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 환자사례 간호과정] 위암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케이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5) 진단검사
6) 의학적 치료

Ⅱ. 질환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위암이란?
2. 위의 생김새
3. 위의 기능
4. 우리나라의 위암 발생률
5. 위암의 증상
6. 위암의 진단
7. 위암의 치료
8. 수술 후 식사 및 영양관리
9. 예방
10. 수술 후의 합병증
11. 수술 전과 수술 후의 간호

Ⅲ. 간호진단 목록

Ⅳ.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1 약물주입으로 인한 조직괴사와 관련된 고체온
#2 통증과 관련된 안위변화
#3 PTBD 배액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4 소화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Ⅴ. 전체간호 평가 & 간호교육 내용
1) 수행된 전체간호에 대한 평가
2) 대상자에 대한 간호교육 내용, 방법 및 결과

Ⅵ. 출처

본문내용

가족이 영양에 대해 알고 있어야 실천하는데 더욱 도움이 된 다.
간호수행
맵고 짠 음식은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고단백 음식(고기, 생선, 두부 등 콩 제품, 계란 등)과 채소를 골고루 먹도록 교육하였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식사할 때는 물을 마시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음식은 50번 이상 꼭꼭 씹어서 침으로 완전히 삭혀 넘기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가 할 수 없고, 먹을 수 없는 종류의 음식은 피하도록 하였다.
자극적인 냄새가 없도록 하였다.
정맥을 통해 비경구영양을 주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1. 대상자의 체중이 더 이상 감소하지 않았다.
평상시 체중
1/25
1/26
1/27
62.5kg
61kg
61.5kg
61.7kg
2. 대상자는 병원에서 나오는 급식을 남김없이 골고루 섭취하였다.
3. 대상자의 알부민, Hb의 수치는 정상범위 내에 속했으나 Hct는 정상보다 낮 은 수치였다.
검사
1/25
1/26
1/27
정상수치
Alb
3.45
3.41
3.52
3.5~5.2 g/dL
Hb
10.1
12.7
12.5
M:13.5~18 g/dl
Hct
31.7
36.8
32.6
M:40~54 %
4. 대상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식이와 불필요한 식이를 구분하여 말하였다.
Ⅴ. 전체간호 평가 & 간호교육 내용
1) 수행된 전체간호에 대한 평가
기간이 너무 짧아 대상자와 신뢰관계를 제대로 형성하지 못 하고 대상자를 자세히 파악하지 못한 것이 많이 아쉽다. 신뢰관계를 제대로 형성했으면 간호수행도 더 잘하고 더 좋은 평가를 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못한 것이 아쉽다. 간호수행에 대한 평가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 평가를 제대로 하여 잘 수행되지 못 한 것은 재계획을 세우고 싶었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 간호수행도 내가 대상자에게 직접 무언가를 수행한 것 보다는 사정하거나 간호사선생님께서 수행하시는 것을 옆에서 관찰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아쉬웠다. 다음에는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기간이 더 길었으면 좋겠다. 대상자와 신뢰관계도 더 많이 형성하고 싶고,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많이 주고 싶다.
각각의 간호진단에 따라 여러 가지 간호를 계획했는데 현실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간호가 많아서 안타깝다. 그래도 대상자에게 진통소염제를 직접 side sooting 해주어서 정말 뿌듯했다.
암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고 항암제의 종류, 항암제 간호, 항암제 부작용 등 항암제에 대해 많이 알게 되어 정말 뿌듯하다.
2) 대상자에 대한 간호교육 내용, 방법 및 결과
♠ 손씻기 교육
1. 손씻기 방법
1)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주 대고 문질러준다.
2) 손가락을 마주 잡고 문지른다.
3) 손등과 손바닥을 마주 대고 문질러준다.
4) 엄지 손가락을 다른 편 손바닥으로 돌려주면서 문지른다.
5) 손바닥을 마주대고 손깍지를 끼고 문질러준다.
6) 손가락을 반대편 손바닥에 놓고 문지르며 손톱 밑을 깨끗하게 한다.
7) 손은 비누로 흐르는 물에서 15초 이상 씻어주는 것이 좋다.
2. 손씻기의 중요성
1) 손은 병균창고다 _ 감염내과 전문의들은 "손은 끊임없이 뭔가를 만지고, 집고, 만들고 있기 때문에 각종 유해 세균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부위로 신체 가운데 각종 유해 세균과 가장 많이 접촉하는 부위는 손이고, 그렇기 때문에 손은 인체에서 미생물이 가장 많이 득실대는 ‘병균창고’이자 ‘질병의 온상’이고 말하고 있다.
2) 전염성 질병의 70%가 손을 통해 전염 된다 _ 호흡기로 감염되는 감기 바이러스의 경우도 공기에 의해 전파 보단 병균이 묻은 손을 코나 입에 갖다 대거나, 병균이 묻어있는 손으로 만진 물건에 신체의 일부분이 접촉하므로 감염된다. 이렇듯 각종 전염성 질병의 70%가 손을 통해서 전염되지만 손 청결에 대해 무관심한 것이 사실이다. 그냥 물만으로도 자주 손을 씻어줘도 세균의 증가를 억제 할 수 있으나, 이왕이면 항균 성분이 포함된 제품으로 손을 철저히 씻어 세균을 깨끗이 제거 하는 것이 좋다.
3) 세균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한다 _ 한 마리의 유해세균이 10분에 한번 씩 분열을 할 경우 20분 후면 4마리, 2시간 후면 64마리, 3시간 후면 26만 마리, 4시간 후면 1600만 마리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깨끗한 손씻기 습관으로 세균의 증가를 막고 감염질환의 60% 이상을 예방 할 수 있다.
♠ 열이 날 때 물을 마셔야 하는 이유는?
열이 나면 그 열과 같이 피부를 통해서 다량의 수분이 증발한다.
입맛이 없어 수분 섭취도 꺼리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전체적인 체내 수분량이 떨어져서 자칫하면 탈수에 빠지기도 한다.
체내에 수분량을 늘려주면 열의 발산 효과를 돕기 때문에 열이 쉽게 내리는 경우가 흔하다.
열이 날 때 수액 주사로는 그냥 주사용 생리식염수(Saline)면 충분하다.
당분 섭취가 필요할 경우에는 5%나 10%의 포도당 생리식염수(Dextrose saline)을 준다.
♠ 식생활 실천사항
1.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영양섭취를 한다.
2. 매끼 단백질 반찬(고기, 생선, 달걀, 두부)을 챙겨 먹는다.
3.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먹는다.
4. 한 끼 식사량이 많지 않은 경우 간식을 이용한다.
5. 특정 음식을 가리지 말고, 환자의 기호에 맞추어 식품을 선택한다.
열량 및 단백질 섭취를 증가시키려면
1) 열량 섭취를 높이는 방법
① 빵을 먹을 때는 빵과 잼, 땅콩버터를 곁들여 먹는다.
② 우유나 두유를 먹을 때는 미숫가루나 분유 등을 섞어서 먹는다.
③ 나물을 무칠 때는 참기름, 들기름을 넉넉히 사용한다.
2) 단백질 섭취를 높이는 방법
① 빵을 먹을 때는 우유를 곁들어 먹거나 과자는 요플레 등에 찍어 먹는다.
② 생과일은 우유나 두유를 섞어 쉐이크를 만들어 먹는다.
③ 전을 부칠 때에는 달걀을 넉넉히 이용한다.
Ⅵ. 출처
- 유해영.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현문사(2004)
- 기본간호학/ 현문사/ 유해영
- 성인간호학/ 현문사/ 전시자, 김강미자, 김희경
- 성인간호학/ 퍼시픽북스/ 학술편찬국
- 성인간호학/ 의학서원/ 전국간호대학교수편
- 기본간호학/ 퍼시픽북스/ 학술편찬국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2.09.01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7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