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암의 구조 및 기능
2. 위암의 정의
3. 위암의 원인
4. 위암의 증상
5. 진단방법
6. 위암의 진행단계
7. 치료
8. 수술 전 간호
9. 수술 후 간호
10. 수술 후 합병증
11. 위절제 후 식이
2. 위암의 정의
3. 위암의 원인
4. 위암의 증상
5. 진단방법
6. 위암의 진행단계
7. 치료
8. 수술 전 간호
9. 수술 후 간호
10. 수술 후 합병증
11. 위절제 후 식이
본문내용
와위(semirecumbent), 식사 후에는 비 스듬히 눕기를 권장함.
- 식사 전 1시간, 식후 2시간동안 수분 섭취 제한함.
(4) 항 경련제 , 진정제(composing medicine) 투여하여 위 배출 속도 지연시킴.
(5) 보통 수술 후 6~12개월이상 이면 증상이 없어짐
☆ Dumping syndrome의 발생기전 ☆
a. 장에서의 급속한 포도당 흡수로 인해 일과성 고혈당 발생 → pancreas가 반응해 insulin분비 항진 → 혈당과 insulin 균형 깨짐 → 반응성 hypoglycemia 발생
b. 음식물의 장으로 급속한 이행으로 jejunum mucosa이 과도하게 자극 받아서 Histamin, Bradykinin, Serotonin등을 분비
Histamin : Headahe, face flushing(안면 홍조)
Bradykinin : abd.distesion, fever, abd. pain, hypotension, tachycardia, face flushing
Serotonin : face flushing , abd. distesion, fever, abd. pain, nausea.
c. 고장성 용액이 급속히 장으로 들어오면 Osmosis의 차이에 의해 수분과 전해질이 장관으로 이행하고 순환 혈액량이 저하됨. - hypotension, tachycardia 졸음, 실신
d. 장관의 자율신경을 실조시킴. - nausea & voming, abd pain, fever
2) Bleeding
(1) 문합부 봉합선상에서 나타나며 자연적으로 멈추거나 멈추지 않을 수도 있음.
(2) 지혈효과를 일으키는 약물 주입
(3) 출혈을 확인하기 위해 내시경이 시행.
(4) 의사에 지시에 따라 수혈, 위세척 시행함.
(5) 출혈이 계속될 때는 재수술 함.
3) 십이지장 봉합부위 누출(duodenal stump leakage)
(1) BillothⅡ 문합술로 남겨진 십이지장 봉합부위에서 누출 일어날 수 있음.
(2) 증상 : 어깨로 방사되는 심한 상복부 통증, 복부강직, 고열, 백혈구 증가
(3)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으면 4~6주 이내에 수술
4) gastric retention
(1) 문합부위 부종, 문합부의 작은 누출로 인해 초래됨.
(2) L-tube 흡인을 재시도 하고 음식섭취는 서서히 회복시킴.
5) 체중감소
(1) 위 수술 후 위의 저장력이 줄어들어 섭취 소화 및 흡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보통 전체 체중의 5~10%가 감소함
(2) 간식으로 영양보충을 하시는 것이 필요
6) 빈혈
(1) 급속한 위 배출로 인해 염산과 음식이 섞이지 못하면 철분이 유리되지 못하 고 흡수하는데 시간이 적기 때문에 철분결핍성 빈혈이 발생
11. 위 절제 후 식이
(1) 입원 기간 (수술 직후)
- 수술 직후 가스가 배출되고 장운동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으면 물을 먹는 것 으로 경구섭취를 시도한다.
- 첫 끼니의 식사는 유동식을 시작하고 하루 6회 이상 소량씩 나누어 섭취한다.
- 유동식 제공 후 보통 다음날 부터는 흰죽과 계란찜 등의 부드러운 반찬을 섭취 한다.
- 식사는 20-30분 정도에 걸쳐서 천천히 섭취한다.
- 식사량은 적당히 배가 부를 정도로 소량씩 섭취하고 한번에 많은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한다.
- 식사 이외에 영양보충음료나 쥬스, 우유 등의 간식을 조금씩 나누어 먹는다.
- 식사 후 불편감이나 복통 등이 지속될 경우에는 간식이나 다음 끼니의 식사는 한번 정도 피한다.
- 식사 후 바로 움직이지 말고 30분 정도는 편안한 자세로 쉰다. 그 후 원할한 장운동을 위해 가벼운 산책 등의 운동을 한다.
(2)퇴원 후 식사
- 퇴원 후 환자의 적응도에 따라 죽→ 진밥→ 된밥 등의 순으로 식사를 제공한다.
- 식사는 소량의 3끼 식사와 2-3회 이상의 간식을 섭취하고 식사량은 부담이 되지 않을 정도씩 서서히 증가시킨다.
- 식사 후 1시간 30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해야 음식의 소화가 적절히 이루어지므 로 식사나 간식은 2시간 전후로 하여 속이 비워지면 같은 양의 음식을 더 먹는 다. 식사량의 증가의 따라 간식의 횟수나 양을 증가한다.
- 식사 중의 수분 (국, 물)은 포만감을 주어 섭취하는 음식량을 적게 할 수 있으 므로 많이 먹지 않는다.
- 우유, 주스 등의 수분은 간식으로 소량씩 수시로 먹는다.
- 매끼 고기, 생선, 두부 계란 등의 단백질 식품을 섭취하여 빨리 회복할 수 있도 록 한다.
- 채소는 소화가 잘 되도록 충분히 씹어서(20-30번) 섭취하고 되도록 부드럽게 조 리한 채소부터 다양하게 적응시켜 나간다.
- 김치류, 미역 등의 해조류, 죽순, 연근, 더덕, 도라지등의 근채류, 미나리, 풋 고추 등은 위를 자극하고 덩어리를 만들기 쉬우므로 잘게 부셔 충분히 씹어서 먹도록 한다.
- 과일은 생과일을 소량 꼭꼭 씹어 먹거나 주스로 갈아서 먹는다. 단, 바나나나 감은 탄닌성분이 있어 위석을 만들거나 변비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젓갈, 장아찌 등의 지나치게 짠 음식이나 매운 음식, 탄산음료, 홍차, 커피 등 의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의 섭취는 피한다.
- 보신하는 음식이나 약제,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 건강 식품 등은 위장관을 상 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튀김 등 지방이 너무 많은 음식은 소화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고춧가루, 파, 마늘, 후추, 겨자 등 매운 맛이 나는 양념은 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초기에는 소량씩만 사용하고 차츰 적응시킨다.
- 생선회, 육회 등 익히지 않은 어육류의 섭취는 당분간 피한다.
- 찹쌀떡이나 김밥 등은 소장이 막혀 토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충분히 씹어 소량씩 먹는다.
- 식사 후 바로 움직이지 말고 30분 정도는 편안한 자세로 쉰다. 그 후 원할한 장 운동을 위해 가벼운 산책등의 운동을 한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서문자외, 2000, 수문사
임상간호학 핵심, 강병철외, 2003, 한우리
머크 매뉴얼, 2002, 한우리
학생을 위한 외과학, 1999, 고려의학
임상간호의 핵심, 한우리, 2000, 김미자
위암, 의학문학사, 2002 김진복
www.ncc.re.kr
- 식사 전 1시간, 식후 2시간동안 수분 섭취 제한함.
(4) 항 경련제 , 진정제(composing medicine) 투여하여 위 배출 속도 지연시킴.
(5) 보통 수술 후 6~12개월이상 이면 증상이 없어짐
☆ Dumping syndrome의 발생기전 ☆
a. 장에서의 급속한 포도당 흡수로 인해 일과성 고혈당 발생 → pancreas가 반응해 insulin분비 항진 → 혈당과 insulin 균형 깨짐 → 반응성 hypoglycemia 발생
b. 음식물의 장으로 급속한 이행으로 jejunum mucosa이 과도하게 자극 받아서 Histamin, Bradykinin, Serotonin등을 분비
Histamin : Headahe, face flushing(안면 홍조)
Bradykinin : abd.distesion, fever, abd. pain, hypotension, tachycardia, face flushing
Serotonin : face flushing , abd. distesion, fever, abd. pain, nausea.
c. 고장성 용액이 급속히 장으로 들어오면 Osmosis의 차이에 의해 수분과 전해질이 장관으로 이행하고 순환 혈액량이 저하됨. - hypotension, tachycardia 졸음, 실신
d. 장관의 자율신경을 실조시킴. - nausea & voming, abd pain, fever
2) Bleeding
(1) 문합부 봉합선상에서 나타나며 자연적으로 멈추거나 멈추지 않을 수도 있음.
(2) 지혈효과를 일으키는 약물 주입
(3) 출혈을 확인하기 위해 내시경이 시행.
(4) 의사에 지시에 따라 수혈, 위세척 시행함.
(5) 출혈이 계속될 때는 재수술 함.
3) 십이지장 봉합부위 누출(duodenal stump leakage)
(1) BillothⅡ 문합술로 남겨진 십이지장 봉합부위에서 누출 일어날 수 있음.
(2) 증상 : 어깨로 방사되는 심한 상복부 통증, 복부강직, 고열, 백혈구 증가
(3)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으면 4~6주 이내에 수술
4) gastric retention
(1) 문합부위 부종, 문합부의 작은 누출로 인해 초래됨.
(2) L-tube 흡인을 재시도 하고 음식섭취는 서서히 회복시킴.
5) 체중감소
(1) 위 수술 후 위의 저장력이 줄어들어 섭취 소화 및 흡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보통 전체 체중의 5~10%가 감소함
(2) 간식으로 영양보충을 하시는 것이 필요
6) 빈혈
(1) 급속한 위 배출로 인해 염산과 음식이 섞이지 못하면 철분이 유리되지 못하 고 흡수하는데 시간이 적기 때문에 철분결핍성 빈혈이 발생
11. 위 절제 후 식이
(1) 입원 기간 (수술 직후)
- 수술 직후 가스가 배출되고 장운동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으면 물을 먹는 것 으로 경구섭취를 시도한다.
- 첫 끼니의 식사는 유동식을 시작하고 하루 6회 이상 소량씩 나누어 섭취한다.
- 유동식 제공 후 보통 다음날 부터는 흰죽과 계란찜 등의 부드러운 반찬을 섭취 한다.
- 식사는 20-30분 정도에 걸쳐서 천천히 섭취한다.
- 식사량은 적당히 배가 부를 정도로 소량씩 섭취하고 한번에 많은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한다.
- 식사 이외에 영양보충음료나 쥬스, 우유 등의 간식을 조금씩 나누어 먹는다.
- 식사 후 불편감이나 복통 등이 지속될 경우에는 간식이나 다음 끼니의 식사는 한번 정도 피한다.
- 식사 후 바로 움직이지 말고 30분 정도는 편안한 자세로 쉰다. 그 후 원할한 장운동을 위해 가벼운 산책 등의 운동을 한다.
(2)퇴원 후 식사
- 퇴원 후 환자의 적응도에 따라 죽→ 진밥→ 된밥 등의 순으로 식사를 제공한다.
- 식사는 소량의 3끼 식사와 2-3회 이상의 간식을 섭취하고 식사량은 부담이 되지 않을 정도씩 서서히 증가시킨다.
- 식사 후 1시간 30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해야 음식의 소화가 적절히 이루어지므 로 식사나 간식은 2시간 전후로 하여 속이 비워지면 같은 양의 음식을 더 먹는 다. 식사량의 증가의 따라 간식의 횟수나 양을 증가한다.
- 식사 중의 수분 (국, 물)은 포만감을 주어 섭취하는 음식량을 적게 할 수 있으 므로 많이 먹지 않는다.
- 우유, 주스 등의 수분은 간식으로 소량씩 수시로 먹는다.
- 매끼 고기, 생선, 두부 계란 등의 단백질 식품을 섭취하여 빨리 회복할 수 있도 록 한다.
- 채소는 소화가 잘 되도록 충분히 씹어서(20-30번) 섭취하고 되도록 부드럽게 조 리한 채소부터 다양하게 적응시켜 나간다.
- 김치류, 미역 등의 해조류, 죽순, 연근, 더덕, 도라지등의 근채류, 미나리, 풋 고추 등은 위를 자극하고 덩어리를 만들기 쉬우므로 잘게 부셔 충분히 씹어서 먹도록 한다.
- 과일은 생과일을 소량 꼭꼭 씹어 먹거나 주스로 갈아서 먹는다. 단, 바나나나 감은 탄닌성분이 있어 위석을 만들거나 변비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젓갈, 장아찌 등의 지나치게 짠 음식이나 매운 음식, 탄산음료, 홍차, 커피 등 의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의 섭취는 피한다.
- 보신하는 음식이나 약제,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 건강 식품 등은 위장관을 상 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튀김 등 지방이 너무 많은 음식은 소화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고춧가루, 파, 마늘, 후추, 겨자 등 매운 맛이 나는 양념은 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초기에는 소량씩만 사용하고 차츰 적응시킨다.
- 생선회, 육회 등 익히지 않은 어육류의 섭취는 당분간 피한다.
- 찹쌀떡이나 김밥 등은 소장이 막혀 토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충분히 씹어 소량씩 먹는다.
- 식사 후 바로 움직이지 말고 30분 정도는 편안한 자세로 쉰다. 그 후 원할한 장 운동을 위해 가벼운 산책등의 운동을 한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서문자외, 2000, 수문사
임상간호학 핵심, 강병철외, 2003, 한우리
머크 매뉴얼, 2002, 한우리
학생을 위한 외과학, 1999, 고려의학
임상간호의 핵심, 한우리, 2000, 김미자
위암, 의학문학사, 2002 김진복
www.ncc.re.kr
키워드
추천자료
[신장질환] 신질환검사, 신장병의 증상, 신장질환(신장병)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식이요법의 ...
[지방간] 지방간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 지방간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신장질환] 신증(신장증) - 신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신장증(신증)치료의 식이요법
[신결석] 신결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신결석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저체중과 섭식장애] 저체중의 원인과 치료방법, 섭식장애(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폭식증...
[투석환자]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방법, 투석환자(혈액투석,복막투석)의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신경계 질환] 파킨슨씨병, 알츠하이머, 간질,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신...
[호흡기 질환] 호흡기계 질환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방법 - 감기, 폐렴, 폐결핵의 원인과 증...
[통풍] 통풍의 개념(정의)과 종류, 통풍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
[호흡기계 질환] 호흡기 질환(감기, 급성폐렴, 폐결핵)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
[담낭질환] 담석증, 담낭염, 췌장염, 췌장암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
[심장질환-심질환] 울혈성 심부전과 허혈성 심질환(심근허혈)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
[흡수불량증후군] 흡수불량 증후군의 개념(정의)과 원인 및 치료방법(식이요법), 유당불내증,...
[심혈관계 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저혈압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
소개글