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귀인이론
I. 세 가지 차원
1. 특이성
2. 일관성
3. 합의성
II. 귀인오류
1. 기본적 귀인오류
2. 행위자-관찰자 효과
3. 합의성 정보의 과소사용 오류
4. 자기기반 합의성 오류
5. 방어적 귀인오류
6. 자존적 귀인오류
7. 자기중심적 오류
* 참고문헌
I. 세 가지 차원
1. 특이성
2. 일관성
3. 합의성
II. 귀인오류
1. 기본적 귀인오류
2. 행위자-관찰자 효과
3. 합의성 정보의 과소사용 오류
4. 자기기반 합의성 오류
5. 방어적 귀인오류
6. 자존적 귀인오류
7. 자기중심적 오류
*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특정상황에서 다른 사람들도 자기와 똑같은 방식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에게 "교직원 식당에서 식사하세요."라는 말이 적혀있는 피켓을 30분 동안 교내에서 돌아다닐 수 있겠느냐고 물어 보았다. 어떤 학생은 그렇다고 했고 또 어떤 학생은 못하겠다고 거절했다. 그때 학생들에게 자기와 같은 선택을 할 것 같은 학생들의 비율을 추정토록 요구했다. 그랬더니 피켓을 들고 다닐 수 있다고 했던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의 62%는 승낙할 것이라고 추정한 반면, 거절했던 학생들은 동료 중 67%가 나와 같이 거절할 것이다라고 추정했다. 결국 사람들은 자기와 비슷한 부류의 사람을 찾으며, 자기 자존심을 지키려는 욕구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방어적 귀인오류
만득이가 책상에 부딪혀 학용품을 바닥에 쏟았다고 가정해 보자. 그랬다고 만득이를 지나치게 나무랄 수는 없다. 그러나 만득이가 수 천 만원을 호가하는 고려청자를 깨트렸다고 생각해 보자. 관찰자는 사소한 것이 아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 사건에 대해서 자기 자신보다 행위자에게 더 많은 책임을 전가시키려 한다. 이것이 방어적 귀인오류(defensive attribution error)이다. 그러므로써 불유쾌한 것을 참을 수 있게 되며 자기 자신도 스스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6. 자존적 귀인오류
교수와 조교가 테니스 경기를 해서 교수가 완패했다고 하자. 실제로 조교의 실력이 월등해서 그랬을 수도 있다. 그러나 교수는 "오늘은 운이 없다. 해를 보고 시합을 해서 눈이 부셔 볼을 제대로 볼 수 없었다. 지난주에 배운 백핸드가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하면서 바로 자존적 귀인오류(self-serving attribution error)에 들어간다. 성공은 자기에게 돌리고 실패에 대한 책임은 부정하려는 욕구를 말한다.
7. 자기중심적 오류
세 명의 공동연구자들에게 논문의 공헌도를 물어보았더니 세 명 모두가 자기가 제일 공헌한 사람이라고 이야기한다. 결국 자기중심적 오류(self-centered error)는 서로 협력해서 이루어진 결과물에 대한 공로를 공정하게 배분하지 않고 상대방보다 더 많이 취하려는 태도라고 볼 수 있다. 자존적 귀인오류는 성공의 대가를 취하고 실패의 책임을 피하는 것임에 비해, 자기중심적 오류는 그 결과가 성공이든 아니든지 간에 공동의 결과물에 대한 공로를 상대방보다 더 많이 취하려는 것이다.
* 참고문헌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예를 들면 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에게 "교직원 식당에서 식사하세요."라는 말이 적혀있는 피켓을 30분 동안 교내에서 돌아다닐 수 있겠느냐고 물어 보았다. 어떤 학생은 그렇다고 했고 또 어떤 학생은 못하겠다고 거절했다. 그때 학생들에게 자기와 같은 선택을 할 것 같은 학생들의 비율을 추정토록 요구했다. 그랬더니 피켓을 들고 다닐 수 있다고 했던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의 62%는 승낙할 것이라고 추정한 반면, 거절했던 학생들은 동료 중 67%가 나와 같이 거절할 것이다라고 추정했다. 결국 사람들은 자기와 비슷한 부류의 사람을 찾으며, 자기 자존심을 지키려는 욕구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방어적 귀인오류
만득이가 책상에 부딪혀 학용품을 바닥에 쏟았다고 가정해 보자. 그랬다고 만득이를 지나치게 나무랄 수는 없다. 그러나 만득이가 수 천 만원을 호가하는 고려청자를 깨트렸다고 생각해 보자. 관찰자는 사소한 것이 아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 사건에 대해서 자기 자신보다 행위자에게 더 많은 책임을 전가시키려 한다. 이것이 방어적 귀인오류(defensive attribution error)이다. 그러므로써 불유쾌한 것을 참을 수 있게 되며 자기 자신도 스스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6. 자존적 귀인오류
교수와 조교가 테니스 경기를 해서 교수가 완패했다고 하자. 실제로 조교의 실력이 월등해서 그랬을 수도 있다. 그러나 교수는 "오늘은 운이 없다. 해를 보고 시합을 해서 눈이 부셔 볼을 제대로 볼 수 없었다. 지난주에 배운 백핸드가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하면서 바로 자존적 귀인오류(self-serving attribution error)에 들어간다. 성공은 자기에게 돌리고 실패에 대한 책임은 부정하려는 욕구를 말한다.
7. 자기중심적 오류
세 명의 공동연구자들에게 논문의 공헌도를 물어보았더니 세 명 모두가 자기가 제일 공헌한 사람이라고 이야기한다. 결국 자기중심적 오류(self-centered error)는 서로 협력해서 이루어진 결과물에 대한 공로를 공정하게 배분하지 않고 상대방보다 더 많이 취하려는 태도라고 볼 수 있다. 자존적 귀인오류는 성공의 대가를 취하고 실패의 책임을 피하는 것임에 비해, 자기중심적 오류는 그 결과가 성공이든 아니든지 간에 공동의 결과물에 대한 공로를 상대방보다 더 많이 취하려는 것이다.
* 참고문헌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