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 기간 및 방법
Ⅱ.문헌 고찰
1.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Ⅲ.간호과정
1.간호사정
1)간호 정보
A.일반적 사항
B. 교환영역
C. 의사소통영역
D. 선택영역
E. 기동영역....
▶간호과정 적용
III. 결론
참고 문헌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 기간 및 방법
Ⅱ.문헌 고찰
1.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Ⅲ.간호과정
1.간호사정
1)간호 정보
A.일반적 사항
B. 교환영역
C. 의사소통영역
D. 선택영역
E. 기동영역....
▶간호과정 적용
III.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기
9/11~ (추가 약물)
Proamin 10% 500mL 1T) IV -9/11 사용
효능/효과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의 아미노산 보급
clinoleic 20% 500mL 1T) IV -9/13 ~
효능/효과
전해질 보액의 전해질 보정
Comboflex peri 1100mL IV (매주 화/금 )
효능/효과
경구 혹은 위장관 영양보급 제시한 정맥영양요법 실시할 때의 영양보급
금기
계란/콩단백질/본제 성분 과민증, 고나트륨혈증, 고염소혈증, 고칼륨혈증, 핍뇨, 에디슨병, 고질소혈증, 고인혈증, 부갖상선기능 저하증, 고마그네슘혈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고칼슘혈증, 강심배당체 투여중인자, 소모성 신부전증, 방실블럭, 중증근무력증, 중증 간질환, 간성혼수또는 우려자
▶치료
stomach ca -> Linac X-ray
Pailiative (통증완하치료)
▶ Date
Intake
Output
stool
9/12
2000
1400
0
9/13
2335
1810
0
9/14
2250
1560
0
9/15
2540
1360
1
I/O Check
▶간호과정 적용
1)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S : “어제 너무아파서 잠을 못잤어......”
O : 통증호소시 맥박이 평균 80회에서 90회로 상승됨
호흡수 평균 19회에서 24회로 상승됨
평상시 수면양상 : 밤 9 ~아침5
⇒ 8 시간
현재 : 밤12시~아침5시 ⇒5시 중간중간에 통증으로인해 자주 깬다.
하품을 자주 하고 나른해 보인다.
간호진단: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목표
대상자는 수면 중 깨지 않고 숙면을 취한다.
대상자는 아침에 수면에 대한 만족감을 표현한다.
간호계획
-매일 2번 통증의 정도, 부위, 양상, 빈도를 사정한다.
-매일 2번 V/S을 측정한다.
-수면보조물을 제공한다.(베개, 책 등)
-수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환경을 만든다.
-이완요법을 가르친다.
-베게나 부목을 사용하여 통증부위를 적절히 지지해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낮동안 활동을 유도한다.
-필요시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 한다.
수행
-매일 2번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환자에게 통증이 가장 심할때의 통증 강도: 8)
-매일 2번 V/S을 측정 하였다.
-수면보조물을 제공하였다.
-수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환경을 만들었다.
-대상자에게 통증조절을 위한 심호흡을 하시게 하고 보호자 분에게 환자에게 말을 걸어 관심을 돌려 드리라고 말씀드렸다.
-대상자에게 베게를 사용하여 통증부위를 지지해 주었다.
-환자에게 낮동안 활동을 유도하여 밤에 잘 주무시도록 하였다.
-진통제를 투여하지는 않았다.
평가
대상자가 밤에 한번도 깨지 않고 잠을 잘 잤다고 말한다.
수면부족의 신체적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낮잠을 자주 잔다.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장애
S : “밥맛이 없어...”
O : 오심과 구토를 자주하심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장애
목표
환자는 환자의 상태에 적절한 정상적인 영양 상태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매일 열량 섭취및 수분섭취량, 배설량을 check한다.
(열량 섭취및 수분섭취량, 배설량을 check는 잠재적인 불균형을 예방)
-식사는 소량씩 자주 드시도록 한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악취나 분비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에서 식사를 제공 한다.
-천천히 먹고 마시도록 권장 한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제공한다.
-식사전 후 30분동안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대상자의 연하와 소화를 돕는다.)
-매일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수행
-매 일 Intake와 output을 check하였다.
-식사를 소량씩 자주 드시도록 부인에게 설명하였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악취나 분비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어서 식사제공을 하였다.
-천천히 먹고 마시도록 권장하였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제공하였다.
-식사전 후 30분동안 휴식시간을 제공하였다.
-매일 구강간호를 실시하였다.
평가
대상자와 부인에게 환자에게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대상자는 잘 실행하고 계신다.
부인이 식사를 잘못하셔서 걱정하심
3)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S : “ 가스도 안나오고 변도 안나오고,, 속이 더부룩해요”
“ 아직 변을 못 봤어.”
O : 침대에 누워있는 시간이 많음
병실 내에서 거의 모든 활동을 함
3일에 1번정도 변을 보셨으며 변의 양은 주먹크기 정도라 함
간호진단: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목표
대상자는 자신의 정상적인 배변양상으로 회복한다.
환자는 하제를 사용하지 않고 배변한다.
간호계획
-배변의 횟수와 배변 특성을 사정한다.
-다량의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섬유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권유한다.
-낮 시간 동안에 복도를 걷도록 적당한 운동을 권장한다.
-변의를 느낄 때는 즉시 배변을 하도록 한다.
-가능한 한 평상시 배변시간과 비슷한 시간에 환자에게 배변할 것을 권장한다.
-변비가 해결되지 않을 시에는 배변완화제를 투여하여 그 효과를 기록 한다.
수행
-대상자는 병원에 입원하기전 하루에 1번정도 무른변을 보셨다고 하는데 입원하고 난후에는 변을 자주 보시지 못한다고 한다.
-대상자에게 하루 2L정도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채소를 많이 드시게 하였다.
-보호자 분에게 침상에 계속 누워계시지 말고 침상 머리를 올려 계시라고하였다.
-대상자에게 변의를 느끼면 참지말고 즉시 배변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평소 아침에 배변하였다고 하여 아침에 배변하는것이 좋다고 하였다.
-배변 완하제는 투여하지 않았다.
평가
대상자는 9/12일부터 9/14일까지 가스 배출을 하지 못하였고 배변을 하지 못하였는데 운동과 수분섭취를 권장후 9/15 가스배출을 하였고 배변도 보셨다.
III. 결론
참고 문헌
http://healthcare.joins.com/info/info_encyclopedia_article.asp?ecIDX=87(조인스헬수 케어)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교병원(2002),간호진단과 계획
이광옥외(1997),최신 임상간호메뉴얼,수문사
전시자외(2005),성인간호학-상,현문사
CASE STUDY
STOMACH CANCER
9/11~ (추가 약물)
Proamin 10% 500mL 1T) IV -9/11 사용
효능/효과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의 아미노산 보급
clinoleic 20% 500mL 1T) IV -9/13 ~
효능/효과
전해질 보액의 전해질 보정
Comboflex peri 1100mL IV (매주 화/금 )
효능/효과
경구 혹은 위장관 영양보급 제시한 정맥영양요법 실시할 때의 영양보급
금기
계란/콩단백질/본제 성분 과민증, 고나트륨혈증, 고염소혈증, 고칼륨혈증, 핍뇨, 에디슨병, 고질소혈증, 고인혈증, 부갖상선기능 저하증, 고마그네슘혈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고칼슘혈증, 강심배당체 투여중인자, 소모성 신부전증, 방실블럭, 중증근무력증, 중증 간질환, 간성혼수또는 우려자
▶치료
stomach ca -> Linac X-ray
Pailiative (통증완하치료)
▶ Date
Intake
Output
stool
9/12
2000
1400
0
9/13
2335
1810
0
9/14
2250
1560
0
9/15
2540
1360
1
I/O Check
▶간호과정 적용
1)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S : “어제 너무아파서 잠을 못잤어......”
O : 통증호소시 맥박이 평균 80회에서 90회로 상승됨
호흡수 평균 19회에서 24회로 상승됨
평상시 수면양상 : 밤 9 ~아침5
⇒ 8 시간
현재 : 밤12시~아침5시 ⇒5시 중간중간에 통증으로인해 자주 깬다.
하품을 자주 하고 나른해 보인다.
간호진단: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목표
대상자는 수면 중 깨지 않고 숙면을 취한다.
대상자는 아침에 수면에 대한 만족감을 표현한다.
간호계획
-매일 2번 통증의 정도, 부위, 양상, 빈도를 사정한다.
-매일 2번 V/S을 측정한다.
-수면보조물을 제공한다.(베개, 책 등)
-수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환경을 만든다.
-이완요법을 가르친다.
-베게나 부목을 사용하여 통증부위를 적절히 지지해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낮동안 활동을 유도한다.
-필요시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 한다.
수행
-매일 2번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환자에게 통증이 가장 심할때의 통증 강도: 8)
-매일 2번 V/S을 측정 하였다.
-수면보조물을 제공하였다.
-수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환경을 만들었다.
-대상자에게 통증조절을 위한 심호흡을 하시게 하고 보호자 분에게 환자에게 말을 걸어 관심을 돌려 드리라고 말씀드렸다.
-대상자에게 베게를 사용하여 통증부위를 지지해 주었다.
-환자에게 낮동안 활동을 유도하여 밤에 잘 주무시도록 하였다.
-진통제를 투여하지는 않았다.
평가
대상자가 밤에 한번도 깨지 않고 잠을 잘 잤다고 말한다.
수면부족의 신체적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낮잠을 자주 잔다.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장애
S : “밥맛이 없어...”
O : 오심과 구토를 자주하심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장애
목표
환자는 환자의 상태에 적절한 정상적인 영양 상태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매일 열량 섭취및 수분섭취량, 배설량을 check한다.
(열량 섭취및 수분섭취량, 배설량을 check는 잠재적인 불균형을 예방)
-식사는 소량씩 자주 드시도록 한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악취나 분비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에서 식사를 제공 한다.
-천천히 먹고 마시도록 권장 한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제공한다.
-식사전 후 30분동안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대상자의 연하와 소화를 돕는다.)
-매일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수행
-매 일 Intake와 output을 check하였다.
-식사를 소량씩 자주 드시도록 부인에게 설명하였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악취나 분비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어서 식사제공을 하였다.
-천천히 먹고 마시도록 권장하였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제공하였다.
-식사전 후 30분동안 휴식시간을 제공하였다.
-매일 구강간호를 실시하였다.
평가
대상자와 부인에게 환자에게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대상자는 잘 실행하고 계신다.
부인이 식사를 잘못하셔서 걱정하심
3)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S : “ 가스도 안나오고 변도 안나오고,, 속이 더부룩해요”
“ 아직 변을 못 봤어.”
O : 침대에 누워있는 시간이 많음
병실 내에서 거의 모든 활동을 함
3일에 1번정도 변을 보셨으며 변의 양은 주먹크기 정도라 함
간호진단: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목표
대상자는 자신의 정상적인 배변양상으로 회복한다.
환자는 하제를 사용하지 않고 배변한다.
간호계획
-배변의 횟수와 배변 특성을 사정한다.
-다량의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섬유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권유한다.
-낮 시간 동안에 복도를 걷도록 적당한 운동을 권장한다.
-변의를 느낄 때는 즉시 배변을 하도록 한다.
-가능한 한 평상시 배변시간과 비슷한 시간에 환자에게 배변할 것을 권장한다.
-변비가 해결되지 않을 시에는 배변완화제를 투여하여 그 효과를 기록 한다.
수행
-대상자는 병원에 입원하기전 하루에 1번정도 무른변을 보셨다고 하는데 입원하고 난후에는 변을 자주 보시지 못한다고 한다.
-대상자에게 하루 2L정도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채소를 많이 드시게 하였다.
-보호자 분에게 침상에 계속 누워계시지 말고 침상 머리를 올려 계시라고하였다.
-대상자에게 변의를 느끼면 참지말고 즉시 배변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평소 아침에 배변하였다고 하여 아침에 배변하는것이 좋다고 하였다.
-배변 완하제는 투여하지 않았다.
평가
대상자는 9/12일부터 9/14일까지 가스 배출을 하지 못하였고 배변을 하지 못하였는데 운동과 수분섭취를 권장후 9/15 가스배출을 하였고 배변도 보셨다.
III. 결론
참고 문헌
http://healthcare.joins.com/info/info_encyclopedia_article.asp?ecIDX=87(조인스헬수 케어)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교병원(2002),간호진단과 계획
이광옥외(1997),최신 임상간호메뉴얼,수문사
전시자외(2005),성인간호학-상,현문사
CASE STUDY
STOMACH CANCER
키워드
추천자료
위암(stomach cancer) - 각종 그림 포함 -
위암(stomach cancer)
위암 케이스(Stomach Cancer case)
위암 문헌고찰(Stomach cancer)
[간호학] 위암 (stomach cancer) 대상자 case
위암케이스 - Stomach cancer case study
case study - Stomach Cancer (케이스 스터디 - 위암)
Stomach cancer 위암 Stomach neopalsm
위암 (stomach cancer)
위암 케이스 스터디 (stomach cancer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