이다. 그래서 무엇보다 움직이는 대상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1. 실제운동
어떤 대상은 움직이고 어떤 대상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이 문제를 어렵게 만드는 것은 우리 눈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데 있다. 사물을 받아들이는 망막이 움직이면 망막에 맺힌 상도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그렇다면 망막에 맺힌 상이 움직이는 것과 사물이 움직이는 것을 얼룩말은 어떻게 구별하는가? 한 가지 단서가 있다. 망막에 맺힌 상이 움직일 때는 주위에 있는 모든 상이 동일한 속도에 따라서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런 것을 유기체는 아주 일찍 학습하는지 모른다. 그리고 이렇게 전체상이 움직이는 것은 일종의 좌표처럼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상 가운데 상대적 속도를 계산하여 운동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가능성은 망막상과 눈동자의 움직임부터 추론될 수 있다. 망막상이 움직이고 있는데, 그 때 눈동자의 근육도 동시에 움직였으면 그것은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유발된 운동이라고 추론한다. 그렇지만 눈동자의 근육이 움직임이 없는데 망막상이 움직이면 그것은 눈동자의 운동에 의하여 유발된 움직임이 아니라 그 상이 움직인 것이다. 이때 우리는 운동을 지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 자극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운동을 지각할 수 있다. 환경에 놓여 있는 자극들은 하나의 자극만 제시되지 않는다. 복잡한 자극들이 서로 엉켜 있다. 이때 움직이는 대상들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 운동을 하고 있다. 빨리 달리는 차는 천천히 걷는 사람을 앞서가고 그 사람은 가로수를 지나간다.
이처럼 움직이지 않는 대상으로부터 상대적 운동은 운동감을 지각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2. 운동착시
운동지각은환경과 내적 기제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다양한 형태의 운동착시를 불러일으킨다. 대표적인 운동착시가 영화이다. 영화는 정지된 상의 연속이다. 그런데 우리는 연속적인 운동으로 지각된다. 정지된 상을 연속된 운동으로 지각하는 것은 우리가 변별할 수 있는 것보다 연속적인 정지된 상이 빨리 제시되기 때문에 정지된 상을 지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 다른 운동착시는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을 보고 있을 때 경험할 수 있다. 떨어지는 폭포의 물을 응시하고 있다가 다른 곳을 바라보면 물이 거꾸로 올라가는 것으로 지각된다.
그림. 운동착시(네 개의 등불을 짧은 시간 순서에 따라 명멸하면 마치 한 개의 전구가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움직임이 없을 때 운동을 경험하기 때문에 이것을 가현운동이라고 한다. 네온사인의 불빛은 사실은 단순하게 순서에 따라 명멸하는 것이지만 우리는 움직이는 것으로 느낀다. 이것을 스트로보스코픽 운동이라고 한다. 스트로보스코픽 운동의 특수한 예가 파이운동이다. 전구를 정사각형으로 4개 배치하고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줬다 켜면 마치 하나의 전구가 원을 그리며 도는 것처럼 보인다. 운동착시의 다른 예는 유도운동이다. 움직이지 않은 물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유도되기 때문이다. 유도운동은 무름에 달 가듯이' 라는 시구가 의미하듯 큰 물체가 움직이고 작은 물체가 정지해 있을 때, 작은 물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되는 것이다. 유도운동지각이 다른 자극간의 상대적 운동에 입각해서 추론된다는 또 다른 증거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