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ignant neoplasm of stomach(위암)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위암)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건강사정


Ⅲ. 약물


Ⅳ. 진단검사


Ⅴ. 치료경과 및 계획


Ⅵ. 간호과정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CO2
28.1
28.2
28.0
PO2
69.6
69.5
69.9
HCO3
20.5
20.4
20.6
PH
7.475
7.474
7.476
1-3) 4/4 19:00 처방된 비재호흡마스크 10L 적용하였다.
2-1) 매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시간
19:00
19:15
19:30
19:45
20:00
혈압
70/40
80/50
80/50
80/50
100/80
체온
38.2
38.4
38.2
38.3
38.4
호흡
24
24
24
24
24
맥박
200
180
180
170
170
2-2) 매 1시간마다 혈액검사를 하여 염증 수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간
19:00
20:00
21:00
WBC
23.5
24.1
25
CRP
17.54
18.2
20
2-3) 4/4 19:00 처방된 teicocin 400mg을 투약하였다.


4/4 목표부분 달성됨.
20:00 산소포화도 90 확인됨.
19:00-21:00 염증 관련 수치 (WBC, CRP) 점점 증가하고 있음.
■ 간호진단 2 : 폐포 모세혈관 투과성 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정상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체온이 37.5 이하로 내려갈 것이다.
2)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염증 관련 수치가 현재보다 감소할 것이다.
1-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1-2) 체온이 37.5℃ 이상일시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한다.
1-3) 젖은 환의와 침구는 즉시 교환한다.
1-4) 오한 시 이불을 추가로 제공한다.
2-1) 매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2-2) 매 1시간마다 혈액검사를 하여 염증 수치 의 변화를 관찰한다.
2-3) 처방된 항생제를 투약한다.
1-1) 환자 상태 파악을 위해 활력징후 재사정은 필수적이다.
1-2) 미온수 마사지를 통해 체온을 감소시킨다.
1-3) 깨끗하고 건조한 환의와 침구유지는 대상자의 안위증진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1-4) 고열 시 오한이 발생하며, 체온 손실 방지를 위해 보온을 하여야한다.
2-1) 환자 상태 파악을 위해 활력징후 재사정은 필수적이다.
2-2) 염증 완화유무 파악을 위해 필요하다.
2-3) 원인균을 사멸하여 염증을 완화한다.


1-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시간
19:00
21:00
23:00
01:00
03:00
혈압
70/40
100/80
100/80
90/50
90/50
체온
38.2
38.4
38.2
38.3
38.4
호흡
24
24
24
24
24
맥박
200
180
180
170
170
1-2) 19:00 이후 38도 이상의 고열 계속 측정되어 미온수 마사지와 아이스백 적용하였다.
1-3) 젖은 환의와 침구를 즉시 교환하였다.
시간
19:00
21:00
23:00
01:00
03:00
환의 교환
교환함
교환함
교환함
교환함
교환함
1-4) 4/5 01:00 오한 호소하여 이불을 추가로 제공하였다.
2-1) 매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시간
19:00
19:15
19:30
19:45
20:00
혈압
70/40
80/50
80/50
80/50
100/80
체온
38.2
38.4
38.2
38.3
38.4
호흡
24
24
24
24
24
맥박
200
180
180
170
170
2-2) 매 1시간마다 혈액검사를 하여 염증 수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간
19:00
20:00
21:00
WBC
23.5
24.1
25
CRP
17.54
18.2
20
2-3) 4/4 19:00 처방된 teicocin 400mg을 투약하였다.


4/4 목표 미달성됨.
19:00 이후 38도 이상의 고열 계속 측정됨.
19:00-21:00 염증 관련 수치 (WBC, CRP) 점점 증가하고 있음.
■ 간호진단 3 : 염증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 간호진단 4 :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신기능 장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전해질 불균형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시간당 소변량 50ml 이상을 유지할 것이다.
2)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수축기 혈압 100이상을 유지할 것이다.
1-1) 1시간마다 소변량을 사정한다.
1-2) 처방된 수액을 공급한다.
1-3) 처방된 이뇨제를 투약한다.
2-1) 매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2-2) 순환보조 체위를 취해준다.
2-3) 처방된 수액을 공급한다.
2-4) 처방된 약물을 투약한다.
1-1) 소변량을 사정하여 신기능을 평가한다.
1-2) 체액량을 증가하여 소변량을 증가시킨다.
1-3) 이뇨제를 투여하야 배설을 유도한다.
2-1) 환자 상태 파악을 위해 활력징후 재사정은 필수적이다.
2-2) Trendelenburg’s position은 심장으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킨다.
2-3) 체액량을 늘려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
2-4) 패혈성쇼크에 스테로이드 사용된다.


1-1) 1시간마다 소변량을 사정하였다.
시간
19:00
20:00
21:00
22:00
23:00
소변량
50
50
40
40
40
1-2) 4/4 19:00 처방된 N/S 500ml를 한번에 (bolus) 주입하였다.
1-3) 4/4 19:00 Lasix 40mg을 투약하였다.
2-1) 매 15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시간
19:00
19:15
19:30
19:45
20:00
혈압
70/40
80/50
90/50
90/60
100/80
체온
38.2
38.4
38.2
38.3
38.4
호흡
24
24
24
24
24
맥박
200
180
180
170
170
2-2) 4/4 19:00 대상자의 체위를 Trendelenburg’s position으로 변경해주었다.
2-3) 4/4 19:00 처방된 N/S 500ml를 한번에 (bolus) 주입하였다.
2-4) 4/4 19:00 처방된 norpin 8mg을 투약하였다.


4/4 목표 부분 달성됨.
21:00 이후 시간당 소변량 40cc 측정됨.
20:00 혈압 100/80 측정됨.
Ⅶ. 참고문헌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9.02.18
  • 저작시기201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