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정, 개입, 방법, 평가, 자원연결을 기록하여 서비스 신청이 있을 때 전산망에 접속하여 대상자가 신규 수혜자인지 아니면 기존 수혜자인지를 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 수혜자인 경우 지금까지의 서비스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전산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실무자를 관리하여 대상자에 대한 비밀보장을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면 서비스의 중복이나 자원의 낭비, 대상자의 누락, 서비스의 질 관리 등이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체계구축은 기존의 센터가 아닌 아직 정교한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 시작하는 서비스 센터가 증가하는 지역에서 무난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에서의 재가복지서비스의 통일뿐아니라 각 센터들의 순수한 참여정신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개선이 가능하려면, 이런 구조에 대한 센터 관계자들의 이해와 협력이 필요하고 행정기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범수 (1996) . 평택대학교, 재가노인복지기관의 현황과 발전방향 : 재가복지봉사센터를 중심으로
김훈 (2004) , 한국노인복지학회, 전주시 지역사회의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실태와 개선방안 -가정봉사원파견센터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김범수 (1996) . 평택대학교, 재가노인복지기관의 현황과 발전방향 : 재가복지봉사센터를 중심으로
김훈 (2004) , 한국노인복지학회, 전주시 지역사회의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실태와 개선방안 -가정봉사원파견센터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